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멤버십 적립·구독 이용자 급증
CU선 사용건수 20% 늘며 최대
GS25 '마감할인'은 1월 56%↑
고물가 지속에 합리적 소비 추세
가격경쟁·구독서비스 확대 전망
자료 제공=BGF리테일

[서울경제]

물가가 치솟으면서 한 푼이라도 아끼기 위해 편의점 멤버십 포인트를 알뜰히 모아 쓰는 소비자들이 크게 늘고 있다. 매달 일정 금액을 지불하면 할인과 혜택을 확대해주는 편의점 구독 서비스 이용자도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다.

17일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282330)에 따르면 지난해 CU 멤버십 포인트 사용건수는 전년 대비 20.2%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1년 9.2%에 불과했던 증가율이 3년 만에 2배 이상 뛰었다. 포인트를 적립하는 건수도 2021년 16.1% 증가한 데에서 지난해 18.6%로 늘었다.



CU가 토스와 손잡고 지난해 6월 도입한 ‘멤버십 사후적립 서비스’ 이용건수는 올해 1월까지 월평균 20%씩 증가하고 있다. 편의점에서 물건을 구매할 때마다 빼놓지 않고 포인트를 적립했다가 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또 결제 때 미처 적립을 못하더라도 이후에 꼼꼼하게 포인트를 챙기는 사람들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세븐일레븐 역시 지난해 포인트 적립건수가 전년 대비 60% 증가해 2022년(25%)의 2.5배에 달했다. 통상 편의점의 포인트 적립률은 최대 2%로 대형 할인마트(0.1~1.0%) 보다 많게는 20배 높다. 따라서 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진 것이다.

짠테크족들은 편의점 할인 상품 구매 및 구독 서비스 이용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GS25가 2023년 11월 도입한 ‘마감할인 서비스’의 경우, 올 1월 이용건수가 전년 동기보다 56% 급증했다. 여러 품목 중에서도 도시락, 햄버거, 주먹밥 등 프레시푸드(FF) 중 소비기한이 3시간 이하로 남은 상품을 정가 대비 최대 45% 할인하는 상품들이 불티나게 팔렸다.

매월 1000~4000원가량의 구독료를 지불하고 할인 및 혜택을 늘린 구독 서비스 이용률도 증가세다. CU와 GS25, 세븐일레븐의 지난해 구독 서비스 이용건수는 전년 대비 47.8~200%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한 달에 10번 도시락 가격을 30% 할인해주거나(세븐일레븐) 햄버거·삼각김밥·샌드위치·김밥 등을 15개까지 25% 할인(CU)해주는 식이다. ‘런치플레이션(런치+인플레이션)’으로 식사값을 아끼려는 20~30대의 높은 수요가 구독 서비스 증가를 견인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CU에 따르면 구독 서비스 이용자 10명 중 6명 이상(63%)는 20~30대다.

편의점을 주로 이용하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고공비행하는 물가에 대응해 생활비를 절약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는 모습이다.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짠테크 노하우를 공유하는 SNS 커뮤니티까지 유행하고 있다.

이에 편의점 업계는 다양한 수요와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구독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있다. 구독 서비스 이용자가 늘어날수록 고정수익을 확보할 수 있어 안정적 사업 운영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CU는 지난해 5월 고객의 다양한 니즈와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기존의 상품별로 나눴던 카테고리를 ‘식단관리’, ‘실속한끼’, ‘시원음료’ 등 고객의 소비취향과 목적에 맞춰 개편했다. 세븐일레븐은 샴페인, 와인, 도시락, 세븐카페, 그린아메리카노 등 5가지 구독 상품을 운영 중이다. GS25는 구독 구색을 다각화하기 위해 이달 1일부터 기존 구독상품을 일시 중단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지속되는 고물가로 인해 합리적인 소비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이 높아지며 포인트 적립·사용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며 “기업간 초저가 경쟁과 함께 멤버십, 구독서비스 등 짠테크족들을 사로잡을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꾸준히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사진 제공=세븐일레븐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313 “세월호 유가족 징하다” 막말한 차명진, 2심도 징역형 집행유예 랭크뉴스 2025.02.18
44312 ‘주 52시간 예외’ 평행선 달리는 여야… 반도체 특별법 공전 랭크뉴스 2025.02.18
44311 '서부지법 폭동' 63명, 다음 달부터 첫 재판‥황교안 등 변호 랭크뉴스 2025.02.18
44310 ‘극우 카톡방’ 5곳 잠입 취재해보니…“명찰 없는 경찰, 중국인” “탄핵 죽음으로 막자” 선동 만연 랭크뉴스 2025.02.18
44309 정보사, 계엄 전날 경찰 신원조회권 확보…신속체포 준비했나 랭크뉴스 2025.02.18
44308 대학 붙었는데 나도 모르게 입학취소…"내가 그랬어" 황당 문자 랭크뉴스 2025.02.18
44307 자대 배치 한달 만에 숨진 일병… 선임병이 욕설·암기강요 랭크뉴스 2025.02.18
44306 “테슬라 잘 가~!” 테슬라 중고 매물 급증한 이유는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2.18
44305 ’무소불위’ 머스크... 민감한 납세 자료에 정부 금 보유고까지 조사 시도 랭크뉴스 2025.02.18
44304 [단독] 이진우, ‘尹 통화’ 시기 국방부 국회협력단장에 ‘길 안내’ 7차례 요청 랭크뉴스 2025.02.18
44303 또 죽음으로 내몬 ‘악플’…판 깔아 준 ‘황색 언론·유튜브’ 랭크뉴스 2025.02.18
44302 ‘집값 18억’은 중산층인가 아닌가…기재위 ‘상속세’ 공방 랭크뉴스 2025.02.18
44301 “트럼프, 우크라에 720조원 청구…영원히 경제 식민지화” 랭크뉴스 2025.02.18
44300 '3년 전쟁' 끝나나...미·러, 우크라전 종전협상 시작 랭크뉴스 2025.02.18
44299 혁신당 "검찰, 김성훈 구속영장 또 반려‥윤석열 '반려검'인가" 랭크뉴스 2025.02.18
44298 지금 ‘극우 카톡방’선…“명찰 없는 경찰, 중국인” 가짜 뉴스에 “탄핵 죽음으로 막는다” 선동 만연 랭크뉴스 2025.02.18
44297 윤석열 헌재 왔다 ‘돌연’ 구치소 복귀…대리인단은 ‘증거 채택’ 불만 퇴정 랭크뉴스 2025.02.18
44296 대학 붙었는데 ‘입학 취소’ 문자가…재수생의 황당 사연은 랭크뉴스 2025.02.18
44295 '尹 코드인사' 논란 박현수 서울청장직대 "계엄, TV로 알았다" 랭크뉴스 2025.02.18
44294 "요즘 '국장 탈출'이 유행인데"...다시 '공매도' 허용 랭크뉴스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