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18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에서도 부정선거 의심 증거로 등장한 ‘붙어 있는 자석 투표지’는 정전기 때문이라고 신수정 교수가 감정했다. 신 교수는 “두 장을 뗐을 때 손상이 없었고 분석 이후 다시 저절로 붙어 있었다”고 설명했다.
부정선거론자들이 ‘일장기 투표지’ 다음으로 많이 거론하는 의혹이 ‘신권다발 투표지’다. 21대 총선 연수을 선거무효소송 재검표에서 사용하지 않은 지폐처럼 보이는 투표지 묶음이 발견되면서 ‘신권다발’이란 이름이 붙었다. 황교안 전 국무총리는 “4·15 총선 재검표장에서 빳빳한 신권다발 투표지를 내 두 눈으로 똑똑히 봤다. 부정선거라고 확신하는 증거”라고 주장한다. 접힌 흔적도 없는 ‘빳빳한’ 투표지는 외부에서 비정상적으로 찍어내 유입된 투표지일 테니 선거 조작의 명백한 증거라는 것이다. 과연 그럴까.
신수정 충북대 목재종이학과 교수가 지난 19일 충북대 인근 카페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는 모습.

연수을 재판 때 투표용지를 감정했던 신수정 충북대 목재종이학과 교수는 지난 19일 중앙일보와 만나 “당시 원고(민경욱 전 의원) 측이 고른 투표용지의 재질과 인쇄 상태, 잉크 등을 종합적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 사전·당일 투표용지와 차이가 없었다. 외부 유입 종이가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신권다발처럼 보이는 빳빳한 투표지에 대해선 “겉으로 그렇게 보였을 수 있지만 현미경이 아닌 돋보기로도 접힌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신 교수가 언론 인터뷰에 응한 것은 2022년 7월 대법원 기각 선고 이후 처음이다.

빳빳한 투표지? 돋보기로도 접힌 흔적
원고 측에서는 빳빳한 투표용지 중 10장을 골라 감정을 의뢰했다. 감정 결과 10장 중 6장에서 접힌 흔적(녹색 점선)이 발견됐다.
신 교수에 따르면 신권다발 투표지라며 원고 측이 의뢰한 투표용지 10장 중 6장(60%)은 실제로는 접힌 투표지였다. 안 접힌 투표지는 4장(40%)이었다. 또 ‘일장기투표지’ ‘본드투표지’ ‘배춧잎투표지’ 등 감정 대상 투표지 122장 전체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접힌 투표지는 72장(59%), 안 접힌 투표지가 50장(41%)으로 비율이 같았다. 평균적으로 투표자 5명 중 3명은 투표지를 접어서 넣고 2명은 접지 않고 투표함에 넣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투표용지가 신권다발처럼 보인 이유에 대해 신 교수는 “고무줄로 묶은 상태로 투표지를 보관하면 공기가 빠지고 압력이 가해지면 투표지가 더 펴지게 된다”며 “접지 않은 투표지의 경우 이런 현상이 더 심하다”고 말했다. 이어 “관외 사전 투표의 경우 봉투가 투표용지보다 커서 접지 않는 경우도 있고, 애초에 접지 않고 말아서 넣는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다.

의심 투표지 조작 흔적 없었다 더욱 중요한 대목은 ‘빳빳한 투표지’가 외부에서 대량으로 찍어냈는지 여부다. 신 교수는 “기존 선관위의 투표용지와 의심되는 투표지의 성질을 비교했지만 다르다고 볼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신 교수는 원고가 부정선거로 의심된다며 제출한 투표지 122장(사전투표 102장, 당일투표 20장)과 선관위가 보관하고 있던 투표용지에 사전투표 당시 실제로 쓰인 잉크젯 프린터로 만든 법정생성물 390장을 비교했다. 그는 약 50일간 500여 장 종이의 두께, 색깔, 밝기, 불투명도, 굴절 등 7가지 항목을 검토했다.

투표용지가 외부에서 위조된 것인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한 절차였다. 그 결과 원고가 의혹을 제기한 감정 대상 투표지와 선관위가 보관하던 투표용지에 총선 당일 사용된 잉크젯 프린터로 찍은 사전투표지(법정생성물) 사이에 오차 범위는 대부분 표준편차 이내였다. 각 실험 항목에서 1~2장씩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것이 있었지만 차이가 뚜렷하게 크지 않아 다른 투표용지로 볼 수 없다고 신 교수는 판정했다.

결국 신 교수는 “사전투표 용지는 모두 선관위가 갖고 있던 용지와 잉크로 동일하게 찍힌 것으로 밝혀졌으며 의심되는 투표지 모두 외부에서 위조·조작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 결론”이라고 말했다.

투표지 감정 결과 ①빳빳한 투표용지
겉으론 새것처럼 보여도 돋보기나 현미경으로 보면 접힌 흔적이 보인다

②신권다발 투표지
묶인 상태로 시간이 지나고 압력이 가해지면 새것처럼 보일 수 있다

③형상기억종이 논란
그런 종이는 없지만, 종이는 원래 상태로 회복하려는 성질을 갖고 있다

④대량 위조 가능성
의심되는 투표용지와 선관위 용지의 성질을 비교했지만, 조작 흔적 없었다

자료: 인천연수투표용지 관련 감정보고서 및 (2022년 2월) 감정인 신수정 교수

형상기억, 학계엔 없는 말…없어서 없다고 한 것 빳빳한 투표지를 놓곤 ‘형상기억종이’라는 논란도 있었다. 당초 이 논란은 선관위가 ‘신권다발 투표지’ 논란을 해명하기 위해 제작한 영상에 등장하며 시작됐다. 선관위는 빳빳한 투표용지에 대해 ‘원상복원기능이 있는 특수재질’이라는 영상을 제작해 배포했는데 이것이 부정선거론자들 사이에서 조롱거리가 됐다. 있지도 않은 종이로 빳빳한 투표지를 해명하려 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신 교수는 겉보기에는 빳빳한 투표지로 보였어도 실제론 접힌 흔적이 발견됐던 점을 다시 거론하며 형상기억종이 논란을 일축했다. 신 교수는 “원고 측이 ‘종이에 주석 성분을 포함시키면 형상기억종이를 만들 수 있냐’는 질문을 재판정에서 내게 했다”면서 “하지만 이런 성분이 포함된 종이는 없을 뿐 아니라 감정한 투표용지 중 이런 성분이 포함된 것은 없었다”고 밝혔다. 단 신 교수는 “종이는 원상으로 복원하려는 성질을 갖고 있다. 접힌 종이도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펴질 수 있다”며 시간이 지나면 원래대로 돌아오려는 종이의 속성을 염두에 두고 빳빳해 보이는 투표지를 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위조된 투표용지인지 여부는 빳빳해 보이는 외양만으론 곤란하고 실제 종이의 특성, 인쇄 상태와 같은 세밀한 특징을 놓고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신 교수는 자신을 감정인으로 추천한 원고 측이 감정 결과를 부정하면서 부정선거의 근거로 사용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그는 “사실 저를 추천한 건 민경욱 전 의원 측이었다”며 “그런데도 감정 결과를 믿지 못하는 건 이미 정답을 정해 놓고 실험 결과를 해석하기 때문”이라고 토로했다.
김정인이 말하는 형상기억 종이의 진실
Q : 형상기억 종이 없다 발언, 처음에 어떻게 나왔나.

A :
신수정 교수 (이하 신): 2021년 11월 감정인 심문 전에 누군가 다가가와 ‘형상기억종이라는 게 있나요?’라고 물었다. 그래서 없다고 답했다.

Q : 없다고 한 이유는?

A :
당시 떠올린 형상기억 종이는 문자 그대로 형상(形像), 사물의 생긴 모양이나 상태를 기억하고 다시 그 모양을 재현하는 종이였다. 예를 들면 종이로 눈사람이나 코끼리를 만든 후 펼쳤다가 다시 그 모양을 만드는. 물론 그런 건 학계에서도 없는 개념이라 없다고 한 것.

Q : 접었던 종이가 펴지는 것을 형상 기억라고 해석할 순 없나?

A :
신: 접힌 종이가 시간이 지나 펴지는 것은 그저 종이의 기본적인 성질일뿐. 이걸 형상기억 종이라고 해석할 수 없다.

Q : 발언이 의도와 달리 전파된 것?

A :
신: 그렇다.

Q : 이를 알았을 때 심경은

A :
신: 자신의 논리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부분을 파악해 그것만 알리고 있다. 제가 실제 감정한 것들은 아무도 얘기를 안한다. 그들 주장에 상반되는 감정을 했는데도 사람들은 나를 부정선거론자로 알더라. 황당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160 [속보] 한은, 기준금리 0.25%p 인하…성장률도 1.5%로 하향 조정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59 [1보] 한은, 기준금리 0.25%p 인하…연 3.00→2.75%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58 [단독] '선거조작·조폭' 손가락질했는데…중국인 범죄율 실체는?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57 국방부,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에 기소휴직 명령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56 “외국에서 퇴짜” 해외 리콜제품 국내에서 알리·테무 통해 유통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55 최상목 "해제 가능 '그린벨트 총면적' 17년 만에 확대"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54 尹 탄핵 심판, 오후 2시 마지막 변론… ‘무제한’ 최후 진술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53 워런버핏의 '피맥 파티'가 의미하는 것[3월 주식시장 키워드③]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52 [속보] 국방부, 전 계엄사령관 박안수 총장 기소휴직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51 신상 털린 사이버레커 뻑가 "잃을 거 없다, 총력 다해 맞설 것"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50 [속보] 與, 崔대행에 상법·명태균특검법 거부권 행사 요청키로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49 최상목 “17년 만에 해제할 수 있는 그린벨트 총면적 확대”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48 정부 “해제 가능 그린벨트 총면적 확대…1·2급지도 개발 허용”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47 유튜브·인스타로 옮겨간 ‘일베 놀이’…10대, 극우에 물든다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46 "尹, 구질구질한 스타일 아니다…임기 연연해 하지 않아"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45 [속보] 최상목 "해제할 수 있는 그린벨트 총면적 17년 만에 확대"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44 국민의힘에도 ‘비명계’ 생기나···대선 국면서 탄핵 반대파에 ‘역공’ 주목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43 이준석, 자신 다룬 다큐 보고 "압도적 새로움으로 조기대선 치를 것"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42 [속보] 최상목 대행 “해제할 수 있는 그린벨트 총면적 17년 만에 확대”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41 ‘문형배 음란물’ 가짜뉴스 논란…조회수 장사에 멍드는 민주주의 new 랭크뉴스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