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내란에 가담한 인물들이 사용한 비화폰 수사가 계속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비화폰 통화 기록이 경호처 서버에 남는 걸로 알려졌는데, 이에 대한 경찰의 압수수색은 경호처가 가로막고, 경호처 수뇌부를 강제수사 하려는 건 또 검찰이 막아서고 있기 때문이죠.
그사이 김성훈 경호처 차장이 직원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비화폰 데이터 삭제를 지시한 정황이 담긴 내부 문건을, 경찰이 확보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변윤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은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대통령에게 '비화폰'으로 지시를 받았다고 폭로했습니다.
[곽종근/전 특수전사령관(지난해 12월 10일)]
"대통령께서 비화폰으로 제게 직접 전화를 하셨습니다‥ 의결정족수가 아직 안 채워진 것 같다, 빨리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안에 있는 인원들을 끄집어내라‥"
군 수뇌부는 물론 이상민·박성재 등 국무위원, 또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 심지어 민간인인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도 '무궁화폰'으로 불리는 비화폰을 갖고 있었습니다.
비화폰은 통화 녹음이 안되지만 통화 기록은 경호처 서버에 남아 있습니다.
그런데 김성훈 차장이 경호처에 비화폰 기록 삭제를 지시한 정황을 경찰이 추가로 포착했습니다.
경찰이 확보한 경호처 내부 문건엔, 비상계엄이 해제된 이후인 12월 7일 김성훈 차장이 전체 단말기 내 데이터 삭제를 지시한 걸로 나옵니다.
그러나 문건 작성자는 기록 삭제가 가능은 하지만 형법 155조 증거인멸 관련 문제의 소지가 있다고 적시했습니다.
김 차장의 지시가 위법하다는 걸 경호처 직원들이 알고 있었다는 뜻입니다.
경찰은 김 차장의 지시가 직권남용이라고 보고 경호처 문건을 첨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지만, 검찰은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비화폰 보안 강화를 위한 여러 방안을 검토한 거'란 김 차장 측 주장을 받아들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 사이 김 차장이 이끄는 경호처는 번번이 경찰의 압수수색을 막고 있고, 자체 규정이라는 이유로 비화폰 서버는 이틀마다 지워지고 있습니다.
[김성훈/경호처 차장(지난달 24일)]
"이틀마다 자동 삭제하게 돼 있습니다. 자동 삭제돼 있는 거를 제가 지시할 이유도 없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저지부터 비화폰 기록삭제까지 김차장이 주도했음을 방증하는 문건이 잇따라 나왔지만, 검찰은 신병확보에 계속 소극적이었던 겁니다.
이에 대해 검찰 관계자는 "경호처 관련자들 진술과 해당 문건 내용이 배치되는 부분이 있었고 혐의 소명에 부족함이 있다고 판단한 것"이라며 "문건 하나만으로 검찰이 구속영장을 기각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결국 경찰은 서부지검이 영장을 기각한 김성훈 차장, 이광우 경호본부장에 대해, 오늘 서울고검에 구속영장 심의를 신청했습니다.
MBC뉴스 변윤재입니다.
영상편집: 안윤선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