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최종 변론
“불합리한 혐의 벗고 국민께 소임 다하는 게 꿈”

한덕수 국무총리가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대통령이 다른 선택을 하시도록 설득하지 못했다”며 “국민들이 이런 어려운 상황을 겪고 계신 데 대해 제 일신의 영욕을 떠나 진심으로 가슴 아프고 송구스럽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19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본인의 탄핵 심판 최종 변론을 통해 “비상계엄 선포와 해제, 그에 뒤이은 세 번째 현직 국가원수 탄핵 심판으로 인해 우리 국민 한 분 한 분이 느끼고 계신 고통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19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심판 1차 변론에 출석하고 있다. /뉴스1

그는 탄핵 소추안에 담긴 다섯 가지 사유를 반박하며 변론을 이어갔다. 우선 한 총리는 재의요구안 심의·의결과 관련해 “해당 법안들은 모두 위헌 소지가 있었기에 헌법과 법률을 지켜야 할 행정부가 이를 받아들이는 것은 우리 헌정질서의 기본 정신에 도저히 부합하지 않았다”고 했다.

내란 동조·묵인·방조와 관련해선 “대통령이 어떤 계획을 갖고 있는지 사전에 전혀 알지 못했고, 대통령이 다시 생각하시도록 최선을 다해 설득했다”며 “군 동원에도 일체 관여한 사실이 없음을 다시 한번 분명히 말씀드리고 싶다”고 강조했다.

당시 여당 대표와 함께 담화문을 발표한 것에 대해선 “이번 사태의 여파로 대외신인도가 흔들리거나 경제가 위축되지 않도록 정부와 여야가 협력해 안정된 국정 운영에 힘쓰겠다는 뜻을 밝힌 것일 뿐, 국회가 주장하는 것처럼 권력을 찬탈하기 위해서가 전혀 아니었다”고 말했다.

상설 특검 후보자 추천을 의뢰하지 않은 것에 대해선 “국회의 요구에 즉시 따르는 쪽이 오히려 우리 헌정질서를 어지럽히고 국론 분열을 심화시킬 우려가 컸다”며 “특정 성향 야당만으로 특검을 구성할 수 있도록 야당 단독으로 하위 법령을 고친 것을 두고 위헌 논란이 거셌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통령 권한대행인 저로서는 과연 어떤 결정이 헌법과 법률에 부합하며, 국가 전체를 위하여 올바르고 이로운지, 여러 의견을 듣고 숙고할 시간이 절실했다”고 덧붙였다.

헌법재판소 재판관 임명 문제도 언급했다. 한 총리는 “권한대행은 대통령의 고유권한 행사를 자제해야 한다는 점, 여야의 실질적 합의 없이 헌법재판관을 임명하는 것은 우리 헌정사에 전례가 없다는 점을 깊이 고민했다”며 “나라가 어렵고 국론이 분분할수록 우리가 돌아봐야 할 것도, 우리가 추구해야 할 것도 오직 원칙과 가치, 그리고 국민의 합의라는 점도 마음에 새겼다”고 했다.

한 총리는 “한평생 국민을 섬긴 사람으로서 제게 남은 꿈은 단 한 가지, 하루빨리 불합리한 혐의를 벗고 국민께 약속드린 마지막 소임을 다하는 것”이라면서 “대한민국이 극단의 시대를 넘어 합리의 시대로 나아갈 수 있도록 헌재가 우리 사회의 마지막 보루로서 현명한 판단을 내려주시길 간곡히 당부드린다”며 변론을 마무리했다.

한편 한 총리 탄핵 심판 사건의 첫 변론 기일이 이날 오후 2시부터 열렸지만, 변론 시작 1시간30분 만에 종결됐다. 헌재는 재판관 평의를 거쳐 선고 기일을 정해 알리겠다고 말했다. 이날 오후 4시부턴 한 총리 탄핵안 표결 당시 의결정족수 적용이 잘못됐다며 국민의힘이 우원식 국회의장을 상대로 낸 권한쟁의 심판이 진행된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797 홍준표 “당장 내일 대선해도 준비돼 있다…명태균에 속은 아들은 효자” 랭크뉴스 2025.02.19
44796 '소득세 60조 돌파'에 이재명 "초부자들은 감세, 월급쟁이는 증세" 랭크뉴스 2025.02.19
44795 이재명 선거법 2심, 26일 심리 종결…이르면 3월말 선고 가능성(종합) 랭크뉴스 2025.02.19
44794 [단독] ‘문제없다’ 말렸지만 “선관위 위치나 확인해”…계엄 직전 수십 차례 위치 검색 랭크뉴스 2025.02.19
44793 "한국 가고싶다"는 북한군 포로…정부 "전원 수용, 北송환 안돼" 랭크뉴스 2025.02.19
44792 파면 갈림길 윤석열···석동현 “헌재 판결에 승복할 것” 랭크뉴스 2025.02.19
44791 "'95년생' AI 천재 뤄푸리, 결국 딥시크 떠났다"…샤오미행 가능성도 랭크뉴스 2025.02.19
44790 '연예인 열애설' 예로 들었다…이재명 공소장 대폭 변경한 檢 랭크뉴스 2025.02.19
44789 우원식 "대선 생각 없다‥국회의장 소임 임기 끝까지 수행" 랭크뉴스 2025.02.19
44788 김재규는 왜 유신의 심장을 쐈나... '박정희 암살' 김재규 재심 개시 랭크뉴스 2025.02.19
44787 ‘노인과 바다’만 남았다더니 진짜였나…초등학교 입학생 ‘뚝’ 떨어졌다는 부산 랭크뉴스 2025.02.19
44786 ‘지방 미분양’ 품는 LH, 연내 3000가구 사들인다 랭크뉴스 2025.02.19
44785 ‘그록3 vs 딥시크 vs 챗GPT’…승자는? 랭크뉴스 2025.02.19
44784 귀순의사 밝혀도 강제북송 면죄부?…위험한 선례 남겼다 랭크뉴스 2025.02.19
44783 탄핵심판 첫날 최후변론까지 마친 한덕수... 尹보다 빠른 선고? 랭크뉴스 2025.02.19
44782 野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 발의…與 "문형배·이미선 연장법" 랭크뉴스 2025.02.19
44781 “퇴사에 수면장애까지”…평범했던 일상 앗아간 ‘1형 당뇨’ 랭크뉴스 2025.02.19
44780 "태국 총리 옆 미모의 경호원 누구지?" 관심 폭발…정체 알고보니 랭크뉴스 2025.02.19
44779 KFC도 고향 켄터키 떠난다…'美 기업 블랙홀' 된 텍사스 랭크뉴스 2025.02.19
44778 이준석, '동덕여대 왜 왔나' 항의에 "폭도들이 불참 학생 린치 우려" 랭크뉴스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