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14일 국회 본회의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 종결을 앞두고 여권에 불리한 여론조사 흐름이 나타났다. 여권 대선 주자 중 1위를 달리던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지지율이 다소 하락했고, 중도층에서 탄핵 찬성과 정권교체 지지 응답이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서울서부지법 난입·폭력 사태를 계기로 강성 지지층 결집도가 약화됐고, 탄핵심판에서 노출된 윤 대통령의 ‘모르쇠’ 태도 때문에 중도층이 이탈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한국갤럽이 지난 18~20일 전국 만18세 이상 성인 1002명에게 차기 대통령 선호도를 물은 결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34%)에 이어 2위를 차지한 김 장관(9%) 지지율은 일주일새 3%포인트 하락하며 한자릿수로 내려 앉았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7~19일 만18세 이상 성인 1000명에게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차기 대통령 후보 적합도를 물은 결과, 이 대표(31%)에 이어 2위인 김 장관(10%) 지지율은 직전 주에 비해 3%포인트 내려갔다.
중도층 정당 지지율도 국민의힘이 민주당에 뒤처지는 추세다. 한국갤럽 조사에서 중도층의 정당 지지율은 국민의힘 22%, 민주당 42%였다. 직전 주 조사에선 국민의힘 32%, 민주당 37%였다. 일주일새 중도층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이 10%포인트 빠지며 양당 지지율 격차가 5%포인트에서 20%포인트로 벌어졌다.
중도층에서 윤 대통령 탄핵에 찬성하고 조기 대선이 열린다면 정권이 교체돼야 한다는 여론도 증가했다. 한국갤럽 조사에서 중도층의 정권 유지 응답은 27%에 그쳤고, 정권 교체 응답은 62%로 나타났다. 직전 주 조사에서 중도층의 33%가 정권 유지, 54%가 정권교체 의견을 냈다. 격차가 21%포인트에서 35%포인트로 확대된 것이다.
윤 대통령 탄핵 찬반을 묻는 질문에서도 중도층은 69%가 찬성, 25%가 반대 의견을 냈다. 직전 주 조사에서 중도층의 60%가 찬성, 33%가 반대였던 것에 비해 탄핵 찬성 의견이 많아졌다.
NBS 조사에서는 탄핵 기각을 주장하던 응답자 중 26%가 헌재 변론을 보며 의견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했다. 탄핵 인용을 주장하던 응답자 중에서는 8%만이 의견 변화가 있었다고 했다. 탄핵 기각에서 인용으로 생각을 바꾼 응답자가 더 많게 나타난 것이다.
전문가들은 전반적인 여권 지지율 하향에 대해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가까워지면서 강성 지지층 결집이 약화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김봉신 메타보이스 부대표는 23일 통화에서 “보수 성향 응답자의 (응답) 적극성이 빠지고 있는 게 2주 정도 된 것 같다”며 “선고가 임박하면서 강성 지지층에게 희망보단 절망이 더 느껴지며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책임 전가와 모르쇠로 일관한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변론과 서울서부지법 난입·폭력 사태가 중도층 민심 이반을 가져왔다고 해석했다.
비상계엄은 잘못이라면서 탄핵은 반대하는 모순과 과도한 헌재 공격도 여권 지지율 하락의 배경으로 지목됐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국민의힘 지지자 중에서도 탄핵에 찬성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국민의힘은 이들을 도외시했다”며 “국민의힘이 중도층 지지율을 회복하려면 바뀌어야 한다. 계엄에 반대하지만 탄핵을 반대한다는 식의 논리적 부정합을 해소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 지지율에 대해선 “탄핵심판에서 나타난 여러 문제에 대한 영향이 김 장관 지지율에 반영된 것”이라며 “애초 김 장관의 확장성과 지지율 상승에는 제한이 있었다”고 말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여론조사에 나타난 지표에 대해 저희가 인정하고 겸허히 수용하는 바”라면서도 “한 번의 여론조사로 어떤 추세를 지금 단계에서 평가하기엔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두 여론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