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관 공터에서 적었다”고 한 홍장원
“메모 적은 장소는 사무실” 진술 변경
尹 “홍장원 메모는 내란 탄핵 공작”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지난달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1회 국회(임시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 1차 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과 윤석열 대통령 측이 20일 탄핵심판 10차 변론에서 이른바 ‘정치인 체포 명단 메모’를 둘러싸고 재차 진실 공방을 벌였다. 홍 전 차장은 이날 메모를 받아 쓴 장소를 공터에서 사무실로 정정하면서도 “논란될 일이 아니다”고 했다. 헌법재판소는 홍 전 차장이 메모를 적었다고 진술한 장소가 바뀐 점 등을 종합해 증언의 신빙성을 판단할 것으로 보인다.

홍 전 차장은 이날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체포자 명단을 받아 적은 장소를 묻는 윤 대통령 측 질문에 “사무실”이라고 답했다. 그는 “검찰에 진술할 당시 관저 앞 본관 공터라고 생각했지만 기억을 고증해보니 체포자 명단 불러주겠다고 한 것은 오후 10시58분 상황”이라며 “명단을 받아적은 건 오후 11시6분 사무실”이라고 설명했다.

홍 전 차장은 지난 4일 헌재에서 “지난해 12월 3일 오후 11시6분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 통화하며 국정원장 관사 입구 공터에서 메모를 작성했다”고 증언했는데, 진술을 수정한 것이다. 홍 전 차장은 이번 탄핵심판에서 채택된 증인 중 유일하게 두 차례 증인신문을 받은 인물이다.

윤 대통령 측은 바뀐 진술을 고리로 압박을 이어갔다. 메모를 작성한 경위와 방식에 대해서도 재차 의문을 제기하며 증언 신빙성을 파고들었다. 윤 대통령 측은 홍 전 차장 메모를 정서했다는 보좌관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의 친구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홍 전 차장은 “보좌관 친구가 어떤 사람인지는 기억 못 한다”고 답했다.

홍 전 차장은 이날 메모 원본을 직접 가져와서 작성 배경 및 경위를 상세하게 재차 설명했다. 그는 “보좌관에게 정서를 시킨 것이 천만다행이라 생각한다”며 “제가 혼자 했으면 누가 믿어줬겠느냐”고 말했다. 또 “원본은 사람을 쓰고 괄호 열고 빽빽하게 써서 보기 어려웠다. 보좌관에게 다시 시원시원하게 써봐라 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홍 전 차장은 “결국 (메모 작성이) 이뤄진 곳은 국정원 청사 안”이라며 “제 사무실에서 3분 떨어진 곳이 원장 관저다. 시간은 통화 내역이 공개돼 있으니 (작성한 곳이) 짧은 기간에 이뤄졌다면 어디든 크게 논란은 안 되지 않느냐”고 말했다.

국회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소속 여당 위원들은 20일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의 이른바 '체포 명단' 메모의 작성 경위 등이 불분명하다며 당시 홍 전 차장의 행적이 담긴 국정원 CCTV를 공개했다. 연합뉴스

홍 전 차장이 기억의 오류로 진술이 바뀐 점을 인정하면서 윤 대통령 측 공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헌재는 홍 전 차장의 바뀐 진술을 종합해 체포조 운용에 대한 신빙성 판단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여 전 사령관이 명단을 불러주고 위치 파악을 요청했던 점, 방첩사 요원들이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체포 지시를 전달받았던 점 등의 수사결과를 종합할 때 메모 작성 경위는 지엽적인 부분이란 지적도 나온다. 국회 측 대리인단이 지난 18일 공개한 여 전 사령관의 검찰 조서를 보면 여 전 사령관은 “홍장원씨가 저에게 ‘뭐 도와줄 것이 없냐’고 얘기했다”며 “그래서 제가 (김용현 당시 국방부) 장관님이 명단 말씀해주신 것을 말했다”고 진술했다.

윤 대통령은 “(체포 지시 의혹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여 전 사령관 모두 수사에 대한 개념 자체가 없어서 위치 확인과 동향 파악을 하려 한 것”이라며 “불필요하며 잘못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다만 “홍 전 차장과 내가 통화한 것을 대통령 체포 지시와 연결해 내란 탄핵 공작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392 헌재 오는 25일 최종 변론‥3월 초중순 선고 전망 랭크뉴스 2025.02.21
45391 "설탕 200배"…제로 음료 하루 3캔 마셨더니 충격적 결과 랭크뉴스 2025.02.21
45390 “뚜껑서 이상한 맛” 美스타벅스, 불만 폭주한 ‘새 컵’ 랭크뉴스 2025.02.21
45389 "UDT로 계엄 한번 더"…'또' 폭탄발언한 전광훈, 김용현 편지 받았다는데 랭크뉴스 2025.02.21
45388 폭풍처럼 몰아친 ‘트럼프쇼’ 한 달 랭크뉴스 2025.02.21
45387 양자 칩 시대 성큼?…“거대한 성공이지만 더 많은 개선 필요” 랭크뉴스 2025.02.21
45386 尹 “빨리 복귀해 세대통합 힘으로 대한민국 이끌 것”…지지자 투쟁 주문?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21
45385 [사설] 이재명 “중도보수” 선언… 속 빈 논쟁 아닌 실천 담보돼야 랭크뉴스 2025.02.21
45384 3만명 의사 익명 커뮤니티, ‘집단 괴롭힘’ 온상으로 랭크뉴스 2025.02.21
45383 서부지법 폭동 그날… “너희는 개” 경찰 조롱에 기름 뿌려 방화 시도 랭크뉴스 2025.02.21
45382 [단독] 잦은 집회에 '바들바들'…경찰, 방한점퍼 바꾼다 랭크뉴스 2025.02.21
45381 “헌재 탄핵”“이재명 제명”… 尹 지지자들이 점령한 국민청원 랭크뉴스 2025.02.21
45380 ‘드르렁∼컥’ 수면무호흡증...심장질환 사망률 껑충 [건강한겨레] 랭크뉴스 2025.02.21
45379 "윤 대통령, '국회 해산권' 언급"‥한동훈 책에 담긴 비화는? 랭크뉴스 2025.02.21
45378 케이블타이가 봉쇄용?‥"이걸로 문 잠기나? 헌재에서 거짓증언!" 랭크뉴스 2025.02.21
45377 [단독] HD현대·한화, 20조 美함정 MRO 수주전 첫 격돌 랭크뉴스 2025.02.21
45376 남아공서 믹타 외교장관회의…한국, 의장국 수임 랭크뉴스 2025.02.21
45375 미·러 밀착에 버려지는 우크라이나‥다음은 '서울 패싱'? 랭크뉴스 2025.02.21
45374 연금개혁 국회 테이블 올렸지만···“여야 입장차만 확인” 랭크뉴스 2025.02.21
45373 '대통령 지지율 올리자' 의기투합‥후속기사 두고 '부적절 거래' 정황 랭크뉴스 2025.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