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1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에서 정문을 사이에 두고 탄핵 찬성·반대 측이 동시에 집회를 벌이며 아수라장이 벌어졌다. 김서원 기자

서울대학교에 이어 고려대에서도 21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성·반대 집회가 동시에 진행됐다. 집회엔 재학생·졸업생뿐만 아니라 유튜버 및 외부 단체까지 모이면서 큰 혼란이 빚어졌다. 일부 집회 참가자 간 물리적 충돌 상황까지 빚어지면서 구급차가 출동하기까지 했다.

이날 오후 3시쯤 서울 성북구 고려대 정문 앞 중앙광장에선 ‘윤석열 퇴진 긴급 고려대 행동을 준비하는 학생들’ 주최로 열린 탄핵 찬성 집회가 열렸다. 졸업생 모임인 고려대 민주동우회와 한국대학생진보연합 등 외부 단체, 유튜버 등이 참석하면서 경찰 비공식 추산 약 150명이 집회에 참석했다. 대학원생 오수진씨는 “우리는 오늘 극우에 맞서 중앙광장을 지키고 있다”며 “비상계엄 옹호 세력이 감히 민주화 성지인 고려대 캠퍼스에서 활개 치는 것을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오후 4시쯤엔 ‘대통령 탄핵을 반대하는 고대인들’ 소속 학생 등 20여명이 ‘사기 탄핵, 민족의 수치’ 시국 선언을 학교 정문 쪽에서 발표했다. 이 집회엔 국민변호인단 등 탄핵 반대 단체 및 보수 성향 유튜버 등 약 300명(경찰 비공식 추산)이 참여했다. 시국선언을 주도한 대학원생 유찬종씨는 “평범하게 학교에 다니고 있었지만, 나라가 무너지는 걸 막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며 탄핵 찬성 측을 향해 “선동·반국가세력이며 공산주의자”라고 비난했다. 반대 측 집회에 참석한 17학번 철학과 졸업생 A씨는 ‘부정선거 검증하라’는 손팻말을 들고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하는 후배들이 자랑스러워 힘을 실어주려고 한다”고 말했다.

21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 교문 안에서 '윤석열 퇴진 긴급 고려대 행동을 준비하는 모임' 주최로 탄핵 찬성 집회가, 교문 밖에선 '대통령 탄핵을 반대하는 고대인들' 주최로 탄핵 반대 집회가 각각 열렸다. 연합뉴스

경찰은 혹시 모를 물리적 충돌에 대비해 정문 앞에 저지선을 설치하는 등 양측을 분리했다. 이날 고려대 정문 앞엔 경찰기동대 1개 부대(약 60여명)가 투입됐다. 학교 측도 캠퍼스 폴리스 등 사설 경호 인력 15명을 교내 곳곳에 배치했다. 고려대 총학생회는 “충돌 방지를 위해 정해진 위치에서 집회에 참여해달라”고 긴급 공지했다.

집회가 진행되는 동안 양측은 서로를 향해 확성기나 마이크 등을 이용해서 말싸움을 벌였다. 일부 유튜버들이 서로를 향해 욕설을 퍼붓거나 인신공격을 하면서 경찰관들이 분리 조처에 나서기도 했다. 혼잡한 상황이 계속되면서 경찰은 정문을 폐쇄하는 등 안전 관리에 나섰지만, 양측은 “윤석열을 파면하라”, “이재명을 구속하라”고 외치는 등 말싸움을 멈추지 않았다.

21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에서 탄핵찬성 및 반대 양측 집회 참가자들 일부 사이 물리적 충돌 상황이 벌어지면서 소방이 출동했다. 김서원 기자

이날 오후 5시 30분쯤엔 유튜버 등 일부 탄핵 반대 집회 참가자들은 교문을 힘으로 흔들어 열고, 캠퍼스 안에 들어가기도 했다. 이후 캠퍼스 안에선 집회 참가자들끼리 몸싸움을 벌이는 등 물리적 충돌 상황까지 빚어졌다. 앰뷸런스가 출동해 통증을 호소하는 집회 참가자를 호송하기도 했다. 양측은 오후 6시쯤 대부분 해산했다.

윤 대통령 탄핵 여부를 두고 대학 내 대립 구도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17일엔 서울대에서 윤 대통령 탄핵 찬반 집회가 동시에 열리면서 양측 일부가 물리적으로 충돌하기도 했다. 대학생 익명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선 “왜 외부인이 우리 학교에 와서 집회에 참석하는가” “어떤 주장을 하던 평화롭게 진행됐으면 한다, 너무 시끄럽고 불편하다”는 글이 잇따랐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85 부모 장례식 안 갔던 성철, 제자가 부모상 당하자 한 말 랭크뉴스 2025.02.22
45884 "20대 남심 잡아라"…'개구리 버스' 뭐길래 앞다퉈 운행? 랭크뉴스 2025.02.22
45883 동맹엔 '방위비·광물 압박', 푸틴과는 더 '밀착'... 트럼프 목적은 결국 '돈' 랭크뉴스 2025.02.22
45882 尹 탄핵심판에 선 16명의 증인들, 그들이 가리킨 '4대 쟁점'의 진실은? 랭크뉴스 2025.02.22
45881 "우리가 극우? 그건 아니죠"…대학생 그들이 태극기 든 까닭 랭크뉴스 2025.02.22
45880 암 진단 거부한 의사, 몰래 수술해준 의사···환자·가족은 '운'에 울고 웃었다 랭크뉴스 2025.02.22
45879 트럼프 "젤렌스키 협상 참여 중요치 않아"…'우크라 배제' 시사 랭크뉴스 2025.02.22
45878 "머스크의 정부효율부, 자율주행 감독 공무원 무더기 해고" 랭크뉴스 2025.02.22
45877 北, 챗GPT로 허위 이력서·프로필 작성 발각…계정 삭제돼 랭크뉴스 2025.02.22
45876 "남성 아니면 여성만" 트럼프 외침에도…미국인 10% "나는 성소수자" 랭크뉴스 2025.02.22
45875 러, 서방기업 복귀에 깐깐한 잣대 준비…푸틴 "규제 필요"(종합) 랭크뉴스 2025.02.22
45874 20여 년 전 김해 공포에 떨게 한 '성범죄' 목사, 만기 출소 앞두자…법원 판단은? 랭크뉴스 2025.02.22
45873 트럼프 "애플 CEO, 미국에 수천억 달러 투자하기로 약속" 랭크뉴스 2025.02.22
45872 트럼프 특사, 회동 하루 지난 뒤 "젤렌스키는 용감한 지도자" 랭크뉴스 2025.02.22
45871 "자기야, 선물 좀 부탁해"…SNS 연인 믿고 출국했다 '마약운반책' 됐다 랭크뉴스 2025.02.22
45870 네타냐후, 버스 연쇄폭발 후 서안 찾아 "추가 군사작전" 랭크뉴스 2025.02.22
45869 양육비 미지급 157명 제재…정부, 7월부터 ‘월 20만원’ 선지급 랭크뉴스 2025.02.22
45868 대서양 건넌 ‘금 대이동’…금값 폭등에 잇단 진풍경 랭크뉴스 2025.02.22
45867 '무소불위' 머스크, 보수층 무대에서 전기톱 치켜들며 "관료주의 혁파" 랭크뉴스 2025.02.22
45866 러, 트럼프 '친러' 평가에 회의적… "정상회담 구체적 일정 아직" 랭크뉴스 2025.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