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시내 한 어린이집에서 한 어린이가 등원하고 있다. /뉴스1

작년 육아휴직 사용 인원이 역대 최고인 13만2535명으로 집계됐다. 또 전체 육아휴직 사용 인원 중 남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처음으로 30%를 넘었다.

고용노동부는 작년 일·육아 지원 제도 혜택을 받은 수급자가 25만6771명으로, 전년보다 7.2%(1만7242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정부의 일·육아 지원제도는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출산휴가 ▲배우자 출산휴가 등이다.

가장 많은 인원이 활용한 제도는 육아휴직이다. 전년보다 5.2% 증가한 13만2535명이 육아휴직을 썼다. 이는 역대 가장 많은 인원이다. 육아휴직자는 2022년 13만1083명에서 2023년(12만6008명)으로 줄었다가 1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고용노동부

전체 육아휴직자 중 남성은 31.6%(4만1829명)을 차지했다. 처음으로 30% 비중을 넘어선 것이다. 지난 2015년 한 자릿수에 불과했던 남성 육아휴직자는 10년 사이 9배쯤 늘었다.

작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자는 2만6627명이다. 전년(2만3188명)보다 14.8% 증가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아직 육아휴직에 비해 사용자 수가 적지만, 육아휴직과 별개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1년간 쓸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된 이후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했다.

이밖에 출산휴가 사용 인원은 전년보다 6.5%(4832명) 증가한 7만9368명이다.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자도 1만8241명으로, 전년보다 15.5%(2444명) 늘었다.

정부는 올해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해 육아지원제도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1월 1일부터 육아휴직급여가 월 최대 250만원까지 대폭 인상되고, 급여의 25%를 사후 지급하는 방식도 폐지돼 육아휴직 기간 중 전액 지급한다. 육아휴직을 1년간 쓸 경우 최대 2310만원을 받을 수 있다.

김문수 고용부 장관은 “일·가정 양립제도가 현장에서 잘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19 '유로화 반대' 불가리아 극우 시위대 EU대표부 공격 랭크뉴스 2025.02.23
46518 “학교가 사라진다”…올해 초중고 49곳 폐교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2.23
46517 헌재가 부른 증인 '결정적'‥복원된 계엄의 밤 랭크뉴스 2025.02.23
46516 美 상무장관 "韓, 미국에 10억 달러는 투자해야 '패스트트랙' 혜택" 랭크뉴스 2025.02.23
46515 목숨 구해준 소방관에 “도어락 수리비 800만원 내놔” 랭크뉴스 2025.02.23
46514 특목고 가면 명문대 잘 간다?…엄마들 사이 '이 통념' 완전 뒤집혔다 랭크뉴스 2025.02.23
46513 통상임금 확대 후 임금체계 ‘꿈틀’…“꼼수” 불만도 랭크뉴스 2025.02.23
46512 김상욱 “탄핵 기각 땐 나라 망해…‘원죄’ 정당 정권 재창출 맞지 않아” 랭크뉴스 2025.02.23
46511 인도 정부 '갠지스강 대변균 4배 득실' 분석에… "알칼리수만큼 깨끗" 반발 랭크뉴스 2025.02.23
46510 푸틴, '우크라 3년' 앞 "러시아 수호는 신이 맡긴 사명" 랭크뉴스 2025.02.23
46509 더 커진 북 신형 무인정찰기 포착…러시아와 기술 협력 우려 랭크뉴스 2025.02.23
46508 푸틴, ‘우크라戰 3년’ 앞두고 “러시아 수호는 신이 맡긴 사명” 랭크뉴스 2025.02.23
46507 법사소위, 내일 상법 개정안, 명태균 특검법 심사 랭크뉴스 2025.02.23
46506 12살 소녀는 최고의 기생 됐다…전설의 미녀, 이난향 랭크뉴스 2025.02.23
46505 “교황 한때 호흡 곤란, 병세 위중”…곳곳에서 ‘쾌유 기원’ 랭크뉴스 2025.02.23
46504 "김용현, 계엄 후 서재 자료 전부 치우라 지시…3시간 세절" 랭크뉴스 2025.02.23
46503 번거로운 커리어 코칭, 꼭 해야 하나요?[김한솔의 경영전략] 랭크뉴스 2025.02.23
46502 "광물 5000억 달러 내놓고, 러 비판하지 마"… 트럼프 폭압에 괴로운 우크라 랭크뉴스 2025.02.23
46501 다가온 최후 변론…양측 전략 고심 랭크뉴스 2025.02.23
46500 "尹 복귀하면 파멸"... 최종 변론 앞둔 민주당의 여론전 랭크뉴스 2025.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