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년 연속 일자리 증가 폭 둔화…건설업, 2018년 이후 최대 폭 감소


(CG)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박재현 기자 = 지난해 3분기 임금 일자리 증가 폭이 6년 만에 가장 작았다.

건설업을 비롯한 내수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10∼20대와 40대 임금 일자리는 통계 집계 이후 최대 폭 감소했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3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작년 3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1년 전보다 24만6천개 증가했다.

이는 2018년 3분기(21만3천개) 이후 3분기 기준 6년 만에 가장 적다.

일자리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 위치'를 뜻하며 취업자와는 다른 개념이다. 가령, 주중에 회사를 다니고 주말에는 학원 강사를 한 경우 취업자는 1명이나 일자리는 2개로 집계된다.

임금근로 일자리 증가 폭은 2022년 3분기(59만7천개), 2023년 3분기(34만6천개)에 이어 3년 연속 둔화하고 있다.

연령별로 20대 이하(-14만6천개)와 40대(-6만7천개)에서 일자리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

두 연령대 모두 2017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모든 분기를 통틀어 가장 큰 감소 폭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전체 인구 감소와 제조업·건설업 등 주요 산업의 고용 둔화가 겹치면서 20대 이하와 40대 일자리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일자리가 가장 많이 증가한 연령대는 60대 이상(27만4천개)이었다. 50대(11만9천개)와 30대(6만6천개)에서도 일자리가 증가했다.

[통계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산업 대분류별로 보면 보건·사회복지(13만8천개)와 협회·수리·개인(3만2천개), 운수·창고(3만1천개) 등은 일자리가 증가했다.

반면 건설업은 4만7천개 일자리가 줄었다. 2018년 3분기 11만3천개 감소한 이후 3분기 기준 가장 큰 폭이다.

전체 산업 중 일자리 비중이 가장 높은 제조업 일자리는 2만1천개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5만개)보다 증가 폭이 둔화했다.

전년 3분기와 같은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 일자리는 1천495만9천개로 전체의 72.0%를 차지했다.

퇴직·이직 등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35만4천개(16.1%), 기업체가 새로 만들어지거나 사업이 확장돼 새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247만5천개(11.9%)였다.

기업체가 없어지거나 사업이 축소돼 사라진 소멸 일자리는 222만9천개로 집계됐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746 [단독] 경찰, 대학 합격생 모르게 ‘등록 취소’ 누른 재수 동료 불구속 입건 랭크뉴스 2025.02.19
44745 [단독] 계엄군, 국회 107개 중 단 1개 노출 ‘두꺼비집’ 직행해 단전…사전 준비 정황 랭크뉴스 2025.02.19
44744 '탈북어민 강제북송' 文정부 대북안보라인 4명 전원 선고 유예 랭크뉴스 2025.02.19
44743 한덕수 “尹 설득 못해 송구”…탄핵심판 첫 기일에 변론종결 랭크뉴스 2025.02.19
44742 전두환 장남이 설립한 출판 도매업체 ‘북플러스’ 유동성 위기 랭크뉴스 2025.02.19
44741 ‘북한 어민 강제북송’ 정의용·서훈 징역 10개월 선고유예 랭크뉴스 2025.02.19
44740 오세훈 “문형배 봐라, 뭐가 문제냐”…배보윤·도태우 계속 서울시 인권위원으로 남는다 랭크뉴스 2025.02.19
44739 이현욱 "태종이 찌질하다니…예상과 다른 반응에 괴로웠죠" 랭크뉴스 2025.02.19
44738 '한국판 헬렌켈러와 설리번'…9년 함께한 대구대 사제 사연 눈길 랭크뉴스 2025.02.19
44737 “연기 하려면 ‘키빼몸 120’ 돼야”···‘뼈말라’ 요구에 병 드는 여성 청소년들 랭크뉴스 2025.02.19
44736 이번달만 ‘당정협의회’ 6번 몰아치기…국민의힘 ‘1타3피’ 셈법 랭크뉴스 2025.02.19
44735 文 정부 ‘탈북 어민 강제 북송’ 정의용·서훈, 1심서 징역형 선고유예 랭크뉴스 2025.02.19
44734 ‘붕괴 사고’ 광주 화정아이파크 800세대 “현산 선처를” 서울시에 탄원, 왜? 랭크뉴스 2025.02.19
44733 한덕수 “대통령 다른 선택하도록 설득 못해… 어려운 상황 겪는 국민께 송구” 랭크뉴스 2025.02.19
44732 정부 "北포로 한국행 요청시 수용이 원칙…우크라에 입장 전달" 랭크뉴스 2025.02.19
44731 ‘사망 6명, 광주 아이파크 붕괴’ 행정처분 향방은… “엄정 처분” vs “선처” 랭크뉴스 2025.02.19
44730 코스피 훈풍에 원화도 미소…1430원대 유지는 위안화가 관건 [김혜란의 FX] 랭크뉴스 2025.02.19
44729 [속보] 정부 "북한군 포로 한국행 희망 시 '전원 수용'…우크라에도 입장 전달" 랭크뉴스 2025.02.19
44728 尹 측 “대통령, 조기 하야는 전혀 고려하지 않아” 랭크뉴스 2025.02.19
44727 尹측 "대통령, 헌재 결과 당연히 승복…공정한 결정 촉구" 랭크뉴스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