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위고비·오젬픽, FDA 공급 부족 목록서 빠져
세마글루타이드 공급난, 2년6개월간 이어져
공급난 먼저 해결한 美릴리, 비만약 1위 탈환
글로벌 비만약 시장 주도권 경쟁 치열해질듯

미국 과학자들이 주삿바늘 없이 인슐린이나 백신, 비만 치료제를 투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비만 치료제 위고비(사진) 같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유사체를 제내에 전달하는 동물실험에 성공했다. /노보 노디스크


전 세계 비만 치료제 시장 선두를 달려온 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가 2년 6개월 만에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하며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제재에서 벗어났다. 앞서 공급난 리스크를 먼저 해소한 경쟁사 미국 일라이 릴리가 시장 1위 자리 탈환에 나선 가운데 글로벌 비만약 시장 주도권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FDA는 21일(현지 시각) 노보 노디스크가 개발한 세마글루타이드 성분의 비만약 위고비와 제2형 당뇨병 치료제 오젬픽의 공급 부족 문제가 해결됐다고 밝혔다. 이들 의약품은 FDA가 급증하는 수요를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는 약물들을 분류해 관리하는 ‘공급 부족 목록(drug shortage lists)’에서도 제외됐다.

위고비는 지난 2022년 8월 같은 성분의 당뇨병 치료제인 오젬픽에 이어 지난해 4월 이 목록에 추가됐다. 위고비는 2021년 6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을 받은 비만 치료제로, 현재 세계 비만 치료제 시장 약 74%를 점유하며 선두를 지키고 있다.

경쟁약인 미국 일라이 릴리의 젭바운드(성분명 티르제파타이드)는 2년 뒤인 2023년 11월 승인을 받은 후발 주자다. 국내에는 ‘마운자로’라는 제품명으로 오는 5월 출시될 예정이다. 젭바운드도 위고비와 같은 달 공급 부족 목록에 올랐지만, 이후 생산량을 급속히 늘어나 지난해 10월 목록에서 제외됐다.

FDA는 이 목록에 오른 의약품에 대해서는 조제전문약국(compounding pharmacies) 또는 중소 제약사는 동일한 성분의 복합제를 만들어 판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위고비는 미국에서도 공보험에 포함되지 않아 환자의 가격 부담이 큰 편이다. 현지 위고비 가격은 한 달 처방 기준 약 1000달러(141만원)다. 이렇다 보니 미국에는 복제약을 찾는 소비자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7월 기준 미국인 200만명이 위고비를 비롯한 비만약의 복제약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로 3년간 전 세계 비만약 시장을 독주하던 위고비의 1위 자리를 일라이 릴리가 탈환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실제로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초 젭바운드의 미국 내 신규 처방 건수가 처음으로 위고비를 넘어섰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8월까지 젭바운드가 미국 비만약 시장의 40%를 점유하며 위고비를 뒤쫓고 있다고 추정했다.

여기에 위고비와 젭바운드의 체중 감량 효능을 비교한 임상시험 결과 젭바운드가 위고비보다 효과가 47% 더 높은 것으로 나오면서 위고비의 시장 점유율에 악영향이 예상됐다.

이에 노보 노디스크는 FDA의 공급 부족 목록에서 벗어나기 위해 생산량 강화에 총력을 기울였다. 지난 한 해 시설 증설에만 70억9000만달러(10조316억원) 넘게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노보 노디스크는 보도자료를 통해 “회사는 위고비 수요를 따라잡기 위해 생산 시설을 연중무휴 24시간 가동하고 있다”며 “최근 몇 년 동안 생산 능력을 늘리는 데 수십억 달러를 투자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앞으로 위고비·오젬픽의 복제약 생산·판매는 불법 행위에 해당한다고 강조했다. 노보 노디스크의 데이브 무어(Dave Moore) 글로벌 사업 개발 담당 부사장은 ”오젬픽과 웨고비를 합성하여 제조하거나 판매하는 행위는 법률에 따라 불법이 될 예정”이라며 “잘못된 정보로 인해 건강을 해치고 환자에게 심각한 안전 위험을 초래하는 가짜 또는 불법 복제약에 의존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어야 한다”고 못박았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88 "복잡한 길도 능숙 운전" 중국 AI 자율주행차... 이제는 '딥시크'로 질주한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87 "전쟁 끝낸다면 미러 대화도 찬성, 그래서 슬프다"… 우크라인들 '복잡한 속내'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86 美국방 "현시점에 적임자 아냐"…'트럼프의 합참의장 경질' 옹호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85 미 상무, 한국 기업인들 만나 “최소 10억 달러씩 투자해야”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84 지인 집 화장실서 출산한 20대 미혼모…아기는 결국 숨졌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83 독일 총리 유력 메르츠, 메르켈 20년 정적 '정통 보수'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82 독일 총선 기민·기사당 1위…3년 만에 보수정권 예고(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81 종전협상 패싱 당할라…EU, 내달 6일 긴급 정상회의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80 눈 깜빡여 논문 한 자 한 자…근육병 딛고 석사학위 취득한 학생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79 美중동특사 "우크라, 이번주 美와 광물 합의 서명 예상"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78 교황청 "천식 악화로 위중했던 교황, 밤 조용히 지나고 안정 중"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77 러 "주 후반 美와 실무회담…양국관계 진전 기대"(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76 중도보수론 밀어붙이는 이재명…‘여당=극우’ 프레임 가둔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75 [2보] 독일 보수 기민·기사당 득표율 29%로 1위 유력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74 [속보] 獨총선, 기민·기사 29% 독일대안 19.5% 사민 16%<출구조사>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73 동거女 폭행·유사강간후 방치해 사망…30대男, 항소심서 더 무거운 형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72 폭사한 헤즈볼라 수장 5개월 만에 장례식... 수만명 운집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71 이스라엘 탱크 요르단강 서안 진입…23년 만에 처음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70 [사설]  당내 잠룡들 뛰는데 정신 못 차린 국민의힘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69 5개월 만 치러진 헤즈볼라 수장 장례식…수만 명 운집 new 랭크뉴스 2025.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