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강성 유튜버의 등장 ‘디지털 전사’를 자처하는 2030 신흥 강성 보수 유튜버들이 온라인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반대 여론을 주도하고 있다. 이들은 디지털로 무장한 채 정보를 공유·전파하며 낡은 보수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SNS와 대면 인터뷰를 통해 그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어봤다.
2024년 12월 3일 오후 10시23분. 초현실적 비상계엄령이 선포된 한밤중, 서울에 사는 이모(36)씨는 평소처럼 집에서 미국 달러를 사 모으고 있었다. 중소 입시컨설팅 업체에서 영상 제작 일을 하던 그는 자산 증식에 관심이 많은 대한민국의 평범한 30대 기혼 남성이다. 그러나 비상계엄은 이씨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동기에 동조하는 ‘탄핵 반대파’다. 반면에 회사 대표는 노골적으로 정치 성향을 드러내는 시쳇말로 ‘김어준 빠(열혈 지지자)’였다. “(체포영장에 협조 안 하면) 총살해야지” 등 격한 발언을 할 정도로 ‘탄핵 찬성파’다.
유튜브 전사, 그들은 누구인가… 찬탄파 사장에 찍힌 반탄파 직장인, 25만원 지원금에 화난 재테크 강사
비상계엄 이후 탄핵 반대 여론이 상승세를 타고 있다. 이씨와 같은 2030 신흥 강성 보수 유튜버의 부상이 이런 흐름을 주도한다. 생업 타격까지 마다치 않으며 신념을 ‘샤우팅’하고 광장으로 나선 이들을 움직이는 기제는 무엇일까.
좌파의 현실 정치가 위선이었다는 실망감도 작용했다. 자녀 학력과 재산 증식을 위해 위·편법을 마다치 않은 조국(전 조국혁신당 대표) 사건이 대표적이었다. “(우파 청년들을) 말라비틀어지게 만들어야 한다”(박구용 민주당 교육연수원장) 같은 발언은 분노의 불에 기름을 붓고 있다. 유튜버 김씨는 “계엄 이후 경제가 후퇴하고 개인적 고통이 크지만 반국가 세력을 솎아내고 판을 뒤집으려면 어쩔 수 없는 출혈”이라고 말했다.
“화교 상속세 없다” 가짜뉴스로 비난
반중(反中) 정서도 한몫했다. 중국이 경제적으로 부상하면서 우리를 위협한다는 인식도 커졌다. 엉뚱하게 65만 명(2023년 법무부 기준) 화교가 주된 타깃이 됐다. 화교의 부동산 양도세·상속세 면제와 입시 혜택을 예로 들며 특혜와 상대적 불평등을 저격하고 있다. 화교 특혜론은 화교의 상속엔 한국법이 아닌 중국법을 적용하는데, 중국·홍콩·대만은 상속세 및 증여세가 없기에 내지 않는다는 것으로, ‘가짜뉴스’다. 장영욱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연구위원은 자신의 SNS에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서 지칭한 ‘외국 증여재산’은 외국인이 가진 한국 자산이 아니라 한국인이 가진 외국 자산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화교 특혜론은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분노와 혐오를 팔아 상업적 이득을 얻기 위해 극렬 유튜버들로 돌변한 경우도 적잖다. 노인에게 시비를 거는 영상을 올리던 격투기 선수 출신 유튜버 J는 비상계엄 후엔 ‘애국 청년’ ‘우파 전사’를 자처했고, 탄핵 반대 집회에 단골이 됐다. 유튜버 K는 계엄 사태 전에는 부동산 시장 전망에 관한 콘텐트를 주로 다뤘다. 신규 구독자 유입이 0명에 그치는 날이 허다했다. 그러던 지난달 5일 ‘자유주의자라면 가슴이 뜨거워지는 좌파 참교육 영상’이란 콘텐트를 올린 직후 신규 구독자가 하루 만에 5500명이나 증가했다.
온라인 유머 게시판에서 회자하는 ‘밈(meme)’을 끌어와 AI(인공지능)를 활용, ‘사법 카르텔’ ‘좌파 삼촌 필승법’ 등의 힙합·록 버전의 음악을 만들기도 한다. 유튜버 드럼통타이거는 “노래가 제일 쉽지 않나. 저들(좌파)은 오래전부터 노래와 같은 문화의 힘으로 사상의 씨앗을 심어 왔다. 좌파식 문화 선동을 답습하는 셈”이라고 털어놨다.
윤 메시지도 2030 영웅심리 불붙여
윤 대통령은 자신에게 우호적인 유튜브 바람에 올라탔다. 그는 변호인단을 통해 “꿈을 키워야 하는 청년들, 미래 세대들이 현실에 좌절하지 않을까 하는 것이 더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동조하듯 온라인상에는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시 “제2 건국전쟁을 불사하겠다”는 주장이 돌아다닌다. 윤 대통령과 극단 유튜버의 위험한 밀착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尹 정국인식 해부-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헌금만 年1000억 ‘전광훈 힘’…尹이 외친 ‘애국시민’ 실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8770
“마리 앙투아네트에 격분한 尹, 극렬 유튜버 용산 불러 술자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0229
尹의 반국가세력은 누굽니까…골수 주사파 민경우에 묻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7118
“내가 극우 같아요?” 전광훈 최측근을 만나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2876
2024년 12월 3일 오후 10시23분. 초현실적 비상계엄령이 선포된 한밤중, 서울에 사는 이모(36)씨는 평소처럼 집에서 미국 달러를 사 모으고 있었다. 중소 입시컨설팅 업체에서 영상 제작 일을 하던 그는 자산 증식에 관심이 많은 대한민국의 평범한 30대 기혼 남성이다. 그러나 비상계엄은 이씨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동기에 동조하는 ‘탄핵 반대파’다. 반면에 회사 대표는 노골적으로 정치 성향을 드러내는 시쳇말로 ‘김어준 빠(열혈 지지자)’였다. “(체포영장에 협조 안 하면) 총살해야지” 등 격한 발언을 할 정도로 ‘탄핵 찬성파’다.
유튜브 전사, 그들은 누구인가
윤석열 대통령을 지지하는 2030 강성 유튜버들이 제작한 영상들. [유튜브 캡처]
정치적 견해를 어떻게 표현할지 고심하던 이씨는 지난달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다. 자신의 정치적 성향이 담긴 음악을 만들어 올렸다. 회사 대표가 곱게 볼 리 없었다. 사표를 던졌다. 이제 그는 전업 유튜버다.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탄핵 반대 집회에 활용할 각종 음원을 만들어 올리는 ‘디지털 전사’로 변신했다.
비상계엄 이후 탄핵 반대 여론이 상승세를 타고 있다. 이씨와 같은 2030 신흥 강성 보수 유튜버의 부상이 이런 흐름을 주도한다. 생업 타격까지 마다치 않으며 신념을 ‘샤우팅’하고 광장으로 나선 이들을 움직이는 기제는 무엇일까.
윤석열 대통령을 지지하는 2030 강성 유튜버들이 제작한 영상들. [유튜브 캡처]
취재팀과 만난 2030 극렬 보수 유튜버들은 좌파의 현실 정치와 경제에 불만부터 토로했다. ‘25만원 전 국민 지원금’은 미래 세대에 빚을 떠넘기고 다 같이 못살게 하는 공산주의적·반민주적 공약이라고 주장했다. 부동산 재테크 오프라인 강의로 업계에서 알려진 유튜버 김모씨는 서면 인터뷰에서 “나라가 공산화되면 사유재산은 휴지 조각이 된다”고 했다. 김씨는 탄핵 반대 집회에 무료 어묵차 지원을 하고 있다.
좌파의 현실 정치가 위선이었다는 실망감도 작용했다. 자녀 학력과 재산 증식을 위해 위·편법을 마다치 않은 조국(전 조국혁신당 대표) 사건이 대표적이었다. “(우파 청년들을) 말라비틀어지게 만들어야 한다”(박구용 민주당 교육연수원장) 같은 발언은 분노의 불에 기름을 붓고 있다. 유튜버 김씨는 “계엄 이후 경제가 후퇴하고 개인적 고통이 크지만 반국가 세력을 솎아내고 판을 뒤집으려면 어쩔 수 없는 출혈”이라고 말했다.
“화교 상속세 없다” 가짜뉴스로 비난
반중(反中) 정서도 한몫했다. 중국이 경제적으로 부상하면서 우리를 위협한다는 인식도 커졌다. 엉뚱하게 65만 명(2023년 법무부 기준) 화교가 주된 타깃이 됐다. 화교의 부동산 양도세·상속세 면제와 입시 혜택을 예로 들며 특혜와 상대적 불평등을 저격하고 있다. 화교 특혜론은 화교의 상속엔 한국법이 아닌 중국법을 적용하는데, 중국·홍콩·대만은 상속세 및 증여세가 없기에 내지 않는다는 것으로, ‘가짜뉴스’다. 장영욱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연구위원은 자신의 SNS에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서 지칭한 ‘외국 증여재산’은 외국인이 가진 한국 자산이 아니라 한국인이 가진 외국 자산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화교 특혜론은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분노와 혐오를 팔아 상업적 이득을 얻기 위해 극렬 유튜버들로 돌변한 경우도 적잖다. 노인에게 시비를 거는 영상을 올리던 격투기 선수 출신 유튜버 J는 비상계엄 후엔 ‘애국 청년’ ‘우파 전사’를 자처했고, 탄핵 반대 집회에 단골이 됐다. 유튜버 K는 계엄 사태 전에는 부동산 시장 전망에 관한 콘텐트를 주로 다뤘다. 신규 구독자 유입이 0명에 그치는 날이 허다했다. 그러던 지난달 5일 ‘자유주의자라면 가슴이 뜨거워지는 좌파 참교육 영상’이란 콘텐트를 올린 직후 신규 구독자가 하루 만에 5500명이나 증가했다.
유튜버 드럼통타이거가 지난 3일 인터뷰 중 자신의 채널 계정을 보여줬다. 이태윤 기자
2030 극렬 보수 유튜버들은 디지털로 무장했다. ‘계몽령’이란 프레젠테이션(PPT) 파일을 만들어 구글의 문서 공유 서비스 독스(Docs)를 활용해 온라인에 적극적으로 배포한다. 프리랜서 영상 편집자인 광주광역시 출신의 한 20대 여성 유튜버는 왜 자신이 윤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고, ‘이른바 진보’에서 보수가 됐는지 경험담을 풀어낸 영상을 제작해 퍼뜨렸는데, 조회수 80만이 넘었다. 이후 부정선거론 등 논쟁적 사안에 관해 수집한 자료와 그래픽, 내레이션을 조합한 영상을 만들어 퍼나르고 있다.
온라인 유머 게시판에서 회자하는 ‘밈(meme)’을 끌어와 AI(인공지능)를 활용, ‘사법 카르텔’ ‘좌파 삼촌 필승법’ 등의 힙합·록 버전의 음악을 만들기도 한다. 유튜버 드럼통타이거는 “노래가 제일 쉽지 않나. 저들(좌파)은 오래전부터 노래와 같은 문화의 힘으로 사상의 씨앗을 심어 왔다. 좌파식 문화 선동을 답습하는 셈”이라고 털어놨다.
윤 메시지도 2030 영웅심리 불붙여
윤 대통령은 자신에게 우호적인 유튜브 바람에 올라탔다. 그는 변호인단을 통해 “꿈을 키워야 하는 청년들, 미래 세대들이 현실에 좌절하지 않을까 하는 것이 더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동조하듯 온라인상에는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시 “제2 건국전쟁을 불사하겠다”는 주장이 돌아다닌다. 윤 대통령과 극단 유튜버의 위험한 밀착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尹 정국인식 해부-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헌금만 年1000억 ‘전광훈 힘’…尹이 외친 ‘애국시민’ 실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8770
“마리 앙투아네트에 격분한 尹, 극렬 유튜버 용산 불러 술자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0229
尹의 반국가세력은 누굽니까…골수 주사파 민경우에 묻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7118
“내가 극우 같아요?” 전광훈 최측근을 만나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2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