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3일(현지시간) 레바논 베이루트 외곽의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경기장에서 열린 장례식에서 한 조문객이 헤즈볼라의 암살당한 지도자 하산 나스랄라(오른쪽)와 하셈 사피데인의 초상화를 들고 있다. AFP연합뉴스


지난해 9월 이스라엘의 공습에 폭사한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 수장 하산 나스랄라의 장례식이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휴전협정이 맺어진 뒤 대대적으로 치러졌다. 나스랄라가 폭사한 지 5개월 만이다.

23일(현지시간) AP통신, 알자지라 등에 따르면 나스랄라와 그의 사촌 하심 사피에딘의 장례식이 이날 오후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 교외의 카밀샤문 스포츠시티 경기장에서 열렸다. 이 경기장의 수용 가능 인원은 5만4000명인데, 조문객들은 경기장을 가득 메웠다.

사피에딘도 지난해 10월 초 이스라엘군의 공습으로 숨졌다.

헤즈볼라 새 수장인 나임 카셈 사무총장은 이날 장례식에서 방송된 TV연설에서 “폭군 미국이 우리나라를 통제하는 것을 수용하지 않는다”며 “저항은 끝나지 않았고 이스라엘에 맞설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헤즈볼라 지지자들은 노란 헤즈볼라 깃발을 흔들며 “미국에 죽음을, 이스라엘에 죽음을”이라고 반복적으로 외쳤다.

장례식은 헤즈볼라에서 20년 만에 가장 큰 규모로 치러졌다. 헤즈볼라는 경기장 외부에 대형 스크린을 설치해 생중계했다. 또 장례식이 열리는 지역의 주요 도로를 폐쇄하고 베이루트 공항을 오가는 항공편을 4시간 동안 중단하는 등 철저한 보안 조처를 했다.

모하마드 바게르 갈리바프 이란 의회 의장과 계기에 세예드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교장관, 레바논 의회 의장과 대통령, 총리 등도 장례식에 참석했다.

헤즈볼라는 결속과 항전을 촉구했다. 헤즈볼라 소속 레바논 의회 의원인 후세인 하즈 하산은 나스랄라의 장례식을 “슬픔이나 작별의 날이 아니라 우리 지도자에게 충성과 서약을 다시 맹세하는 날”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장례식이 동맹은 물론 적들에게도 우리가 약해지지 않았고 앞으로도 그러지 않을 것을 보여주는 순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나스랄라는 이날 오후 늦게 베이루트에, 사피에딘은 레바논 남부 고향에 각각 안장된다.

앞서 헤즈볼라는 나스랄라가 폭사했을 당시 그를 비밀리에 매장했다가 이스라엘과 임시 휴전에 들어간 이후에야 공식 장례를 치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뉴욕타임스(NYT)는 나스랄라 폭사 이후 헤즈볼라가 레바논에서 정치적 장악력을 잃고 비판에 직면한 것으로 해석했다. 지난달에는 친서방 성향의 조제프 아운이 레바논 대통령으로 취임한 데다 내각에서는 헤즈볼라를 겨냥해 ‘정부 정규군만이 레바논 영토를 방어할 권리가 있다’는 성명을 채택하기도 했다. 지난해 말에는 헤즈볼라의 지원 통로 역할을 하던 시리아의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마저 붕괴하면서 사면초가에 몰렸다.

카네기 중동센터의 모하나드 하게 알리 부센터장은 “장례식은 일종의 발판”이라며 헤즈볼라가 나스랄라의 죽음을 지지 세력 결집의 도구로 사용했다고 해석했다.

장례가 엄수되는 동안 이스라엘 공군 전투기는 베이루트 상공을 저공 비행했다. 이스라엘군은 장례식 전후 몇 시간 동안 레바논 남부와 동부를 공습하기도 했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성명에서 “이스라엘 공군기가 나스랄라 장례식장 상공을 비행하고 있다”며 “이스라엘을 절멸시키겠다고 위협하고 공격하는 자는 누구든 종말을 맞게 되리라는 분명한 메시지”라고 밝혔다.

시아파 ‘존경받는 스승’ 나스랄라는 누구?지난 27일(현지시간) 이스라엘 공습에 폭사한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 수장 하산 나스랄라(64)는 32년간 헤즈볼라를 중동에서 가장 강력한 군사 조직 중 하나로 키운 인물이다. 그는 이스라엘과 미국엔 테러리스트였지만, 시아파 무슬림에게는 이슬람교 창시자 무함마드의 혈통을 의미하는 존칭 ‘세예드(존경받는 스승)’라 불렸을 정도로 지지를 받았다. 나스랄...https://www.khan.co.kr/article/202409291531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04 25일 최종 변론…윤, 무제한 진술 준비 ‘대국민 호소전’ 나서나 new 랭크뉴스 2025.02.24
46603 [단독] 이재명 "국민연금 개혁안, 합의 안되면 강행 통과" new 랭크뉴스 2025.02.24
46602 조정호 주식 부자 2위로… 이재용 턱밑 추격 new 랭크뉴스 2025.02.24
46601 尹탄핵심판 헌재 관심은…국회 군투입·체포조·계엄 국무회의 new 랭크뉴스 2025.02.24
46600 중국 상선에 입항 수수료 물린다는 미국…중국 “대응조치 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99 서울 아파트 ‘원정매입’ 역대 최고… 토허제 해제 후 강남 ‘갭투’도 과열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98 의대 정원 ‘수급추계委’ 막판 조율…2월내 국회 통과 여부 주목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97 “혐중, 인종주의와 결합 폭력성 띠는 단계 진입”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96 수리남서 밀렵당하는 '멸종위기' 재규어…수요처는 중국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95 젤렌스키 "우크라 나토 가입하면 즉시 사임할 수 있어"(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94 매각은 언제…소송으로 '시간끌기' 나선 상상인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93 주택 증여받은 후 이혼했는데, "다시 돌려달라"는 시어머니[중·꺾·마+: 중년 꺾이지 않는 마음]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92 [단독] 캡틴코리아가 트럼프 2기 관계자?…'선관위 가짜뉴스' 전말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91 부정선거 '일장기 투표지' 진실…20세 알바의 '적색 스탬프'였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90 [단독] 尹에 직보한 김성훈 "철통같이 막겠다"...尹 "흔들림 없이 단결"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89 ‘AI 기업 전환’ 선언한 K통신 3사, 그간 갈고닦은 AI 기술 ‘수익화’ 시험대에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88 "복잡한 길도 능숙 운전" 중국 AI 자율주행차... 이제는 '딥시크'로 질주한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87 "전쟁 끝낸다면 미러 대화도 찬성, 그래서 슬프다"… 우크라인들 '복잡한 속내'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86 美국방 "현시점에 적임자 아냐"…'트럼프의 합참의장 경질' 옹호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85 미 상무, 한국 기업인들 만나 “최소 10억 달러씩 투자해야” new 랭크뉴스 2025.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