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용자산 130조 르네상스테크
신한금융 보유 규모 대폭 늘려
르네상스테크놀로지 로고.

[서울경제]

데이터와 수학적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금융 상품을 매매하는 퀀트 투자의 ‘전설’ 르네상스테크놀로지가 신한금융지주 보유량을 대폭 늘렸다.

17일 르네상스테크놀로지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신한금융 주식을 15만 2300주 사들이면서 보유량을 크게 늘렸다. 직전 분기인 3분기 신한금융 주식 2만 5100주를 신규 편입한 데 이어 두 분기 연속으로 매수를 이어갔다.

반면 회사는 지난해 4분기 보유하고 있던 KB금융(105560) 주식 5만 800주를 전량 매각했다. 르네상스테크놀로지는 2023년 말 10만 300주의 KB금융 주식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지난해 1분기 8만 5000주, 2분기 1만 5300주를 각각 매각했다. 이후 3분기 5만 800주를 다시 사들였지만 한 분기 만에 다시 주식을 모두 팔아치운 것이다. 국내 일부 금융지주사(KB·신한·우리)는 미국주식예탁증서(ADR)를 발행하고 있어 현지 주식 시장에서 거래가 가능하다.

KB금융 시가총액은 약 31조 원, 신한금융 시가총액은 약 24조 원으로 국내 금융지주사 1, 2위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두 회사를 비롯한 국내 금융사는 지난해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한 이후 주주 환원에 방점을 두고 주가 부양에 힘써왔다. 그 결과 2024년 한 해 KB금융 주가는 54.7% 상승했고 신한금융 주가는 21.1% 올랐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주가 변동 폭 차이가 퀀트 매매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KB금융에 비해 신한금융이 저평가됐다는 판단이 작용했을 수 있다는 얘기다. 다만 르네상스테크놀로지는 포지션 변경 이유나 예상 보유 기간, 분석 알고리즘 등을 철저히 비밀에 부치고 있다.

르네상스테크놀러지는 대표적인 미국의 퀀트 헤지펀드로 MIT와 하버드 등에서 수학 교수를 역임했던 짐 사이먼스가 1982년 설립했다. 이들은 수학적 기법을 통해 가격 변화를 예측하는 데이터 패턴을 찾는 방식으로 종목을 선별한다. 이 때문에 회사의 주요 인력은 금융권 경력자가 아닌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및 관련 분야 박사 학위 소지자 등 과학자로 구성돼 있다. 금융정보 분석업체 웨일위즈덤에 따르면 2024년 8월 기준 르네상스테크놀로지의 운용자산(AUM)은 892억 5968만 달러(약 128조 4980억 원)다. 르네상스테크놀러지의 대표 펀드인 ‘메달리온’은 1988년부터 2018년까지 30년간 연 평균 66%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뉴욕타임즈는 메달리온 펀드가 거둔 성공에 대해 "워렌 버핏과 조지 소로스 같은 유명 투자자가 달성한 것 보다 훨씬 더 나은 장기적 성과"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54 고사리, 먹어도 문제없쥬?[음담패설 飮啖稗說] 랭크뉴스 2025.02.22
45953 '보수vs진보', 유튜브·포털에 누가 더 혐오댓글 많이 달까? 랭크뉴스 2025.02.22
45952 [김윤수의 퀀텀점프] 이제 한국도 쓴다…양자컴 제대로 알기 <1> 랭크뉴스 2025.02.22
45951 [속보] 트럼프,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전격 해임 랭크뉴스 2025.02.22
45950 “제 직업이요? 청각 장애도 문제없죠” [강홍민의 굿잡] 랭크뉴스 2025.02.22
45949 경찰, 고양 살인 용의자 50대 여성 특정‥"제 3자 없었다" 랭크뉴스 2025.02.22
45948 48년 만에 생겼는데… 3년 만에 사라진 회계업계 최초 노동조합, 이유는 랭크뉴스 2025.02.22
45947 중도층 이탈… 국민의힘 지지율 하락 랭크뉴스 2025.02.22
45946 유튜브보다 포털뉴스 댓글에 무례·혐오 언어 많아(종합) 랭크뉴스 2025.02.22
45945 추위 속 전국적인 강풍 예상… 경기 북·동부엔 한파특보, 충청권 눈 랭크뉴스 2025.02.22
45944 끓인 물 붓고 둔기 폭행…직원 인격 짓밟은 치킨집 형제의 악행 랭크뉴스 2025.02.22
45943 '최연소' 15살 의대생 탄생…"의과학자 되고파" 랭크뉴스 2025.02.22
45942 [단독] 안철수 “인수위원장 시절 윤석열 만나 칭찬한 사람, 다음날 쫓겨났다” 랭크뉴스 2025.02.22
45941 국고 GDP 1% 쓰면 기금 고갈 없이 45% 소득대체율 가능 [다시 연금 개혁]① 랭크뉴스 2025.02.22
45940 수렁에 빠진 한국경제… 기업경기 넉 달째 하락 랭크뉴스 2025.02.22
45939 고양 음식점서 60대 여성 사망…함께 있던 50대 여성 용의자 특정 랭크뉴스 2025.02.22
45938 [인터뷰] 우크라 국방정보총국 "북한군 포로, 한국 송환 가능해" 랭크뉴스 2025.02.22
45937 "코드원이 의원 끌어내라 지시"‥현장의 증언 랭크뉴스 2025.02.22
45936 “책무구조도 시행 전인데”…정영채·박정림 중징계 무엇이 문제였나 랭크뉴스 2025.02.22
45935 우여곡절 끝에 확정 된 11차 전기본…대형 원전 1기 줄고 SMR 처음 포함 랭크뉴스 2025.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