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는 전략 산업에서 미국의 대(對)중국 투자와 중국의 대미 투자를 제한하겠다는 ‘미국 우선주의 투자 정책’을 발표하자 불합리하고 비시장적이라며 반발했다. 이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22일 상무부 홈페이지에 올린 입장문을 통해 “미국의 방식은 국가 안보 개념을 일반화한 것”이라며 “차별적 성격을 갖고 있으며 이는 비시장적 처사”라고 밝혔다. 아울러 “양국 기업의 정상적 경제·무역 협력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며 “미국이 중국 투자자에 더 엄격한 안보 심사를 하는 것은 중국 기업의 대미 투자 신뢰에 심각한 타격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의 대중 투자 제한에 대해서도 “매우 불합리하다”며 “많은 미국 기업단체와 기업은 대중 투자 제한 때문에 중국 시장을 다른 경쟁 상대에 넘겨줘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중국 기업의 대미 투자에 공평·투명·안정·예측 가능 환경을 제공해주길 원한다”며 “중국은 미국이 국제 투자·무역 규칙과 시장 경제 규칙을 준수하고 경제 및 무역 문제의 정치화·무기화를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미국의 동향을 면밀히 주목하고 필요한 수단을 통해 합법적 권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1일(현지시간) ‘미국 우선주의 투자 정책’ 각서에 서명했다. 이 각서는 전략산업에서 동맹국의 대미 투자를 장려하는 동시에 미중 쌍방 투자를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 등 법적 도구 등을 활용해 중국 관련 개인과 기업이 미국 전략 분야에 투자하는 것을 제한하고, 중국 전략 산업에 대한 미국 기업의 투자도 제한할 전망이다.
2019년 6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만난 도널드 트럼프(왼쪽) 당시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P연합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22일 상무부 홈페이지에 올린 입장문을 통해 “미국의 방식은 국가 안보 개념을 일반화한 것”이라며 “차별적 성격을 갖고 있으며 이는 비시장적 처사”라고 밝혔다. 아울러 “양국 기업의 정상적 경제·무역 협력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며 “미국이 중국 투자자에 더 엄격한 안보 심사를 하는 것은 중국 기업의 대미 투자 신뢰에 심각한 타격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의 대중 투자 제한에 대해서도 “매우 불합리하다”며 “많은 미국 기업단체와 기업은 대중 투자 제한 때문에 중국 시장을 다른 경쟁 상대에 넘겨줘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중국 기업의 대미 투자에 공평·투명·안정·예측 가능 환경을 제공해주길 원한다”며 “중국은 미국이 국제 투자·무역 규칙과 시장 경제 규칙을 준수하고 경제 및 무역 문제의 정치화·무기화를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미국의 동향을 면밀히 주목하고 필요한 수단을 통해 합법적 권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1일(현지시간) ‘미국 우선주의 투자 정책’ 각서에 서명했다. 이 각서는 전략산업에서 동맹국의 대미 투자를 장려하는 동시에 미중 쌍방 투자를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 등 법적 도구 등을 활용해 중국 관련 개인과 기업이 미국 전략 분야에 투자하는 것을 제한하고, 중국 전략 산업에 대한 미국 기업의 투자도 제한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