메뉴 건너뛰기

서울구치소에서 석방된 윤석열 대통령이 8일 서울 한남동 관저 앞에 도착, 차량에서 내려 지지자들을 향해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법원의 구속 취소 결정 이후 반등하는 듯하던 여권 지지율이 열흘 만에 다시 하락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17일 공개된 리얼미터의 12~14일 자동응답전화(ARS) 조사에 따르면 정권 교체를 원한다는 응답은 55.5%, 정권 유지를 원한다는 응답은 40.0%로 격차는 15.5%포인트였다. 윤 대통령 구속 취소 결정 직후 발표된 전주 조사에서 6.4%포인트 (정권 교체 50.4%, 정권 유지 44.0%)까지 좁혀졌던 격차가 일주일 만에 다시 벌어진 것이다.

차기 대선주자의 가상 양자 대결 조사에서도 여권 후보의 열세가 두드러졌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양자 대결에서 이 대표 지지율은 51.7%, 김 장관은 30.7%였다. 다른 여권 잠룡들은 더 고전했다. 이 대표 51.8% 대 오세훈 서울시장 25.6%, 이 대표 52.3% 대 홍준표 대구시장 25.0%, 이 대표 51.8% 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18.6% 등 격차는 모두 20%포인트 이상이었다.

지난 14일 공개된 한국갤럽의 11~13일 전화면접조사에서도 윤 대통령 석방에 따른 여권 지지율 반등은 없었다. 정권 교체를 원한다는 응답은 51%, 정권 유지 41%로 10%포인트 격차였고, 당 지지율은 국민의힘 36%, 민주당 40%로 전주 조사와 평행선을 그렸다.

김영옥 기자
이는 윤 대통령의 석방에 따른 여권 지지율 상승, 즉 ‘석방 프리미엄’을 내심 바랐던 여권의 기대와는 다른 추세다. 당초 여권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이 석방되면 앞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주도했던 체포나 구속에 대한 부당성이 부각되고, 윤 대통령 지지층이 결집해 지지율이 상승할 것이라는 관측이 적잖았다. 실제 윤 대통령 석방 이후인 15일 광화문·여의도 등에서 6만여명(경찰 비공식 추산)이 탄핵 반대 집회에 참여하는 등 광장 여론도 뜨거웠다. 여당 전체 의원(108명)의 절반이 넘는 의원 62명은 11일부터 헌재 앞에서 탄핵 심판 기각과 각하를 요구하는 릴레이 시위를 벌였고, 당 지도부도 공수처의 ‘불법 수사’ 이슈를 부각하며 거들었다.

하지만 법원의 윤 대통령 구속 취소 결정 열흘 만에 여권의 부진을 가리키는 조사 결과가 잇따라 여당에선 위기감이 다시 고개 들고 있다. 국민의힘 3선 의원은 “윤 대통령 석방으로 반격의 기회를 잡은 건 사실이지만, 여권에 불리한 구도를 단박에 뒤집을만한 초대형 변수는 아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김영옥 기자
다만 일각에선 윤 대통령의 석방 효과를 예단하긴 이르다는 주장도 있다. 윤 대통령이 석방 뒤 적극적인 관저 정치에 나설 것이라는 예측과 달리, 의도적으로 공개 행보를 자제하며 로우키(low-key) 모드인 것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영남 지역 여당 의원은 통화에서 “윤 대통령 석방은 지지율을 떠나 탄핵 심판 각하나 기각 가능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특히 잠행 중인 윤 대통령이 향후 어떤 메시지를 내느냐에 따라 여론은 다시 출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조진만 덕성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윤 대통령 석방으로 공수처의 부실 수사 문제가 부각된 건 사실이지만, 공수처가 문제 있다고 생각하는 중도층이라도 정권 유지에 손을 들어주진 않는 형국”이라며 “또한 탄핵 심판이 초읽기에 접어들었다는 판단에 따라 야권 지지층도 대거 결집하면서 윤 대통령 석방에 따른 여권의 긍정 효과가 상쇄됐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630 “하늘이 도왔다”…천금 같은 비 ‘1mm’ 랭크뉴스 2025.03.28
45629 국경 접한 중국 윈난도 흔들‥주변국 피해 확산 랭크뉴스 2025.03.28
45628 [속보]산불 용의자 손놓고 있던 의성군, 논란 일자 뒤늦게 “경찰에 이첩” 랭크뉴스 2025.03.28
45627 [영상] 미얀마 7.7 강진에 "사망자 1000명 넘을 수도"...태국선 30층 건물 붕괴, 수십명 매몰 랭크뉴스 2025.03.28
45626 미얀마서 규모 7.7 강진…건물 다수 붕괴·대규모 사상자 발생(종합2보) 랭크뉴스 2025.03.28
45625 엎치락뒤치락 수싸움 치열했던 고려아연 주총...영풍·MBK, 반격에 실패 랭크뉴스 2025.03.28
45624 149시간 만에 역대 최악 산불 ‘주불 진화’…“위험 여전, 긴장감 유지” 랭크뉴스 2025.03.28
45623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델레이 초토화…"최소 20명 사망" 랭크뉴스 2025.03.28
45622 성기 거세 치욕 속에도 썼다, '천개의 눈'이 본 인간 본성 랭크뉴스 2025.03.28
45621 민주 41%·국힘 33% 지지도 격차 커졌다 랭크뉴스 2025.03.28
45620 역대 최악 산불 149시간 만에 잡았다 랭크뉴스 2025.03.28
45619 ‘성폭행 혐의 피소’ 장제원…고소장 접수 두 달 만에 경찰 조사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3.28
45618 [단독]탄핵 찬성 여성 폭행한 20대 남성 송치···“아픈 척·자해공갈” 조롱도 랭크뉴스 2025.03.28
45617 장제원 전 의원, ‘비서 성폭행 혐의’ 경찰 조사 받아 랭크뉴스 2025.03.28
45616 경북 산불 1주일 만에 진화…‘1㎜ 단비’가 기적 불렀다 랭크뉴스 2025.03.28
45615 [단독]'비서 성폭력 의혹' 장제원 전 의원 첫 경찰 소환 조사 랭크뉴스 2025.03.28
45614 미얀마 내륙서 규모 7.7 강진‥1,000km 밖 방콕 빌딩까지 '와르르' 랭크뉴스 2025.03.28
45613 장제원 전 의원 '비서 성폭력 의혹' 경찰 소환 조사 랭크뉴스 2025.03.28
45612 ‘7.7 규모’ 미얀마 진앙 만델레이 병원에만 최소 20명 사망 랭크뉴스 2025.03.28
45611 [속보]우원식 국회의장, 한덕수 권한대행 권한쟁의심판 청구 접수 랭크뉴스 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