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튜브 영상의 댓글보다 포털사이트 뉴스 댓글에서 '무례', '혐오' 언어가 더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신의 성향과 다른 뉴스를 발견했을 때 진보성향의 경우 팔로우 취소 또는 탈퇴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보수성향의 경우 반박 댓글을 작성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22일 언론정보연구에 실린 '언어 사용과 의견 양극화'(나은영 서강대 지식융합미디어대학 교수 등)에 따르면 사람들은 특정 이슈에 대한 보도를 일차적으로 접하면서 떠오르는 감정에 기반한 댓글을 다는 통로는 유튜브보다 포털 사이트인 것으로 파악된다.

연구진은 대통령 지지율(2022년 5월 1일부터 1년), 여성가족부 폐지(2022년 1월 1일부터 1년), 화물연대 총파업 등 노조 파업(2022년 6월 1일부터 1년) 등 세 가지 이슈와 관련해 조선일보와 한겨레 네이버 뉴스 댓글, 유튜브 영상 조회수 10위까지 댓글을 분석했다.

무례 언어는 '개인이나 집단의 인격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저하하는 욕설, 비방 등 언어적인 표현', 혐오 언어는 '특정 집단의 고유한 특성을 근거로 삼아 적대적이거나 편견적인 표현을 하고 증오와 차별을 옹호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정파성(진보·보수·무관), 언어 존중(낮음·중간·높음) 등 항목도 추가됐다.

연구 결과, 포털뉴스 댓글에서 무례 언어는 2844건(23.9%), 혐오 언어는 893건(7.5%), 무례·혐오 언어는 237건(2%)으로 나타났다.

유튜브 댓글에서 무례 언어는 1212건(12.3%), 혐오 언어는 105건(1.1%), 무례+혐오 언어는 44건(0.4%)으로 집계됐다.

연구진은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뉴스를 접하는 통로가 바로 인터넷 포털임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슈와 정파성에 따른 연구 결과를 보면 대통령 지지율 이슈의 경우 유튜브에서는 보수 대상 댓글에서 2.6%, 포털 뉴스에서는 진보 대상 댓글에서 4.4%의 혐오 언어가 관찰됐다.

여가부 폐지 이슈의 경우 유튜브에서는 대체로 혐오 언어가 거의 발견되지 않았고, 포털뉴스에서는 진보 대상 혐오 언어가 2.8% 나타났다. 노조 파업 이슈의 경우 유튜브에서는 혐오 언어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고, 포털 뉴스에서는 진보 대상 혐오 언어가 2% 나타났다.

연구진은 또 포털 뉴스 댓글을 언론사별로 분석했을 때 한겨레신문 댓글 중에서는 무례 언어가 25.2%, 혐오 언어가 6.8%였으며 조선일보의 경우 무례 언어가 22.5%, 혐오 언어가 8.3%였다고 밝혔다.

한편, 20~60대 1026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상대적으로 진보 성향자들은 혐오 언어를, 보수 성향자들은 무례 언어를 피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또한 자신의 성향과 다른 뉴스를 발견했을 때 진보성향의 경우 '비추천' 또는 '싫어요'를 누르거나 팔로우 취소 또는 탈퇴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고, 보수성향의 경우 반박 댓글을 작성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연구진은 "정치 성향에 따라 유의미하게 다른 반응을 보여 준 연구 결과"라고 설명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36 법관 바뀔 때 ‘재판 지연’ 방지… 이재명 재판 영향 받을 듯 랭크뉴스 2025.02.22
46035 文, 소방관이 쓴 책 소개하며 "보통 사람들의 온기로 세상 채우자" 랭크뉴스 2025.02.22
46034 15살에 명문 의대 두 곳 합격… “의과학자 되고파” 랭크뉴스 2025.02.22
46033 윤석열 지지 ‘캡틴 아메리카’, 경찰서 난입 시도로 구속심사 랭크뉴스 2025.02.22
46032 ‘의대 증원’ 과학이라더니…시작은 창대하였으나 끝은 심히 미미하네 [.txt] 랭크뉴스 2025.02.22
46031 ‘암호화폐史 최악’ 바이비트 2조원대 해킹…북한 라자루스 소행? 랭크뉴스 2025.02.22
46030 '공판갱신 지연 방지' 형사소송규칙 개정‥이재명 사건도 영향 전망 랭크뉴스 2025.02.22
46029 ‘1심 무죄’ 박정훈 곧 보직받을까? 국방부 “검토 중”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22
46028 ‘재판 지연 방지’ 형사소송규칙 개정… 이재명 사건에도 영향줄 듯 랭크뉴스 2025.02.22
46027 "北, 가상화폐 2조원 해킹"… 거래소 바이비트 뚫렸다 랭크뉴스 2025.02.22
46026 우크라 국방부 “북한군 포로 한국 송환 가능” 랭크뉴스 2025.02.22
46025 美, 패스트트랙 신설… 동맹국 대미 투자 압박 랭크뉴스 2025.02.22
46024 학폭 가해자들, 피해자 집에 '우르르'…수백만원 재산 피해 입혀 랭크뉴스 2025.02.22
46023 美 경기 둔화 우려에 증시 휘청 랭크뉴스 2025.02.22
46022 트럼프, 외국 디지털 규제에도 보복관세 검토 지시 랭크뉴스 2025.02.22
46021 정부, 日 '다케시마의 날' 행사 항의…"즉각 폐지 엄중 촉구" 랭크뉴스 2025.02.22
46020 퇴출 상장사 장외시장으로 보낸다는데… 문제는 K-OTC도 위축됐네 랭크뉴스 2025.02.22
46019 강원 정선 산불 18시간 만에 진화…30헥타르 소실 추정 랭크뉴스 2025.02.22
46018 부산 리조트 화재 당시 스프링클러 밸브 잠긴 기록 확인 랭크뉴스 2025.02.22
46017 '故오요안나 가해 의혹' 김가영, 라디오 이어 '골때녀'도 하차 랭크뉴스 2025.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