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대동맥류 파열로 생사의 위기에 놓였던 권모씨가 이대대동맥혈관병원에서 무사히 치료를 받고 퇴원했다. 사진은 보호자인 아들(왼쪽부터), 환자 권씨, 송석원 이대대동맥혈관병원장. 사진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연합뉴스
복부대동맥류 파열로 35분간 심정지 상태였던 환자가 극적으로 되살아났다.
2개월여간 치료를 받은 뒤 퇴원한 환자와 보호자는 끝까지 포기하지 않은 의료진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며 "기적을 선물 받았다"며 기뻐했다. 18일 연합뉴스는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을 인용해 이같은 소식을 전했다.
지난해 12월 9일 오전 10시쯤 경기도 파주시 자택에서 샤워하던 권모(84)씨가 갑자기 의식을 잃었다. 치매를 앓고 있던 권씨를 돌보던 아들이 이를 발견하고 즉시 119에 신고했다.
권씨는 평소 진료받던 경기도 고양시의 한 종합병원 응급실로 이송됐으나 검사 결과 복부대동맥류가 파열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긴급 수술이 가능한 서울 강서구 이대서울병원으로 곧바로 전원됐다.
복부 대동맥은 심장에서 나온 혈액이 장기로 흐르는 중요한 혈관이다. 이곳이 풍선처럼 부풀었다가 터지는 대동맥류 파열은 순간적으로 대량 출혈을 일으켜 치명적일 수 있다.
같은 날 오후 5시30분쯤이대서울병원 내 이대대동맥혈관병원에 도착한 권씨는 이미 심장이 멈춘 상태였다.
송석원 교수팀은 즉시 35분간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으나 심장이 뛰지 않아 수술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아들이 "아버지가 오랫동안 치매를 앓았다. 아버지랑 마지막으로 제대로 된 대화를 해본 지가 너무 오래다. 꼭 소생시켜 달라"고 오열하며 간절히 호소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심장이 다시 뛰기 시작했다. 송 교수팀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즉시 수술에 들어갔다.
권씨는 복부 대동맥 인조혈관 치환술을 성공적으로 마친 뒤 중환자실에서 회복 치료를 받았고, 약 3주 후 일반 병실로 옮겨질 정도로 상태가 호전됐다. 이후 심폐 기능 회복과 재활 치료를 거쳐 지난 14일 퇴원했다.
이 같은 사연은 아들 권씨가 퇴원하며 '송석원 교수님과 이대대동맥혈관병원 의료진들에게 드리는 글'이라는 제목의 편지를 남기며 세상에 알려졌다.
그는 "아버지가 일반 병실로 온 후 송석원 교수가 첫 회진 때 '아버님은 정말 기적이었다'고 말해주셨는데 저야말로 교수님을 만난 것이 기적이었다"고 전했다.
송 교수는 "매일 초응급환자를 마주하지만 이렇게 35분 동안 뛰지 않던 심장이 다시 뛰어 살아난 경우는 드문 사례로 그저 기적이라고밖에 할 수 없다"며 "아들의 간절한 염원 덕분에 기적이 일어난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