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현역 미선발자' 분류에 사직 전공의 반발
軍 "①4년간 순차 입영 ②병 복무 불가"
지난 5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뉴스1


의대 증원을 둘러싼 갈등으로 사직한 전공의 가운데 병역의무를 마치지 않은 미필자 문제로 국방부가 곤욕을 치르고 있다. 매년 1,000명가량의 전공의가 입대할 수 있었는데 갑자기 군복무 희망자가 3배 이상 늘어 도저히 수용할 수 없는 처지다. 이에 국방부는 규정을 바꿔 시간을 두고 이들을 최대한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이지만, 당장 군대에 가겠다는 전공의들은 22일 집회를 예고하며 강경대응으로 맞섰다.

국방부는 의무사관후보생 가운데
입영하지 못한 사직 전공의들은 앞으로 4년 동안 순차적으로 군의관(현역 장교)이나 공중보건의(보충역)로 병역 의무를 이행하게 되며, 일반 병사로의 전환 복무는 불가능
하다고 21일 밝혔다. 현행 병역법상 전공의는 군의관이나 공중보건의로만 군복무를 마칠 수 있다. 지난해 정부의 의대 2,000명 증원 방침에 항의하며 3,300명이 수련의료기관에서 퇴직하면서 올해 한꺼번에 입영대상자가 됐다. 이들은 원래 2028년까지 차례로 입영할 예정이었다. 따라서 최악의 경우 앞으로 4년 뒤에야 군에 갈 수 있는 것이다.

병역 의무자는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면허 취득 후 수련기관과 인턴으로 계약하면 의무사관후보생에 편입된다. 이후 수련과정(인턴·레지던트)을 마칠 때까지 입영을 유예한 뒤 의무장교로 복무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문제는 현행법상 의무사관후보생으로 한 번 편입되면 병사로 군복무하는 게 불가능
하다는 것이다.
공중보건의를 늘리는 건 향후 우려되는
의료공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결
정할 사안
이다. 각 지방자치단체의 공중보건의 수요는 많은 편이지만,
그렇다고 올해 숫자를 확 늘려 배치할 경우 내년부터 입영할 수 있는 군의관이 그만큼 줄어드는 구조다.
아랫돌 빼서 윗돌을 괴는 셈이다.

국방부와 병무청은 난감한 처지다. 그렇다고 법을 흔들거나 의무사관후보생에게만 예외를 둘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매년 의무사관후보생 중 무작위로 선발해 600∼700명을 군의관으로 배치하고, 나머지 200∼300명을 보충역으로 편입해 지역의료기관에서 공보의로 근무하도록 해왔다"며 "이처럼
연간 병역의무를 이행하게 되는 의무사관후보생은 통상 1,000명 남짓이었는데 지난해 초유의 전공의 집단사직으로 올해 입영대상자는 3배 이상 급작스럽게 늘어난 상황
이 됐다"고 토로했다.

이에 국방부는 군의관이나 공보의로 선발되지 못하고 입영 대기하는
의무사관후보생을 '현역 미선발자'로 분류해 관리하는 것을 골자로 한 '의무·수의 장교의 선발 및 입영 등에 관한 훈령' 개정안
을 지난 10일 입법예고했다. 그러자 앞으로 최대 4년간 수련도 못 하고 군복무도 못 하게 된 사직 전공의들은 '국방부가 임의로 입영을 연기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라고 반발하며 국방부 앞에서 22일 집회를 열겠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그간 없었던 '입영 대기자'에 대한 명칭만 새로 생겼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입영 공급이 수요를 월등히 넘어선 경우가 사실상 처음이라 그에 맞춘 변화라는 것이다. 아울러 군의관 선발 방식에 대해 "(징집 유예가 불가능한) 33세에 도달한 의무사관후보생이 우선 입영하고, 지난해 11월 '입영 의향 조사'에 응한 대상자의 의사도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796 오세훈 측 “명태균 미공표 여론조사 전달된 적 없다” 랭크뉴스 2025.02.21
45795 윤석열 쪽 ‘홍장원 흔들기’ 안 통하네…메모·CCTV 논란 반박당해 랭크뉴스 2025.02.21
45794 가정집 덮친 1.5m 검은 물체…머스크 회사가 쏜 로켓이었다 랭크뉴스 2025.02.21
45793 하마스 ‘가짜 인질 시신’ 반환, 이스라엘 ‘격앙’... 가자 휴전 최대 위기 랭크뉴스 2025.02.21
45792 '윤석열 방어권 보장' 이충상 인권위 상임위원 사표 수리 랭크뉴스 2025.02.21
45791 국회 가결 뒤 "국회 병력, 선관위로" 지시‥"곽종근, 어렵다며 거부" 랭크뉴스 2025.02.21
45790 고려대로 간 ‘윤석열 옹호’ 세력…학생·동문 “맞서 싸우겠다” 랭크뉴스 2025.02.21
45789 또다시 이어진 윤석열 궤변‥책임 떠넘기기도 여전 랭크뉴스 2025.02.21
45788 "여보, 꿈에서 금화 3개 주웠어"…아내 얘기 듣고 복권 샀더니 '대박' 랭크뉴스 2025.02.21
45787 與의원 '국민의힘 입당하나' 현수막에 李 "보수 아닌 내란좀비당" 랭크뉴스 2025.02.21
45786 76·86·96년생은 깎아준다…'역차별 논란' 국민연금 보험료 차등인상 랭크뉴스 2025.02.21
45785 독일 법원 “버켄스탁 샌들은 예술 아니다”···모조품 금지 소송 패소 랭크뉴스 2025.02.21
45784 "북한군, 예전처럼 대담하지 않아…소규모 공격 방식으로 전술 바꿨다" 랭크뉴스 2025.02.21
45783 ‘윤석열 방어권’ ‘이태원 막말’ 이충상 인권위원 사표 수리 랭크뉴스 2025.02.21
45782 [단독] 국회에서 '실탄 즉시 사용 준비' 지시‥"비엘탄 개봉 승인" 랭크뉴스 2025.02.21
45781 학생부터 성인까지 '이 가방' 안 메본 사람 없다더니…매출 60% '껑충' 랭크뉴스 2025.02.21
45780 트럼프 "3~4주내 대기업들 대규모 美투자 발표"…韓 포함 촉각 랭크뉴스 2025.02.21
45779 ‘공화당 내 反트럼프’ 매코널, 정계은퇴 공식화… “내년 총선 불출마” 랭크뉴스 2025.02.21
45778 고속도로에 왜?…한밤 중 육군장교 고속도로서 숨져 랭크뉴스 2025.02.21
45777 [단독] ‘정치인 구금 벙커’ 답사한 군인 “여인형도 지시받고 전달한 듯” 랭크뉴스 2025.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