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업 1년, 재점검의 시간] ① 더 깊어진 코리아 디스카운트
“구글 딥마인드에 투자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검색해도 안 나오는데…”(네이버 ‘지식인’에 게재된 질문) “알파벳(구글 모회사)에 투자하면 됩니다.”(답변)
‘서학개미’가 투자하는 미국 증시에는 상장된 자회사가 거의 없다. 개인 투자자가 선호하는 투자처인 테슬라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는 모두 수많은 사업부와 자회사를 가진 사업회사이자 지주회사다. 모회사와 자회사가 동시 상장하거나 사업부를 분리해 상장하는 한국 증시와 다른 풍경이다. 이러한 중복상장은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심화시키고 개미들을 ‘국장’에서 떠나게 하는 핵심 이유로 지목된다.
중복상장은 정부가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밸류업 정책)을 추진한 이후에도 멈추지 않고 있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이날까지 국내 증시에서는 7건의 자회사 신규·재상장이 이뤄졌다. 이렇게 상장된 자회사 시가총액만 21일 기준 15조2436억원이다.
정부는 지난해 밸류업 정책을 추진하면서 중복상장의 한 유형인 ‘물적분할(모회사가 기존 사업 부문을 분리해 자회사를 만들고 상장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모회사 주주의 권익을 보호할 계획을 설명하도록 하는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지만, 중복상장 행렬을 막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지난해부터 이날까지 중복상장 논란이 있는 기업은 HD현대마린솔루션(HD현대) 삼양엔씨켐(삼양홀딩스) LG CNS(㈜LG) 동국생명과학(동국제약) 등이다. ㈜LG 주가는 지난해 10월 4일 거래소에 LG CNS 코스피 예비상장 심사 신청서를 제출한 이후 10% 넘게 하락했다.
중복상장은 기존 상장된 모회사의 주주가치에 타격을 주고 시장 신뢰를 갉아먹는다는 점에서 국내 증시 상승을 방해하는 주범으로 지목된다. 김종영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 중복상장 비율은 약 18%로 비정상적인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해 말 기준 미국(0.35%)과 일본(4.38%)은 물론이고 신흥시장인 대만(3.18%) 중국(1.98%)보다도 못하다.
메리츠금융지주는 2023년 4월 25일 화재와 증권 계열사를 모두 상장폐지하고 100% 완전 자회사로 지주에 포함했다. 중복상장을 모두 해소한 결과는 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 통합 지주사 출범 이후 메리츠지주 주가는 175.6% 급등했다. 올해도 20% 가까이 상승해 개인 투자자 사이에서 한국의 ‘엔비디아’로 불린다.
일부 기업이 해외에서 상장하거나 상장을 추진하는 데 대해서도 투자자들 시선은 곱지 않다. 현대자동차 자회사 현대차 인도법인이 인도증시에, 두산에너빌리티 자회사 두산스코다파워가 체코증시에 상장된 것이 대표적이다. LG전자도 인도법인을 인도증시에 상장하려 하고 있다. 이남우 연세대 교수는 “기업들은 기업 가치를 높게 인정받을 수 있다는 명분을 내세우지만, 모회사 주주는 자회사 지분율이 감소해 피해를 입게 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