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최종변론기일이 오는 25일로 정해지면서, 정치권에선 탄핵안 인용 시 5월 중순 ‘장미 대선’을 치를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게 떠오르고 있다. 당 지도부가 조기 대선 언급을 금기시하고 있는 국민의힘에서도 안철수 의원이 23일 출마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히는 등 대선 예비후보군의 움직임이 가시화하는 모양새다.

헌법재판소가 탄핵안을 인용해 윤 대통령을 파면하면, 헌법과 공직선거법에 따라 다음 대선은 선고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치러야 한다. 정확한 날짜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국무회의를 열어 지정하게 된다. 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땐 60일 기한을 꽉 채운 2017년 5월9일 대선을 실시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 땐 최종변론기일 14일 뒤, 박근혜 전 대통령 땐 11일 뒤 헌재가 탄핵안 인용 여부 최종 결정을 내린 점을 고려하면, 이번에도 헌재 선고는 최종변론기일 2주 뒤인 3월11일을 전후해 이뤄질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이 경우 대선은 5월10일을 전후해 치러야 한다. 다만, 정치권에선 5월10일이 토요일이라는 점, 5월3~6일이 황금 연휴여서 그 주엔 국외여행 등으로 투표율이 낮아질 가능성 등을 고려해, 5월14일을 전후해 대선을 치를 수 있도록 헌재가 선고를 늦출 수 있다는 말도 나온다.

대선 시간표의 윤곽이 조금씩 드러나면서 국민의힘 대선주자군도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안철수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만약 이재명 집권 시대가 열려 현재 무소불위의 입법권력에 행정권력까지 동시에 가지게 되면, 국민은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는 공포에 휩싸여 있다”며 “시대 교체, 국민 통합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대선 출마 선언이냐’고 묻는 기자들에게 “여러분들이 생각하시는 대로 생각하면 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 파면 여부가 확정되지 않아 직접 발언하진 않았지만, 조기 대선에 나설 뜻을 공식화한 것이다. 국민의힘에서 대선 출마 의지를 밝힌 건 홍준표 대구시장과 유승민 전 의원에 이어 안 의원이 세번째다.

한동훈 전 대표는 26일 ‘한동훈의 선택―국민이 먼저입니다’라는 책을 내고, 북 콘서트 등을 통해 정치 활동을 재개한다. 책에는 12·3 비상계엄 당시 상황을 복기하면서 계엄이 위헌이라는 내용이 담긴 반면, 한 전 대표의 검사 이력은 빠진 것으로 전해진다.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윤 대통령과 차별화로 지지층에 소구하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과 오세훈 서울시장도 국회 토론회 등에 참석하며 당내 인사들과 적극적인 소통에 나서고 있다. 특히 김 장관이 기조연설을 했던 지난 19일 ‘노동 개혁 토론회’엔 현역 의원만 당 전체 의원(108명)의 절반이 넘는 60여명이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토론회를 주최한 나경원 의원은 “역시 (여당 주자 여론조사) 1등이 오셔서 그런 것 같다”고 평가했다. 조기 대선에 선을 그어온 김 장관은 지난 21일 ‘조기 대선용 정치 행보를 한다는 해석이 나온다’는 기자들의 질문에 “해석은 자유”라고 답하기도 했다.

한편, 당 안에선 조기 대선에 대비하려면 이제부터라도 민생 정책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도부 관계자는 “여당이 야당 같다는 당 안팎의 지적을 잘 알고 있다”며 “반도체 특별법과 연금개혁, 추가경정예산 등 민생 이슈에서 우리의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중도보수라 자처하는 건, 우리 당을 극우몰이 하는 것”이라며 “국민의힘은 늘 중도층을 향해 정책을 마련하고, 호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14 특목고 가면 명문대 잘 간다?…엄마들 사이 '이 통념' 완전 뒤집혔다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13 통상임금 확대 후 임금체계 ‘꿈틀’…“꼼수” 불만도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12 김상욱 “탄핵 기각 땐 나라 망해…‘원죄’ 정당 정권 재창출 맞지 않아”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11 인도 정부 '갠지스강 대변균 4배 득실' 분석에… "알칼리수만큼 깨끗" 반발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10 푸틴, '우크라 3년' 앞 "러시아 수호는 신이 맡긴 사명"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09 더 커진 북 신형 무인정찰기 포착…러시아와 기술 협력 우려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08 푸틴, ‘우크라戰 3년’ 앞두고 “러시아 수호는 신이 맡긴 사명”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07 법사소위, 내일 상법 개정안, 명태균 특검법 심사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06 12살 소녀는 최고의 기생 됐다…전설의 미녀, 이난향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05 “교황 한때 호흡 곤란, 병세 위중”…곳곳에서 ‘쾌유 기원’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04 "김용현, 계엄 후 서재 자료 전부 치우라 지시…3시간 세절"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03 번거로운 커리어 코칭, 꼭 해야 하나요?[김한솔의 경영전략]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02 "광물 5000억 달러 내놓고, 러 비판하지 마"… 트럼프 폭압에 괴로운 우크라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01 다가온 최후 변론…양측 전략 고심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00 "尹 복귀하면 파멸"... 최종 변론 앞둔 민주당의 여론전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99 "해외에서 '이런 술' 먹으면 죽습니다"…메탄올 구분하는 방법 뭐길래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98 머스크의 13번째 자녀 낳았다는 여성, 친자확인·양육권 소송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97 수원 다세대주택 화재 2명 사상‥접착제 공장 화재 야산으로 번져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96 ‘어대명’ 앞서 이재명이 넘어야 할 3개의 허들 new 랭크뉴스 2025.02.23
46495 '金채연 시대' 열었다, '안방'서 사대륙 1위·1위·1위 [사진잇슈] new 랭크뉴스 2025.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