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2태웅호 선장 김성기씨가 지난 16일 자신이 잡은 ‘전설의 심해어’로 불리는 초대형 돗돔 앞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김성기씨 제공

새우 미끼를 참돔이 먹고, 참돔을 삼킨 초대형 돗돔이, 낚시로 잡혔다.

18일 제주시 구좌읍 어민 김성기(55)씨에 따르면 지난 16일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 행원코지 이른바 들물덕 부근에서 자신의 어선인 제2태웅호(6.44t)를 혼자 타고 참돔 낚시를 하다가 초대형 돗돔을 잡았다. 몸길이 183㎝, 무게 138㎏에 이르는 초대형 돗돔이다.

김 선장은 <한겨레>와 통화에서 “참돔을 낚다가 갑자기 바늘에 뭔가 걸린 게 느껴졌다. 12호줄은 얇은 줄이어서 고기가 낚시를 물고 채 가니까 갑자기 낚싯줄이 팽팽해져 20∼30㎏짜리 부시리인 줄 알고 줄을 일단 풀었다”고 당시의 상황을 전했다.

김성기씨 제공

김 선장은 낚싯줄에 생새우를 미끼로 사용했다. 김 선장은 “처음에는 줄을 풀면서 힘이 빠지기를 기다렸다. 거의 1시간 가까이 싸우면서 힘이 빠지자 1m 정도씩 올리는데도 올라오지 않아 부시리가 아니고 상어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며 “그런데 갑자기 물 위로 무엇인가 ‘팍’하면서 떠오르는 소리가 들려 보니까 돗돔이었다”고 말했다.

혼자였던 김 선장이 100㎏이 훨씬 넘는 돗돔을 상대하기는 버거웠다. 마침 바로 옆에서 후배가 조업하고 있었다. 김 선장은 와서 도와달라고 큰소리로 외쳤고, 그 말을 들은 후배가 어선을 제2태웅호에 붙인 뒤 올라타 돗돔을 배 위로 올리는 데 힘을 보탰다. 하지만 돗돔이 워낙 크고 무거워 여러 차례 바닷속으로 들어갔다 나오기를 반복하다 결국 4명이 힘을 합쳐 배 위로 끌어올렸다.

김 선장 등은 돗돔이 장어나 오징어 등을 먹기 때문에 애초 바닷속에 드리운 생새우 미끼를 참돔이 먹고, 그 참돔을 돗돔이 문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 16일 제주바다에서 ‘전설의 심해어’라고 불리는 초대형 돗돔이 낚시로 잡혔다. 독자 제공

어민 생활 26년째인 김 선장은 “수심 85m 정도에서 잡았다”며 “이렇게 큰 돗돔을 본 적이 없다. 주변에서도 이런 돗돔을 본 적이 없다고 한다”며 웃었다.

돗돔의 경우 120∼150호 정도의 낚싯줄을 사용하는데 이번 사용한 것을 12호로 알려졌다. 12호 낚싯줄은 방어나 부시리를 잡는 데 이용한다.

돗돔은 수심 400∼500m의 깊은 바닷속 암초 지대에 서식하는 심해어로 2m까지 성장한다. 산란기인 5∼7월 사이에는 수심이 60m인 곳까지 올라오기도 하지만 좀처럼 잡히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전설의 심해어’, “용왕이 허락해야 잡을 수 있다”는 등의 말이 낚시꾼들에게 전해진다.

2013년 전남 신안군 가거도 앞바다에서는 길이 2m 무게 150㎏의 돗돔이 그물에 걸려 가거도 해양전시관에 박제 전시돼 있다. 2009년 부산 먼바다에서도 191㎝의 돗돔이 잡힌 바 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395 '증오'와 '관음증'의 폭력이 낳은 또 하나의 죽음 랭크뉴스 2025.02.18
44394 [속보] “미·러, ‘우크라 분쟁 종식’ 위한 고위 협상팀 신속 구성” 랭크뉴스 2025.02.18
44393 [단독] 노상원 휘하 HID 출신 최정예 요원들 “사살 명령도…” 랭크뉴스 2025.02.18
44392 미·러 ‘우크라 종전 협상’ 종료···“협상 계속, 다음주 정상회담 가능성은 낮아” 랭크뉴스 2025.02.18
44391 [속보] 美 "분쟁 종식, 우크라·유럽·러 모두가 수용 가능해야" 랭크뉴스 2025.02.18
44390 [단독] '애국하는 영양제' 다단계까지‥'전광훈 몰' 된 극우 집회 랭크뉴스 2025.02.18
44389 [단독] 검찰, 명태균 여론조사 의뢰자 명단 확보…당사자는 부인 랭크뉴스 2025.02.18
44388 '반도체 초격차' 재건 나선 삼성전자…이사회 재편의 핵심은? 랭크뉴스 2025.02.18
44387 국회 측 “국민 신뢰 배신”…윤 측 “호소 위한 평화적 계엄” 랭크뉴스 2025.02.18
44386 러시아 “푸틴, 필요하다면 젤렌스키와 협상할 수 있어” 랭크뉴스 2025.02.18
44385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본 우주항공산업의 역할[김홍유의 산업의 窓] 랭크뉴스 2025.02.18
44384 서울중앙지검으로 온 ‘명태균 의혹’ 수사…김건희 먼저 부르나 랭크뉴스 2025.02.18
44383 [속보] "미·러, '우크라 분쟁 종식' 고위 협상팀 신속 구성키로" 랭크뉴스 2025.02.18
44382 ‘생후 10일 영아, 차 트렁크 방치 살해’ 혐의 친부 2심서 무죄 랭크뉴스 2025.02.18
44381 "용왕님이 점지한 듯"…제주서 183cm '전설의 심해어' 포획, 1시간 사투 벌였다 랭크뉴스 2025.02.18
44380 김부겸 "개혁의딸, 행태 고민해달라…'수박' 단어 쓰지말길" 랭크뉴스 2025.02.18
44379 이기수 칼럼 : 이재명은 이재명과 싸워야 한다 랭크뉴스 2025.02.18
44378 "살해 교사, 범행 방법 사전 검색"‥"정신질환과 폭력성 구분해야" 랭크뉴스 2025.02.18
44377 “파렴치범 변호” 尹 후회할 때…“가학적 수사” 한동훈의 등장 랭크뉴스 2025.02.18
44376 "여행 자주 가는데 폭발 일상이라니"…日 화산 '번쩍', 전문가들 반응 보니 랭크뉴스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