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AP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에 가입한다면 대통령직에서 물러날 뜻이 있다고 밝혔다.

로이터, AFP 통신 등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우크라이나에 평화가 온다면, 내가 정말 이 자리에서 떠나기를 바란다면 나는 준비돼 있다”며 “조건이 즉시 제공된다면 나토와 그것(대통령직)을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를 배제한 채 미국과 러시아가 종전 협상을 시작한 가운데 우크라이나 안전보장을 위해 나토 가입을 ‘레드 라인’으로 내건 셈이다.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은 종전 협상의 최대 쟁점이다. 러시아 역시 나토 가입 포기를 종전의 조건의 한계선으로 그었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또 젤렌스키 대통령이 지난해 5월 임기가 종료된 이후에도 계엄령을 이유로 선거를 치르지 않고 불법으로 대통령직을 유지한다고 주장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에 부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은 “실용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말했으며, 페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도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은 협상에서 비현실적인 목표”라고 말한 바 있다. 게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의 논리를 그대로 따와 젤렌스키 대통령을 “선거를 치르지 않은 독재자”라고 부르면서 우크라이나의 입지는 매우 좁아졌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에 대해 “진짜 독재자였다면 기분이 상했겠지만 나는 독재자가 아니다. 합법적으로 선출된 대통령”이라며 괘념치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단순한 중재자 이상의 역할을 해주기를 바란다.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말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입장을 이해하기를 바란다면서 러시아로부터 스스로 방어할 수 있도록 안보를 보장해 달라고 강조했다.

미국과 우크라이나의 광물 협상에 대해선 “진전을 이루고 있다”며 이날도 양국 당국자들이 연락했다고 덧붙였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광물 협상에서 지난 3년간 우크라이나에 제공한 원조의 대가로 5천억달러(약 719조원) 상당을 요구한 것과 관련해 “오늘 저녁부터 5000억 달러 문제는 더이상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우크라이나가 빚을 졌다는 생각을 거부한다며 우크라이나를 채무자로 만드는 어떤 형식의 최종 합의도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침공으로 시작된 전쟁 3주년인 24일 중요한 정상회의가 열린다면서 “아마도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이 회의에 13명의 지도자가 대면으로, 24명의 지도자는 온라인으로 참여한다고 설명했다.

이날 젤렌스키 대통령의 기자회견이 열리기 전 우크라이나 고위 당국자들이 참여한 기자회견도 따로 마련됐다.

키릴로 부다노우 우크라이나군 정보총국장은 기자회견에서 러시아군의 최전선 탄약 수요의 50%를 북한이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러시아에 170㎜ 자주곡사포와 240㎜ 다연장 로켓 발사 시스템도 대규모로 공급하기 시작했다고도 덧붙였다.

미·러 종전 협상과 관련, 안드리 예르마크 우크라이나 대통령 비서실장은 우크라이나의 독립, 영토 보전, 주권은 타협 대상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율리아 스비리덴코 제1부총리 겸 경제장관은 현재 러시아군에 점령된 영토에 약 3천500억달러(약 503조4천750억원) 상당의 중요 자원이 매장돼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이 희토류 협상 과정에서 우크라이나에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를 차단할 수 있다고 경고한 것으로 알려진 데 대해 루스템 우메로우 국방장관은 “해결책이 있고 대안이 있다”며 대안을 모색 중이라고 답했다.

한편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에 러시아가 총 267대의 드론을 동원해 우크라이나를 공격했다며 “이란제 드론을 사용한 이래 최대 규모”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11 與 “노란봉투법 또 꺼낸 민주, 기업 1년 내내 파업현장 만들겠단 것” new 랭크뉴스 2025.02.24
46710 '동성 결혼' 샘 올트먼 부모 됐다…대리모 통해 득남 new 랭크뉴스 2025.02.24
46709 코스피 3000, 결국 삼성전자에 달렸다 [3월 주식시장 키워드①] new 랭크뉴스 2025.02.24
46708 미국서 2년 넘게 체류했지만 법원 ‘원정출산’ 판단, 왜? new 랭크뉴스 2025.02.24
46707 갑질 의혹 벗고 돌아온 강형욱 "너무 기뻐…뭐든 다 해드리겠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706 李 "與, 상속세 최고세율 안내리면 기초공제 못올린다 행패" new 랭크뉴스 2025.02.24
46705 "병원 안가도 된다" 이 주사 뭐길래…유럽 의사 2000명 몰렸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704 ‘같이 묻어주길 바라’ [그림판] new 랭크뉴스 2025.02.24
46703 與, "이재명, 문재인보다 더 좌편향"...중도보수론 반박 new 랭크뉴스 2025.02.24
46702 [단독] 이재명, 정부 제안 ‘연금 자동조정장치’ 불수용 뜻 new 랭크뉴스 2025.02.24
46701 ‘멸종위기’ 재규어 수리남서 밀렵… “중국에 정력제로 ‘불티’” new 랭크뉴스 2025.02.24
46700 권성동, 이재명에 “상속세 포함 현안 끝장토론 하자” 역제안 new 랭크뉴스 2025.02.24
46699 그로테스크한 겨울을 보내며 [EDITOR's LETTER] new 랭크뉴스 2025.02.24
46698 국민연금 ‘쇼크’...“이제 30년 남았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697 尹 탄핵, “인용돼야” 52.0% VS “기각돼야” 45.1% new 랭크뉴스 2025.02.24
46696 권성동 "총각 사칭 이어 보수 사칭"…이재명 "왜 욕하냐, 정신 차려라" new 랭크뉴스 2025.02.24
46695 권영세 "이재명, 베끼려면 제대로 베껴야‥경제 무지·철학 빈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694 독일, 3년 만에 보수정권 눈앞…극우 역대 최고 득표율 new 랭크뉴스 2025.02.24
46693 국민의힘, 이재명에···“모든 현안 끝장토론하자” new 랭크뉴스 2025.02.24
46692 오세훈 “저소득층 아이, 고소득층 자제”…몸에 밴 차별 의식 new 랭크뉴스 2025.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