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계엄 포고령에 대통령 서명이 없는 등 절차에 하자가 있었고, 국회에서 계엄 해제 결의안이 통과돼 해제를 건의하자 계엄 사령관으로부터 오히려 핀잔을 들었다는 증언도 나왔는데요.
그런데 이런 증언들이 나오는 걸 틀어막기 위해, 국민의힘 임종득 의원 측이 합참 간부를 직접 만나서 압박하려 했다는 의혹도 불거졌습니다.
조희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 리포트 ▶
계엄 초기의 행정적, 법적 근거를 총괄하는 합참 계엄과 권영환 대령.
12월 3일 계엄사령부로 호출됐던 그는 당시 계엄 절차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고 증언했습니다.
계엄 공고문과 이를 토대로 작성하는 포고령 등 각종 계엄 서류에 대통령 서명이 없었다는 것입니다.
[권영환/전 합참 계엄과장]
"이미 포고령 1호가 발령됐다고 하는데 당시에 합참 계엄과장으로서 지원 임무를 간 저는 그 서명이 들어간 계엄포고령 1호도 보지를 못했다는 게 팩트입니다."
새벽 1시, 계엄해제 요구안이 통과되자 권 대령은 법에 따라 즉시 계엄을 해제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그랬더니 박안수 당시 계엄사령관으로부터 "일머리 없다"라는 말이 돌아왔습니다.
[권영환/전 합참 계엄과장 - 김병주/더불어민주당 의원]
"<계엄법에 따라서 즉시 해제해야 된다라고 계엄사령관한테 건의했었잖아요.> 조언했습니다. <'일머리가 없다' 이렇게 욕을 먹었지요?> 그런 말을 들었습니다."
그동안 2차 계엄을 준비했다는 의혹을 전면 부인해왔던 박 전 사령관의 주장을 반박하는 진술입니다.
박 전 사령관은 당시 상황이 기억 안난다고 얼버무렸습니다.
[박안수/전 계엄사령관(육군참모총장)]
"그것을 정확하게 제가 특정은 솔직히 못, 기억을 할 수 없는 상황이고…"
[안규백/국회 내란특위 위원장]
"아니 엄중한 계엄사령관께서.. 언제 당신이 이 계엄과장한테 말했는지 모른단 말이에요?"
그런데 권 대령이 특위에서 이런 진술을 공개적으로 하는 것을 국민의힘이 막으려 했다는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국민의힘 임종득 의원실로부터 압박을 받았다는 것입니다.
권영환 대령은 "내란특위 출석 30분 전에 따로 만나자"고 해 이를 거절하니, "계엄 포고문에 대통령 서명이 있어야 한다는 근거가 뭐냐"며 임종득 의원 측에서 따져 물어 압박감을 느꼈다고 말했습니다.
[권영환/전 합참 계엄과장 - 김병주/더불어민주당 의원]
"<여기 한겨레신문에 났던 내용에 대해서 꼬치꼬치 묻고 그랬지요?> 네. 압박감을 느꼈습니다."
임종득 의원은 적반하장이라고 반발했습니다.
[임종득/국민의힘 의원]
"제가 마치 계엄과장에게 회유를 하려고 한 것처럼 호도를 하고 있습니다. 적반하장도 유분수입니다."
임 의원은 정상적인 절차에 따라 대면설명을 요구한 것이라며 언론보도 내용을 질문한 것이 전부라고 주장했습니다.
MBC뉴스 조희형입니다.
영상편집 : 김진우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