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여사가 2024년 9월 20일(현지시간) 뉴욕 유엔 총회장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기조연설을 경청하고 있다. 뉴욕=뉴시스
윤석열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의 국정 개입 의혹이 잇따라 터져나오고 있다. 계엄 때 정보기관 수장과 연락하는가 하면, 브로커에게 특정인 공천을 부탁하고, 여당 의원들로부터 선거 판세 분석을 전해들었을 수 있다는 단서가 확인됐다. 엄정한 수사와 의혹 규명이 요구된다.
정치브로커 명태균씨 측에 따르면 김 여사는 지난해 2월 ‘조국 수사 검사가 국회의원이 되도록 도와 달라’는 얘기를 했다고 한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은 압수수색 영장을 청구하면서 김 여사가 명씨에게 윤 대통령에게 유리한 여론조사를 요청했다고 의심할 만한 정황이 있다는 의견을 법원에 냈다. 친윤 의원들에게 들은 얘기를 바탕으로 ‘여당이 보수정권 역사상 가장 큰 승리를 거둘 것’이란 말도 했다고 한다. 어느 면으로 봐도 대통령 배우자로서 부적절한 언행이고 당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한 게 아니냐는 의심을 불러일으킨다.
나아가 윤 대통령 탄핵심판 과정에 김 여사는 계엄 당일과 전날 조태용 국가정보원장과 연락한 사실도 드러났다. 국정원장이 그 민감한 시기에 대통령 배우자와 사적 안부를 주고받았다고 보긴 어렵다. 김 여사가 계엄에도 간여됐을 개연성을 엿보게 하는 장면이다.
앞서 명품백 사건이나 ‘한동훈 문자’(대국민 사과) 사건을 보더라도, 김 여사는 대통령 임기 초부터 자신의 본분을 넘어 사실상 정치특보 및 민원창구 노릇을 하거나 실세로서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했다. “당선되면 내조만 하겠다”던 약속은 온데간데없었다.
농단(壟斷)은 높은 언덕에 올라 사적 이익을 독식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선출되지 않은 권력이 대통령에게 영향을 주며 이익을 챙길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박근혜 정부 비선실세 사건에서 확인됐다. 그 담당 검사인 윤 대통령에게서 농단 의혹이 또 불거졌다는 것은 개탄스럽다.
윤 대통령의 형사·헌법재판과 별도로, 김 여사가 실제 법과 규정을 넘어 나랏일과 당의 일에 개입하려 했는지, 영향력 행사 수준에까지 이르렀는지를 철저히 수사하고 규명해야 한다. 차기 정권이 경계로 삼을 수 있도록 한 점 의혹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