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우디에서 첫 개최…정상회담은 미 “곧” 러 “미정”
미국과 러시아가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 디르이야 궁전에서 18일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을 위한 장관급 회담을 하고 있다. 왼편에는 미국 쪽 스티브 윗코프 중동 특사(아래부터),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마이클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오른편에는 러시아 쪽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교장관(아래부터)과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 외교보좌관이 앉았다. 가운데에는 파이살 빈 파르한 알 사우드 사우디 외교장관(왼쪽부터)과 무사아드 빈 무함마드 아이반 안보보좌관이 앉아 있다. 미국과 러시아는 이날 전쟁 당사자인 우크라이나를 빼고 종전 협상을 시작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평화 협상의 막이 올랐다.

미국과 러시아 대표단은 18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및 양국 관계에 관한 장관급 회담을 하고, 양국관계의 방해물에 대처하는 협의체 및 종전 고위급 협상팀 구성 등을 합의했다.

이날 회담에서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가능한 한 빨리 끝내기 위한 방안을 시작할 고위급 협상팀을 지명하기로 합의했다고 미 국무부는 발표했다. 또 미-러 관계의 방해물들을 해결할 협의체계를 만들기로도 동의했다. 또 양국 대표단은 상호의 지정학적 관심사, 우크라이나 종전으로 나올 역사적인 경제·투자 기회 등에 대한 향후 협력을 합의했다고도 국무부 대변인은 전했다.

이날 4시간30분 동안 진행된 회담 뒤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 외교보좌관은 “회담은 잘 진행됐다”며 “양쪽은 상대의 이해에 대해 경청했고, 아직 타협을 말하기는 이르다”고 말했다. 그는 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회담은 정해지지 않았고, 다음주에 열릴 가능성도 없다고 전했다. 반면,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두 정상의 회담이 곧 열릴 것이라고만 말했다. 태미 브루스 미 국무부 대변인도 “한번의 회담에 이은 한번의 전화로는 영속적인 평화를 수립하는 데 충분하지 않다”며 이번 회담이 시작임을 강조했다.

이날 회담으로 양국은 우크라이나전 종전을 위한 고위 실무협상 대표팀을 구성한 뒤 종전 및 관계개선을 위한 본격적 협상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회담에는 미국 루비오 국무장관, 마이클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스티브 윗코프 중동특사, 러시아 라브로프 외교장관, 우샤코프 외교보좌관이 공식 대표단으로 참여했다. 파이살 빈 파르한 알 사우드 사우디 외교장관과 무사아드 빈 무함마드 아이반 안보보좌관도 이날 회담에서 옵서버로 참석했다.

회담장 어디에도 초대받지 못한 전쟁 당사자 우크라이나 쪽 사람들의 모습은 없었다. “미국은 우크라이나를 외면하는가”라는 질문에 미국 쪽 관계자들은 답하지 않았다고 비비시(BBC) 방송은 전했다.

브루스 국무부 대변인은 전날인 17일 리야드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번 회담은) 러시아가 평화를 위한 대화에 진지하게 임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단계”라고 밝혔다. 그는 우크라이나가 이번 회담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실제 평화를 위한 협상은 우크라이나와 함께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러시아 쪽은 회담이 순전히 미국과 러시아 간의 양자 협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우샤코프 외교보좌관은 17일 리야드에 도착해 “우리는 미국 쪽과 협상하러 왔다”며 “이건 순전히 양자 협의다. 리야드에서 3자 간 회담은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는 우크라이나의 배제를 재확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동안 우크라이나를 지원해온 유럽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였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소집해 17일 파리에서 긴급히 열린 유럽 정상회의에서 8개국 유럽 정상과 유럽연합(EU) 고위 간부 등은 머리를 맞대고 유럽의 통일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영국 가디언 등은 전했다. 이 자리에선 유럽 정상들은 미국이 제시한 종전 협상 방식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한다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이날 로이터 통신에 익명을 요구한 한 정상회의 참가자는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힘을 통한 평화’ 방식에 동의한다”고 말했다. 다만 유럽 정상들은 이날 유럽과 우크라이나가 협상에서 완전히 배제되면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유럽 정상들은 이날 국방비 지출 증액에 관해 중론을 모았다. 도날트 투스크 폴란드 총리는 “군사력에 대해 구체적 조처가 즉각 이뤄지지 않고서는 우크라이나를 효과적으로 도울 수 없다”고 말했다.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는 “모든 유럽 국가가 자국 국방비를 늘려 러시아의 위협으로부터 스스로 보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종전 협상에서 존재감 있는 역할을 원하는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유럽이 우크라이나에 평화유지군을 보내고 미국이 이를 지원할 것을 촉구했다. 스타머 총리는 “미국의 안전 보장이 있어야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다시 공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미국의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국은 약 3만명의 유럽군이 우크라이나에 배치돼 평화유지군 역할을 하더라도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특히 미국만이 제공할 수 있는 군수물자와 공군력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라고 가디언은 전했다.

우크라이나에 평화유지군을 파병하는 영국의 안은 유럽 내에서 의견이 갈리고 있다. 총선을 앞둔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국내 여론을 의식해 평화유지군 파병을 꺼린다. 숄츠 총리는 “러시아가 벌이는 잔인한 전쟁 한가운데에서 파병 논의가 추진되고 있다”며 미국이 평화유지군에 참여하지 않는다면 독일은 참여하지 않겠다고 분명히 했다. 폴란드, 이탈리아, 스페인도 미국의 역할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우크라이나에 군대를 파견하는 것에 반대 의견을 표했다.

한편, 종전 협상이 미국과 러시아 주도로 진행되자 수세에 몰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협상 논의에서 자국이 배제되지 않게 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모양새다. 젤렌스키는 이날 튀르키예를 방문해,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회담할 예정이다. 튀르키예는 우크라이나 전쟁 첫해인 2022년에 평화회담을 중재했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570 '200억 자사주 매입' 주인 바뀐 남양유업, 신고가 경신 [줍줍리포트] 랭크뉴스 2025.02.19
44569 트럼프 “자동차 관세 25%…이달 내 푸틴 만난다” 랭크뉴스 2025.02.19
44568 윤석열·여당 아니라는데…‘하야설’ 모락모락 왜? 랭크뉴스 2025.02.19
44567 트럼프 "2월내 푸틴 만날 가능성…우크라 유럽軍 주둔은 찬성"(종합) 랭크뉴스 2025.02.19
44566 10년 만에 돌아온 미분양의 늪…해법도 반복될까?[비즈니스 포커스] 랭크뉴스 2025.02.19
44565 세이브더칠드런 "수단 내전 장기화, 최악의 민간인·아동 폭력 이어져" 랭크뉴스 2025.02.19
44564 10살 아들 보는데…2층 창밖으로 반려견 던진 부부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2.19
44563 이재명 "근로소득세 61조? 월급쟁이가 봉이냐"…세제 개편 시사 랭크뉴스 2025.02.19
44562 "K팝 좋아한다고 괴롭힘"…멕시코 소녀, 대통령까지 나섰다 랭크뉴스 2025.02.19
44561 ‘의붓형 등 살인’ 30대 “화나서 범행…이유 기억 안나” 랭크뉴스 2025.02.19
44560 트럼프 “자동차 관세 25%…반도체·의약품은 그 이상 될 것” 랭크뉴스 2025.02.19
44559 광명 상가주택서 화재…70대 심정지 이송 랭크뉴스 2025.02.19
44558 '계엄 지지'에 앞장선 목사들‥"계엄령은 하나님이 사용한 것" 랭크뉴스 2025.02.19
44557 트럼프 “車 관세 25% 정도 될 것… 의약품은 그 이상” 랭크뉴스 2025.02.19
44556 시흥 흉기 살인 피의자 “왜 화났는지 모르지만, 화가 나서 범행” 랭크뉴스 2025.02.19
44555 “단톡방서 쉴 새 없이 욕해” 故오요안나 일기장 공개 랭크뉴스 2025.02.19
44554 봉준호 "이선균, 누가 뭐라 해도 좋은 사람이자 배우였다" 랭크뉴스 2025.02.19
44553 “그때 손맛이”…낚싯줄로 잡은 역대급 크기 돗돔 화제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2.19
44552 “나라 지키는게 본분인데” 계엄 수사 받는 현역군인 30명 랭크뉴스 2025.02.19
44551 故김새론, 유족·지인 눈물 속 발인…‘천재 아역’ 잠들다 랭크뉴스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