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LH, 개발이익으로 비수익 사업 손실 보전
토지주택연구원 “교차보전 지속가능성 어려워”
“정부 재정 지원 확대돼야” 지적

LH 사옥. /자료사진

개발이익이 막대하다는 비판을 줄곧 받아온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최근 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공적 역할을 확대하면서, 재무건전성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이익을 통해 임대주택 공급 등 비수익 사업을 보전하는 ‘교차보전 체계’에 한계가 왔다는 내부 분석마저 나왔다. LH는 건설 경기가 얼어붙자 공공주택 공급 확대, 지방 악성 미분양 아파트 직접 매입 등 공적 역할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주요 수익원인 토지·주택 등의 분양자산을 통한 이익 창출이 부진하며 비수익 사업의 손실을 보전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는 것이다.

24일 LH에 따르면 최근 LH 산하 토지주택연구원은 ‘개발이익 발생 구조와 교차보전 체계의 성과와 한계’라는 보고서를 내부적으로 공유했다. 이 보고서는 “LH는 수익-비수익 간의 교차보전 체계를 통해 공공성 있는 정책사업을 수행하고 있다”며 “토지 및 분양주택 부문의 이익이 발생하는 구조에서는 교차보전의 체계가 유지되고 있으나 최근 교차보전 체계의 지속가능성은 한계에 도달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LH는 토지·주택 등 분양자산 등을 매각해 얻은 이익으로 임대주택의 운영 손실을 보전하고 판관비·이자비용 등을 지급 후 당기순이익을 창출하는 구조다. 이른바 ‘교차보전 체계’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교차보전 체계에서 LH는 공공임대 등 공적 사업을 수행하면서 재무건전성이 흔들리는 상황이다. LH는 수방사 부지 등을 개발하며 얻은 막대한 개발이익을 지역에 환원해야 한다는 지적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익이 비수익 사업에 투입되면서 LH는 사업수지 적자로 인해 부채비율은 이미 200%를 넘었고 이 비율은 매년 평균 8% 수준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정부가 지방 건설경기를 짓누르는 미분양 해소를 위해 '악성 미분양' 3000가구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들이는 방안을 내놓았다. 사진은 지난 19일 경기도 평택시 한 아파트 견본주택 모습. /연합뉴스

최근 들어서는 LH가 주거안정 정책 이행의 역할이 커지면서 이러한 교차보전 체계마저 무너질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LH는 건설경기 하락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인내싱(PF) 위기 대응을 위한 공적 역할을 확대하고 있다. 민간 건설사의 주택 공급 공백을 막기 위해 공공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매입임대주택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또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직접 매입해 민간 건설사에 대한 지원에도 나선다.

이처럼 정부의 정책 사업을 위한 지출은 늘었지만 기존 토지·분양주택 매각을 통해 얻던 수익은 줄어들었다. 민간 건설사들이 개발 사업이 줄어들면서 토지 분양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여기에 건축비와 금융비용 상승으로 개발사업의 발생이익도 감소하고 있다. 토지주택연구원이 부동산 경기 변동에 따른 교차보전 체계의 지속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시나리오 분석(스트레스 테스트)도 수행한 결과 분양용지, 분양주택의 회수율 조정에 따라 손실 폭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작년 이후 주거안정정책수행과 주택공급 물량 확대로 기존 투자-회수 체계는 균형점을 벗어나며 투자 대비 회수 여력이 현저히 감소했다”며 “최근 공사비 상승과 민간건설사업 부진에 따라 LH가 공급하는 용지에 대한 대금 회수가 지연되고 있다. 계획된 공급 물량 대비 저조한 회수 실적은 중장기적 발생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했다.

LH가 지금처럼 정부의 정책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사업물량 조정, 사업 다각화와 함께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게 연구원의 주장이다. 보고서는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경우 임대주택 등 손실사업을 보전하기 위한 수익사업에서의 이익 가능성이 낮아짐에 따라 사업수지 개선 여력이 약화돼 정책사업에 차질이 예상된다”며 “임대주택 건설·매입 사업비의 정부 보전액 확대 및 수선 유지비에 대한 재정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888 [속보]명태균 특검법·상법 개정안 국회 소위 통과…‘쟁점 법안’ 속도전 나선 야당 랭크뉴스 2025.02.24
46887 치고 빠지다 정면돌파…‘김형두식 질문법’ 화제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2.24
46886 박성재, 탄핵심판 각하 요청‥"소추권 남용 비상계엄 선포 이유 중 하나" 랭크뉴스 2025.02.24
46885 [속보] ‘명태균 특검법’, 국회 법사위 법안소위 통과 랭크뉴스 2025.02.24
46884 캐나다→고창읍 ‘실버타운 역이민’…월 100만원 노년의 집 랭크뉴스 2025.02.24
46883 ‘주주충실의무·전자주총’만 담은 상법개정안, 법사위 소위 통과 랭크뉴스 2025.02.24
46882 [속보] 경찰, 서울고검에 경호차장 등 구속영장 심의 신청 랭크뉴스 2025.02.24
46881 권성동 “윤 대통령 탄핵 심판 결과, 수용할 수밖에 없어” 랭크뉴스 2025.02.24
46880 "10만원짜리 서비스가 공짜래"…입소문 나자 외국인도 몰렸다, 뭐길래? 랭크뉴스 2025.02.24
46879 “머스크 보다 비호감”...美 ‘국민 밉상’ 된 저커버그 랭크뉴스 2025.02.24
46878 독일 정계 지각변동…중도보수 승리, 극우 AfD 2위 ‘역대 최고’ 랭크뉴스 2025.02.24
46877 부동산 공법 1타 강사, 아내가 휘두른 양주병에 맞아 숨져 랭크뉴스 2025.02.24
46876 백화점 브랜드도 ‘덕다운’이 ‘구스’로… 일부 자발적 리콜 랭크뉴스 2025.02.24
46875 탄핵반대 집회 간 이장우, 격려의 ‘불끈’…계엄 땐 출근도 않더니 랭크뉴스 2025.02.24
46874 “라면 1개만…” 슈퍼에 외상한 청년, 취업 후 쓴 편지 [아살세] 랭크뉴스 2025.02.24
46873 [속보] 경찰, 서울고검에 경호차장 구속영장 심의 신청 랭크뉴스 2025.02.24
46872 “하루 커피값으로 수입차 타세요”… 알고보니 ‘돌려막기 사기’ 랭크뉴스 2025.02.24
46871 “공매도 재개, 전 종목 대상” 금융위 공식 입장 랭크뉴스 2025.02.24
46870 마다가스카르서 한국인 선교사 2명 강도 공격으로 사망 랭크뉴스 2025.02.24
46869 “이사 충실의무 대상 확대”…상법 개정안, 野주도 법사위 소위 통과 랭크뉴스 2025.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