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 기사는 2025년 2월 18일 오전 9시 조선비즈 RM리포트 사이트에 표출됐습니다.

국내 1위 전자상거래 기업인 쿠팡이 작년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부과받은 1628억원 과징금은 역대 유통업계 제재 중 최고 액수로 주목받았다. 이 과징금과 시정명령을 취소해 달라며 쿠팡이 제기한 소송은 서울고법에서 진행돼 왔다. 이 사건의 주심인 A 판사는 법원 내에서 공정거래 사건 전문가로 꼽혀왔다.

최근 A 판사가 법관 정기 인사에서 사표를 냈는데 국내 최대 로펌인 김앤장이 A 판사 영입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화제가 되고 있다. 그동안 이 사건에서 김앤장이 쿠팡을 변호해 왔기 때문이다. 한 법조인은 “김앤장이 A 판사를 영입한 뒤 쿠팡 사건에 직접 투입하지 않더라도 뒷말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서울 시내의 주차장에 쿠팡 배송트럭이 주차돼 있다. / 뉴스1

쿠팡과 김앤장은 인연이 깊다. 강한승 쿠팡 대표는 2013~2020년 김앤장에 변호사로 있으면서 쿠팡 사건에 관여한 바 있다. 이를 계기로 쿠팡에 영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쿠팡은 주요 사건을 김앤장에 맡겨왔다. 작년 쿠팡이 공정위를 상대로 1628억원 과징금과 시정명령을 취소해 달라며 서울고법에 낸 소송도 김앤장이 변호해 왔다. 이 사건에는 김앤장 소속 변호사 가운데 공정거래 사건 ‘에이스’로 통하는 김진오(사법연수원 26기) 변호사, 유해용(19기) 변호사 등이 투입돼 있다.

이 사건에서 공정위가 쿠팡을 제재한 사유는 쿠팡이 ‘랭킹 순’ 검색 순위 알고리즘을 조작하고 임직원에게 제품 후기를 좋게 작성하게 하는 방식으로 소비자가 자체 브랜드(PB) 상품을 사도록 유도했다는 내용이다. 이에 따라 두 가지 제재가 쿠팡에 내려졌다. 하나는 1628억원 과징금 납부다. 다른 하나는 ‘향후 알고리즘 조작과 임직원을 동원한 후기 작성 등 불법 행위를 하지 말라’는 취지의 시정명령이다.

업계에서는 “쿠팡 입장에서는 과징금보다 시정명령이 훨씬 부담이 클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쿠팡의 연간 순이익이 13억6000만달러(2023년, 이날 환율 기준 1조9600억원)이기 때문에 1628억원 과징금 납부에는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는 이야기다. 반면 시정명령이 재판에서 확정돼 알고리즘을 바꿔야 한다면 쿠팡에 상당한 타격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비즈니스 방식 자체를 변경해야 하기 때문이다. 쿠팡도 재판 과정에서 “알고리즘은 사업의 핵심 부분”이라고 밝힌 바 있다.

A 판사는 이 사건 재판을 맡은 서울고법 행정7부 소속의 주심 판사였다. 김앤장은 최근 법원에 사표를 낸 A 판사를 영입하기로 하고 입사 시기를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앤장은 A 판사 영입에 대해 “아직 입사 시기 등에 대해 정해진 바가 없다”고 17일 조선비즈에 밝혔다.

이에 대해 공정거래 전문인 한 변호사는 “공정거래 전문가인 서울고법 판사를 대형 로펌이 영입한다는 것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는 일”이라면서도 “김앤장이 그동안 변호하고 있던 쿠팡 사건의 주심 판사를 영입한다는 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변호사는 “김앤장이 A 판사를 영입한 뒤 쿠팡 사건을 직접 맡기지 않더라도 앞으로 재판의 공정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고 했다.

또 공정위 사정에 밝은 한 법조인은 “김앤장이 A 판사를 영입한다면 공정위가 쿠팡에 대해서도 역시 불쾌하게 여길 것”이라며 “과거 공정위 눈 밖에 났던 기업이 나중에 큰 화를 당하는 경우를 종종 봤다”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633 "황금폰 까봐라!" 장담하더니‥아들 나오자 "통화하긴 했어" 랭크뉴스 2025.02.19
44632 [속보] 최상목 “지방 미분양 주택 사들여 건설경기 지원···4.3조 철도지하화 추진” 랭크뉴스 2025.02.19
44631 경찰 “하늘 양 가해 교사, 휴대전화로 범행 도구 검색” 랭크뉴스 2025.02.19
44630 안 팔리는 비수도권 아파트, LH가 사들인다 랭크뉴스 2025.02.19
44629 [속보] 첨단산업 전력지원 ‘에너지 3법’, 산업위 통과 랭크뉴스 2025.02.19
44628 강남역·홍대역 제쳤다…가장 붐빈 서울 지하철역 1위 어디 랭크뉴스 2025.02.19
44627 헌재, 문형배 원색적 비난·가짜뉴스에 "수사의뢰 논의" 랭크뉴스 2025.02.19
44626 여야, 명태균특검 놓고 옥신각신…"檢수사 봐야" "수사 맹탕" 랭크뉴스 2025.02.19
44625 입원 닷새째 프란치스코 교황, 양쪽 폐에 폐렴 진단 랭크뉴스 2025.02.19
44624 '명태균 게이트' 수사 재개‥윤 대통령 부부 겨눈다 랭크뉴스 2025.02.19
44623 "나 일본 여행 갔다 왔는데 너도?" 그 결과…일본인 2명 중 1명 "한국에 친근감" 랭크뉴스 2025.02.19
44622 “왜 이런 아이가 우리 학교에…” 장애 학생 부모에 비수 꽂은 교장 랭크뉴스 2025.02.19
44621 작년 3분기 임금근로 증가 6년만 최소…20·40대 역대 최대 감소 랭크뉴스 2025.02.19
44620 상호관세에 車관세 25% 덮친다…4월2일은 한국 '악몽의 날'? 랭크뉴스 2025.02.19
44619 홍준표 “명태균과 딱 한번 통화, 김건희 팔며 실세라 거들먹” 랭크뉴스 2025.02.19
44618 ‘문형배 집 앞 시위’ 옹호한 강승규 “그게 국민 여론…좀 잘 인식했으면” 랭크뉴스 2025.02.19
44617 [속보] ‘51일 파업·도크 점거’ 옛 대우조선 하청 노동자들 징역형 집유 선고 랭크뉴스 2025.02.19
44616 [단독]AI업계 만나는 안철수…대권 행보 본격 '시동' 랭크뉴스 2025.02.19
44615 "역시 1등 오시니"…김문수 간 나경원 토론회, 의원 60명 운집 랭크뉴스 2025.02.19
44614 홍준표 "내 아들, 명태균에 속아 감사 문자 보낸 것...문제 되나?" 랭크뉴스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