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최종변론기일이 오는 25일로 정해지면서, 정치권에선 탄핵안 인용 시 5월 중순 ‘장미 대선’을 치를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게 떠오르고 있다. 당 지도부가 조기 대선 언급을 금기시하고 있는 국민의힘에서도 안철수 의원이 23일 출마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히는 등 대선 예비후보군의 움직임이 가시화하는 모양새다.

헌법재판소가 탄핵안을 인용해 윤 대통령을 파면하면, 헌법과 공직선거법에 따라 다음 대선은 선고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치러야 한다. 정확한 날짜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국무회의를 열어 지정하게 된다. 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땐 60일 기한을 꽉 채운 2017년 5월9일 대선을 실시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 땐 최종변론기일 14일 뒤, 박근혜 전 대통령 땐 11일 뒤 헌재가 탄핵안 인용 여부 최종 결정을 내린 점을 고려하면, 이번에도 헌재 선고는 최종변론기일 2주 뒤인 3월11일을 전후해 이뤄질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이 경우 대선은 5월10일을 전후해 치러야 한다. 다만, 정치권에선 5월10일이 토요일이라는 점, 5월3~6일이 황금 연휴여서 그 주엔 국외여행 등으로 투표율이 낮아질 가능성 등을 고려해, 5월14일을 전후해 대선을 치를 수 있도록 헌재가 선고를 늦출 수 있다는 말도 나온다.

대선 시간표의 윤곽이 조금씩 드러나면서 국민의힘 대선주자군도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안철수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만약 이재명 집권 시대가 열려 현재 무소불위의 입법권력에 행정권력까지 동시에 가지게 되면, 국민은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는 공포에 휩싸여 있다”며 “시대 교체, 국민 통합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대선 출마 선언이냐’고 묻는 기자들에게 “여러분들이 생각하시는 대로 생각하면 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 파면 여부가 확정되지 않아 직접 발언하진 않았지만, 조기 대선에 나설 뜻을 공식화한 것이다. 국민의힘에서 대선 출마 의지를 밝힌 건 홍준표 대구시장과 유승민 전 의원에 이어 안 의원이 세번째다.

한동훈 전 대표는 26일 ‘한동훈의 선택―국민이 먼저입니다’라는 책을 내고, 북 콘서트 등을 통해 정치 활동을 재개한다. 책에는 12·3 비상계엄 당시 상황을 복기하면서 계엄이 위헌이라는 내용이 담긴 반면, 한 전 대표의 검사 이력은 빠진 것으로 전해진다.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윤 대통령과 차별화로 지지층에 소구하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과 오세훈 서울시장도 국회 토론회 등에 참석하며 당내 인사들과 적극적인 소통에 나서고 있다. 특히 김 장관이 기조연설을 했던 지난 19일 ‘노동 개혁 토론회’엔 현역 의원만 당 전체 의원(108명)의 절반이 넘는 60여명이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토론회를 주최한 나경원 의원은 “역시 (여당 주자 여론조사) 1등이 오셔서 그런 것 같다”고 평가했다. 조기 대선에 선을 그어온 김 장관은 지난 21일 ‘조기 대선용 정치 행보를 한다는 해석이 나온다’는 기자들의 질문에 “해석은 자유”라고 답하기도 했다.

한편, 당 안에선 조기 대선에 대비하려면 이제부터라도 민생 정책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도부 관계자는 “여당이 야당 같다는 당 안팎의 지적을 잘 알고 있다”며 “반도체 특별법과 연금개혁, 추가경정예산 등 민생 이슈에서 우리의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중도보수라 자처하는 건, 우리 당을 극우몰이 하는 것”이라며 “국민의힘은 늘 중도층을 향해 정책을 마련하고, 호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34 여권에 '이 도장' 찍히면 큰일난다?…北 여행 갔다 낭패본다는데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33 산지에선 버리는데…김 값이 ‘금값’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32 폭사 5개월 뒤 열린 헤즈볼라 수장 장례식 수만명 운집(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31 홍준표 "우크라이나 전쟁 북한군 포로 한국으로 송환해야"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30 위고비 공급난 벗어난 노보 노디스크, 비만약 시장 독주 재개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29 이 사이, 딱 ‘韓’ 자리가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28 2월 금통위 금리인하 우세…속도·폭 가늠할 소수의견 주목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27 ‘김건희 대화’ 명태균 폰 3대 공개…“언제 터뜨릴지만 남았다”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26 교황 병상 메시지… "우크라 전쟁 3주년은 부끄러운 기념일"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25 민주당, 尹 탄핵 기정사실화?‥'이재명 리더십' 띄우며 대선모드 돌입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24 탄핵 반대 외치며 '조기 대선' 금기어?‥與 잠룡들은 '몸풀기' 시작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23 폭스 진행자 된 트럼프 며느리…여성관료 인터뷰로 첫 방송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22 尹 측 , 임기단축 개헌 제안 검토 보도에 “대통령 뜻과 달라”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21 이재명 “가짜 우클릭? 여당 극우클릭에 민주당 역할 커진 것 뿐”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20 중국인에 세금·입시·주거 특혜?… 온라인상 가짜 ‘혐중’ 음모론 확산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19 '유로화 반대' 불가리아 극우 시위대 EU대표부 공격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18 “학교가 사라진다”…올해 초중고 49곳 폐교 ‘역대 최대’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17 헌재가 부른 증인 '결정적'‥복원된 계엄의 밤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16 美 상무장관 "韓, 미국에 10억 달러는 투자해야 '패스트트랙' 혜택"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15 목숨 구해준 소방관에 “도어락 수리비 800만원 내놔” new 랭크뉴스 2025.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