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K조선, 1600조 시장 정조준
한화그룹은 미국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필리 조선소 인수 절차를 마쳤다고 밝혔다. [사진 한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반도체 등에 관세부과 방침을 밝히면서 국내 기업들이 대응책 마련을 고심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 조선업계는 오히려 기회를 엿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 전부터 한국 조선업과의 협력을 여러차례 강조했기 때문이다. 국내 조선사들은 이에 보조를 맞춰 미국 현지 투자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여기에 이미 수주를 시작한 미 해군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사업뿐 아니라 신규 함정 건조까지 눈독을 들이고 있다.

20일 HD현대에 따르면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허드슨연구소에서 ‘선박 정비-미 해군 조선 및 선박 수리 강화’ 대담 프로그램이 열렸다. 허드슨연구소는 미국의 대표적 보수주의 성향 싱크탱크로 꼽힌다. HD현대는 이날 대담에서 미 해군 함정 건조 및 MRO 협력을 통해 미국을 도울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날 대담에 참여한 김지훈 HD현대중공업 워싱턴 담당 책임 디렉터는 ‘동맹국 조선소들이 어떤 방식으로 미국을 도울 수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선박 건조와 MRO 부분에서 도울 수 있을 것”이라며 “단기적으로는 미국이 조선 산업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는 게 목표이며, 미국 역량을 강화해 다른 국가와의 간격을 좁힐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책임 디렉터는 “장기적으로 미국 내 투자 기회를 검토하고 있고 이를 통해 미국 방산 역량을 강화하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현지 투자 가능성도 열어뒀다.

국내 조선업계가 미국 현지 투자를 검토하는 건 향후 열리게 될 미국 함정 건조 시장 때문이다. 미 해군은 지난해 기준 295척인 군함을 2054년 390척으로 늘릴 계획인데, 구매 비용만 1조750억 달러(약 1562조 원)에 달한다. 향후 30년간 1600조 원에 달하는 시장이 열리는 셈이다.

앞서 한화오션은 지난해 미 해군 함정 2척의 MRO 사업을 수주했다. 국내 기업 최초로 미국 필리조선소 지분 100%를 인수하며 북미 지역에 전략적 거점을 마련했다. HD현대 역시 미 해군 함정 건조와 MRO 사업 진출을 타진하고 있다. HD현대는 지난 6일 열린 컨퍼런스콜을 통해 “미국 MRO 사업 첫 입찰은 2월 중 진행되며 올해는 2~3건 정도 추진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4~5도크 슬롯도 이미 배정해 놓은 상태”라고 말했다.

한·미 조선 협력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미 의회의 도움이 절실하다. 현재 미국은 번스-톨리프슨법에 의해 해군 함정을 외국 조선소에서 건조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달 초 미 의회에서 해군 함정 건조를 한국 등 동맹국에 맡기는 법안이 발의돼 수주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미국이 번스-톨리프슨법을 수정하려는 이유는 중국의 ‘해양굴기’를 견제하기 위해서다. 중국은 2000년대 들어 해군력을 급격히 키우고 있다. 지난해 기준 해군 함정 370척을 보유해 미국(295척)을 앞질렀다. 미국 정부는 자체 시설만으로 함선을 확대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보고 있다.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의 힘을 빌려 함정 건조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김용환 서울대 조선해양학과 교수는 “번스-톨리프슨법이 수정돼 국내 조선사가 미 해군 함정 건조를 수주하더라도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내 함정 건조를 원칙으로 내세울 가능성이 크다”며 “국내 조선업계가 미국 현지에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427 "살 빼려고 '제로 슈거' 음료 많이 마셨는데"…심장에 위험할 수 있다? 랭크뉴스 2025.02.21
45426 中 딥시크 영향 없다?…"챗GPT 2월 기준 주간 이용자 4억명" 랭크뉴스 2025.02.21
45425 상속세·소득세에 기업 세금까지 깎아주겠다… 감세 딜레마 빠진 민주당 랭크뉴스 2025.02.21
45424 '우크라 패싱' 트럼프 보니 '코리아 패싱' 떠오른다 [View] 랭크뉴스 2025.02.21
45423 이재명, '비명계' 박용진과 회동…오후엔 양대노총 방문 랭크뉴스 2025.02.21
45422 상품권으로 야근비 준다…‘주52시간 덫’에 눈물겨운 꼼수 [트럼프發 중기 나비효과] 랭크뉴스 2025.02.21
45421 혹시 음주운전? 한밤 주차된 차량에 '쿵'…한참 후 경찰에 "졸음운전" 랭크뉴스 2025.02.21
45420 "그냥 피곤한 줄"……해외여행 다녀온 30대 여성, 정체불명 통증에 '고통' 랭크뉴스 2025.02.21
45419 트럼프도 대북제재 힘쏟는다…한미일 등 다국적 감시팀 첫 회의 랭크뉴스 2025.02.21
45418 트럼프, 24일 프랑스 대통령·27일 영국 총리와 정상회담 랭크뉴스 2025.02.21
45417 서해안고속도로 행담도 휴게소 부근서 남성 2명 투신해 실종 랭크뉴스 2025.02.21
45416 "어디서 타는 냄새 안 나요?"…점심시간에 대형 화재 막은 경찰관들 랭크뉴스 2025.02.21
45415 방미 앞두고 젤렌스키 편든 英스타머…'아슬아슬 줄타기' 랭크뉴스 2025.02.21
45414 "테슬라, 美공장 노동자 감전사로 안전규정 위반 조사받아" 랭크뉴스 2025.02.21
45413 이마 약간 찢어졌을 뿐인데…'응급실 뺑뺑이' 돌다 억울한 사망,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2.21
45412 美, 다자 외교 무대서도 러시아편…우크라이나에는 "비난 자제하라" 랭크뉴스 2025.02.21
45411 류진, 한경협 회장 연임…“내달 미국사절단 파견” 랭크뉴스 2025.02.21
45410 '딩크족' 남편, 미혼모 알바생과 외도 후…"나도 아빠가 되고 싶었나 봐" 랭크뉴스 2025.02.21
45409 이재명 ‘중도보수’ 논란에 “DJ의 길” 방어한 친명 랭크뉴스 2025.02.21
45408 멕시코, 美총기업자 법적 조치 확대…"카르텔과 거래 처벌 강화" 랭크뉴스 2025.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