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할 것이라는 관측소식이 힘을 얻고 있는 가운데 주요 시중 은행 예금 금리가 2% 내려 앉으면서 은행들이 예대 마진 통한 이자 장사를 하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자사 ‘KB스타 정기예금’의 최고금리를 기존 연 3.00%에서 2.95%로 인하했다고 발표했다. 이 상품의 금리가 2%대로 내려간 것은 2022년 7월 이후 약 2년 7개월 만이다.
신한은행도 지난 20일부터 ‘쏠편한 정기예금’의 최고금리를 3.00%에서 2.95%로 0.05%포인트 낮추며 2%대 금리에 진입했다.
그동안 은행들은 시장금리 하락을 선반영해 금리를 조정해왔지만 일부 은행들은 여론을 고려해 금리 인하 시점을 지연시키기도 했다.
KB국민은행은 “기준금리 인하 기대를 반영해 금리를 조정했으며, 대표 수신 상품의 금리가 3%대에서 2%대로 바뀌는 것에 상징적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대출금리의 경우 여전히 시장금리 하락만큼 크게 떨어지지 않고 있다. 은행들이 가계대출 관리 등을 이유로 대출금리 인하에 신중을 기하는 가운데 예대금리차는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예대금리차는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를 의미하는데 이 차이가 클수록 은행들은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다른 은행들도 이를 이유로 예금금리를 2%대로 낮추고 예대금리차가 더 벌어질 것”이라며 예대금리차 확대에 대한 우려를 전했다.
12월 기준 예대금리차는 1.43%로 전월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예금금리 하락 폭이 대출금리보다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금융권에서는 오는 25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가 2.75%로 0.25%p 인하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나머지 시중은행들도 예금금리를 2%대로 내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 은행들의 예금금리 인하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자사 ‘KB스타 정기예금’의 최고금리를 기존 연 3.00%에서 2.95%로 인하했다고 발표했다. 이 상품의 금리가 2%대로 내려간 것은 2022년 7월 이후 약 2년 7개월 만이다.
신한은행도 지난 20일부터 ‘쏠편한 정기예금’의 최고금리를 3.00%에서 2.95%로 0.05%포인트 낮추며 2%대 금리에 진입했다.
그동안 은행들은 시장금리 하락을 선반영해 금리를 조정해왔지만 일부 은행들은 여론을 고려해 금리 인하 시점을 지연시키기도 했다.
KB국민은행은 “기준금리 인하 기대를 반영해 금리를 조정했으며, 대표 수신 상품의 금리가 3%대에서 2%대로 바뀌는 것에 상징적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대출금리의 경우 여전히 시장금리 하락만큼 크게 떨어지지 않고 있다. 은행들이 가계대출 관리 등을 이유로 대출금리 인하에 신중을 기하는 가운데 예대금리차는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예대금리차는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를 의미하는데 이 차이가 클수록 은행들은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다른 은행들도 이를 이유로 예금금리를 2%대로 낮추고 예대금리차가 더 벌어질 것”이라며 예대금리차 확대에 대한 우려를 전했다.
12월 기준 예대금리차는 1.43%로 전월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예금금리 하락 폭이 대출금리보다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금융권에서는 오는 25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가 2.75%로 0.25%p 인하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나머지 시중은행들도 예금금리를 2%대로 내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 은행들의 예금금리 인하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