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비 10조원 추가 편성…"GDP 3% 넘긴다"
총리 "스피드가 생명…무조건 빨리 받을 수 있는 무기로"
총리 "스피드가 생명…무조건 빨리 받을 수 있는 무기로"
국방비 증액 발표하는 덴마크 총리
(코펜하겐 로이터=연합뉴스)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가운데)가 19일(현지시간) 코펜하겐 총리실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2.19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코펜하겐 로이터=연합뉴스)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가운데)가 19일(현지시간) 코펜하겐 총리실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2.19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대대적 재무장을 예고한 덴마크가 19일(현지시간) 국방예산 추가 편성과 함께 군 당국에 '조속한' 무기 조달을 지시했다.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는 이날 코펜하겐 총리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올해와 내년 국방비를 500억 크로네(약 10조원) 추가 편성한다고 공식 발표했다고 AFP, 로이터 통신 등이 보도했다.
전날 의회에서 안보상황이 "냉전 시절보다 더 엄중하다"면서 "대대적 재무장에 나서야 한다"고 말한 데 대한 후속 조처다.
프레데릭센 총리는 이번 증액을 통해 덴마크 국방비가 국내총생산(GDP)의 3%를 거뜬히 넘기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덴마크는 이미 지난해 국방비를 10년간 총 1천900억 크로네(약 38조원)를 증액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프레데릭센 총리는 특히 "국방장관에게 전하는 메시지는 단 하나다. (무기를) 사고, 사고, 또 사라(Buy, buy, buy)"라며 "중요한 건 오직 스피드"라고 강조했다.
그는 "최상의 무기를 구매할 수 없다면, 차선책을 사야 한다. 만약 우리가 원하는 무기를 구매하는 데 너무 오래 걸린다면, 보다 신속히 인도될 수 있는 다른 것을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무기 조달 입찰에 소요되는 기간도 대폭 단축하겠다고 예고했다.
이런 발언을 고려하면 한국 방산업계에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수출 확대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프레데릭센 총리는 이번 결정의 배경으로 러시아의 위협을 꼽았다.
3년 가까이 우크라이나를 적극적으로 지원한 탓에 무기가 고갈되는 등 현실적 이유도 있다.
일각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덴마크 자치령인 그린란드를 편입하겠다는 의사를 노골화하고 있는 것도 영향을 줬을 것이란 분석도 제기된다.
나토 자료에 따르면 덴마크 국방비는 2022년까지만 해도 GDP의 1.1∼1.3% 수준에 그쳤다.
전통적으로 오스트리아, 스웨덴, 네덜란드와 함께 EU의 '재정검소 4국'(Frugal Four)으로, 방위 부문에서는 지출에 더욱 인색했던 게 사실이다.
수십 년에 걸친 국방비 삭감으로 방공 및 해군 전력이 특히나 취약한 것으로 알려졌다.
덴마크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듬해인 2023년 GDP의 2.01%로 늘리며 처음으로 나토 지출 목표치인 2%를 달성했다. 지난해는 2.37%를 기록했다.
이번 계획에 따라 3%를 넘기게 되면 GDP 비율로 따졌을 때 미국과 비등한 수준이 될 전망이다.
지난해 기준 미국의 국방비는 GDP의 3.38%였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을 제외한 나머지 회원국들이 5%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프레데릭센 총리는 이날 "다시는 삭감하지 말자. 두 번 다시 일어나선 안 될 일"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