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군 전략소통·정보보안센터(SPRAVDI)가 북한군으로 추정되는 군인들이 줄을 서서 러시아 보급품을 받고 있다고 공개한 영상. | 우크라군 전략소통·정보보안센터 X캡처.
우크라이나 국방부가 북한군 포로를 한국으로 송환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안드리 체르냐크 우크라이나 국방부 정보총국(HUR) 대변인은 21일(현지시간)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체르냐크 대변인은 “우리는 한국의 국가정보원, 특수부대와 탄탄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군 포로의 한국 송환이 가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의 공식 정부 기관이 북한군 포로의 한국 송환에 대해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달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북한군 포로 리모씨는 지난 19일 공개된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에 난민 신청을 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앞서 국정원도 지난달 13일 국회 정보위원회 보고에서 “며 ”북한군 병사가 귀순 의사를 밝히면 우크라이나 쪽과 적극적으로 협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체르냐크 대변인은 “초기에 북한군 병력은 약 1만1000명이었고, 그중 400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며 “현재 남은 병력은 약 6000명으로 추정된다. 우리 분석에 따르면 북한은 총 15만명을 추가로 파병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국방부 정보총국은 대외 정보 수집과 분석, 군사 첩보 활동, 특수 작전, 심리 정보전을 총괄하는 군 내부 정보조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