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윤운식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더불어민주당의 상속세 개편안이 입법될 때 최대 수혜층은 어디일까? 지난 대선에서 이재명 민주당 후보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에게 밀린 서울과 수도권 일부 지역에 포진한 아파트를 상속하려는 이들이다. 민주당 안이 현실화할 때 면세 대상에 추가되는 시가 10억~18억원 아파트 비중이 큰 지방자치단체들은 지난 대선 때 국민의힘이 우세를 보였던 지역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홍정훈 한국도시연구소 책임연구원은 한겨레 의뢰로 민주당 상속세 개편안의 수혜 지역을 추산한 결과를 내놨다. 상속세 면세 대상을 시가 10억원 이하에서 18억원 이하 아파트로 확대하는 민주당 안에 맞춰 10억~18억원 아파트가 많은 지역을 따져본 것이다. 민주당의 상속세 개편안의 뼈대는 일괄공제(5억→8억원)와 배우자공제(5억→10억원)를 끌어올리는 것이다. 해당 분석은 ‘2024년 공동주택 공시가격’에 현실화율(69%) 근사치인 70%를 적용해 역산한 결과다. 다만 아파트 시세만을 토대로 이뤄진 터라 전체 상속세 수혜 규모를 온전히 살피는 데는 한계가 있다. 다주택이나 부부 공동명의 여부, 금융재산 규모는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 민주당 개편안으로 상속세 부담을 덜 수 있는 아파트는 서울·수도권에 몰려 있었다. 전체 아파트 가운데 10억~18억원 아파트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경기 과천시다. 해당 지역 아파트 10곳 중 7곳이 면세 대상이 된다. 서울 성동구(52.5%), 성남 분당구(47.7%)와 서울 광진구(47.7%), 마포구(39.1%), 동작·용산구(39.0%), 강동구(36.0%), 중구(34.6%), 송파구(33.9%) 등의 순으로 면세 대상 아파트 비중이 높았다. 전체 아파트 가운데 면세 대상 아파트 비중이 20%를 웃돈 지역은 전국 250개 시군구 가운데 서울 자치구와 과천·성남시 등 17곳에 불과했다. 민주당 개편안의 수혜가 서울과 경기도 일부 자치구에 한정된다는 뜻이다.

면세 범주에 포함되는 아파트의 가구수 기준으로는 성남시 분당구가 약 6만가구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 송파구(4만5천가구), 강동구(3만5천가구) 등의 순이었다. 강남·서초구는 면세 범주 대상에 속한 아파트가 적었다. 대부분 18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가 해당 지역에 포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 안대로 입법되면 전국 아파트 가운데 상속세 납부 대상 아파트 비중은 6.3%에서 1.9%로 확 줄어든다. 면세 대상에 추가되는 아파트는 약 55만채에 이른다.

공교롭게도 추가 공제 대상 아파트가 많이 있는 지역들은 지난 대선 때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이 열세를 보인 지역과 겹친다. 면세 대상에 속하는 아파트 가구수가 많은 상위 11개 자치구(분당·송파·강동·성동·강남·양천·마포·서초·동작·영등포·광진구) 모두 지난 대선 때 윤석열 후보가 우위를 보인 지역구다. 이 대표는 지난 대선 때 24만7077표(득표율 0.73%포인트) 차로 대권을 놓쳤다.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상속세 과세 대상에 포함되는 아파트 수도 늘었다는 점에서 공제율 조정의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실제 2023년 전체 피상속인(사망자) 가운데 상속세 과세 대상자 비중은 6.9%였지만 2020년엔 2.6%에 그쳤다.


하지만 상속세 대상자들이 자산 계층인데다, 민주당이 겨냥한 수혜자들이 특정 지역에 쏠려 있는 현실은 앞으로 논란을 부를 수 있다. 오건호 내가만드는복지국가 정책위원장은 “종합부동산세를 내지 않는 상한선(공시가 12억원)과 맞춘 상속세 공제 확대는 부자 감세인데 중산층 감세로 민주당이 호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치권에서도 반발이 나온다.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정책위의장)은 이날 당 최고위원회에서 “개별 세목 중엔 완화해야 하는 부분도 있을 수 있다”면서도 “세금은 거대 양당만의 문제가 아니다. 국회에 조세개혁특위를 설치하자. 선거용 졸속 감세 정책이 아니라 백년지대계를 논의하자”고 주장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046 병역 기피로 체포된 '대만 첫사랑'…왕대륙, 형사 처벌은 피한다 왜 랭크뉴스 2025.02.25
47045 대낮 제주 특급 호텔서 살인 사건이… 용의자는 중국인 4명 랭크뉴스 2025.02.25
47044 "죽을 뻔 했는데 2억8500만원은 받아야"…델타항공 탑승객들 '줄소송' 랭크뉴스 2025.02.25
47043 먼저 치고 나간 홍준표 “탄핵 대선 시작되면 바로 시장 사퇴” 랭크뉴스 2025.02.25
47042 "러시아에 땅 주려고 목숨 바쳤나"‥우크라이나의 분노 랭크뉴스 2025.02.25
47041 ‘중국 간첩단 보도’ 캡틴아메리카남 조사…경찰 “미국 국적 아니다” 랭크뉴스 2025.02.25
47040 ‘이것’ 먹는 사소한 습관, 무서운 대장암 예방한대요 랭크뉴스 2025.02.25
47039 경기 화성서 SUV가 승용차와 보행자 덮쳐…4명 부상 랭크뉴스 2025.02.25
47038 형광 조끼 입고 교통 통제?…中서 목격된 '130㎝' 로봇 정체 랭크뉴스 2025.02.25
47037 자칭 ‘CIA 블랙요원’ 극우 캡틴아메리카…경찰 “육군 병장 제대” 랭크뉴스 2025.02.25
47036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청력도 떨어뜨린다 랭크뉴스 2025.02.25
47035 ‘아메리카 퍼스트’ 롤린스 美 농무장관… 30개월 이상 소고기 수입 압박 나서나 랭크뉴스 2025.02.25
47034 윤 대통령 탄핵심판 마지막 변론…이르면 3월 중순 선고 랭크뉴스 2025.02.25
47033 美, '러 침략 규탄' 거부하며 유엔총회서 우크라·유럽과 충돌 랭크뉴스 2025.02.25
47032 與 “연금 소득대체율 42%~43%로… 44% 수용 못 해” 랭크뉴스 2025.02.25
47031 트럼프 관세폭탄에… 애플, 4년간 미국내 714조원 투자 랭크뉴스 2025.02.25
47030 뉴욕증시, 반등 모멘텀 잃고 급변동성 보이며 혼조 출발 랭크뉴스 2025.02.25
47029 [계엄의비용] 투자도 고용도 못한다‥'불확실성'에 최악의 경제 손실 랭크뉴스 2025.02.25
47028 [사설] 윤 대통령 최후진술, 승복 약속하고 통합메시지 내야 랭크뉴스 2025.02.25
47027 '킬링미소프트리…' 美팝스타 로베타 플랙 별세…향년 88세 랭크뉴스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