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근육에도 시술 사례 늘어
고용량 사용, 내성 적은 제품 찾아
얼굴 미용 시술에 사용하던 보툴리눔 톡신이 승모근이나 종아리 같은 대형 근육에도 사용되고 있다. 큰 근육에는 고용량으로 시술할 수 밖에 없어 내성 가능성이 적다고 알려진 일부 제품이 품귀 현상까지 빚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보툴리눔 톡신의 내성에 대해 의학적인 연구가 아직 부족하므로 내성이 적은 제품이라고 맹신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했다.
24일 의료계와 제약업계에 따르면 일부 피부과 의원에서 보툴리눔 톡신 ‘제오민’을 구하지 못하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제오민은 독일 제약사 멀츠의 제품이다. 한국 법인인 멀츠에스테틱스 코리아는 “제오민의 국내 수요가 증가하면서 물량이 부족해진 상태”라며 “공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공급을 늘릴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보툴리눔 톡신은 식중독균인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균(菌)에서 추출한 단백질로, 근육 마비를 일으켜 근육을 축소하고 주름을 펴는 효과를 낸다 미국 애브비의 ‘보톡스’란 상품명으로 잘 알려졌다. 최근 국내에서 보툴리눔 톡신을 얼굴뿐 아니라 승모근, 종아리에도 사용하고 있다. 큰 근육을 축소시켜 몸매를 보정하는 것이다.
문제는 큰 근육에는 보툴리눔 톡신 사용량이 큰 만큼 내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승모근과 종아리에는 보툴리눔 톡신을 얼굴 주름에 사용하는 용량의 2~4배를 사용한다고 알려졌다. 의사들 사이에는 큰 근육에 주기적으로 사용하다 보니 효과가 떨어지는 내성 사례들이 늘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업계는 이런 내성 우려 때문에 제오민 수요가 증가했다고 본다. 멀츠는 제오민이 복합단백질을 줄이는 방식으로 보툴리눔 톡신의 순도를 높여 내성이 생길 가능성을 낮췄다고 설명했다. 복합단백질은 신경독소의 구조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물질이다.
하지만 의학적으로는 아직 보툴리툼 톡신이 왜 내성을 일으키는지, 얼마나 많이 맞아야 내성이 발생하는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보툴리눔 톡신을 고용량으로 맞고도 내성이 발생하지 않거나, 순도가 높은 제품을 맞고도 효과가 없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내성 발생 빈도는 개인차가 크지만, 아직 그 이유는 찾지 못하고 있다.
한 피부과 전문의는 “고순도 퓨어(pure)형 톡신이라고 해서 무조건 효과가 좋거나 안전하다는 의학적 근거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며 “보툴리눔 톡신의 사용 목적, 빈도, 가격 등을 고려해 맞는 제품을 선택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고용량 사용, 내성 적은 제품 찾아
보툴리눔 톡신 제품을 사용한 시술 장면. 의료계에 따르면 최근 멀츠의 퓨어형 톡신 제품인 제오민의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승모근, 종아리 같은 큰 근육에 보툴리눔 톡신을 사용하는 빈도가 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조선DB
얼굴 미용 시술에 사용하던 보툴리눔 톡신이 승모근이나 종아리 같은 대형 근육에도 사용되고 있다. 큰 근육에는 고용량으로 시술할 수 밖에 없어 내성 가능성이 적다고 알려진 일부 제품이 품귀 현상까지 빚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보툴리눔 톡신의 내성에 대해 의학적인 연구가 아직 부족하므로 내성이 적은 제품이라고 맹신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했다.
24일 의료계와 제약업계에 따르면 일부 피부과 의원에서 보툴리눔 톡신 ‘제오민’을 구하지 못하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제오민은 독일 제약사 멀츠의 제품이다. 한국 법인인 멀츠에스테틱스 코리아는 “제오민의 국내 수요가 증가하면서 물량이 부족해진 상태”라며 “공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공급을 늘릴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보툴리눔 톡신은 식중독균인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균(菌)에서 추출한 단백질로, 근육 마비를 일으켜 근육을 축소하고 주름을 펴는 효과를 낸다 미국 애브비의 ‘보톡스’란 상품명으로 잘 알려졌다. 최근 국내에서 보툴리눔 톡신을 얼굴뿐 아니라 승모근, 종아리에도 사용하고 있다. 큰 근육을 축소시켜 몸매를 보정하는 것이다.
문제는 큰 근육에는 보툴리눔 톡신 사용량이 큰 만큼 내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승모근과 종아리에는 보툴리눔 톡신을 얼굴 주름에 사용하는 용량의 2~4배를 사용한다고 알려졌다. 의사들 사이에는 큰 근육에 주기적으로 사용하다 보니 효과가 떨어지는 내성 사례들이 늘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업계는 이런 내성 우려 때문에 제오민 수요가 증가했다고 본다. 멀츠는 제오민이 복합단백질을 줄이는 방식으로 보툴리눔 톡신의 순도를 높여 내성이 생길 가능성을 낮췄다고 설명했다. 복합단백질은 신경독소의 구조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물질이다.
하지만 의학적으로는 아직 보툴리툼 톡신이 왜 내성을 일으키는지, 얼마나 많이 맞아야 내성이 발생하는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보툴리눔 톡신을 고용량으로 맞고도 내성이 발생하지 않거나, 순도가 높은 제품을 맞고도 효과가 없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내성 발생 빈도는 개인차가 크지만, 아직 그 이유는 찾지 못하고 있다.
한 피부과 전문의는 “고순도 퓨어(pure)형 톡신이라고 해서 무조건 효과가 좋거나 안전하다는 의학적 근거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며 “보툴리눔 톡신의 사용 목적, 빈도, 가격 등을 고려해 맞는 제품을 선택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