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검역 조정 기관 인력 25% 해고
"발병 감시 최전선… 상황 악화될 것"
"발병 감시 최전선… 상황 악화될 것"
미국 소비자들이 지난 12일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한 마트에서 계란 값을 살펴보고 있다. 로스앤젤레스=EPA 연합뉴스
미국에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5N1) 확산으로 계란 값이 급등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연방 정부 공무원 구조조정 과정에서 가금류 방역 핵심 인력이 무더기 해고된 것으로 알려졌다. 생활 물가를 잡겠다던 트럼프 대통령이 되레 가격 상승을 부추길 가능성을 미국 사회는 우려하고 있다.
"직원 25% 해고"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16일(현지시간) 미 농무부 산하 국립동물보건연구소네트워크 프로그램 사무국 직원 25%가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공무원 대량 해고 대상에 포함됐다고 보도했다.
해당 인력 손실은 정부의 H5N1 대응에 치명적인 차질을 줄 것이라는 게 폴리티코 분석이다. 정원 14명 규모인 해당 사무국은 H5N1 에 대응하는 전국 58개 연구소 업무를 조정하는 기관으로 동물 질병 확산에 핵심적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실제 일부 연구소는 방역 대응이 느려질 것이라는 통보를 받았다. 키스 폴슨 미 위스콘신 수의학 진단 연구소 소장은 "H5N1 검사 및 대응이 더 지연될 것이라고 안내 받았다"며 "해당 사무국은 발병 감시의 최전선에 있었다"고 지적했다.
미국 축산 농가 노동자들이 지난 10일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양계장을 살펴보고 있다. 휴스턴=AFP 연합뉴스
달걀값 어쩌나...
방역 지연의 결과는 달걀값 상승일 공산이 크다. 이미 미국 A등급 대란(大亂)의 평균 소매가격이지난 1월 4.95달러(약 7,140원)로 전월 대비 15.2% 급등하는 등 미국 소비자들은 H5N1 확산에 고통 받고 있었다. '계란 4.95달러'는 1년 전과 비교해서는 53%나 급등한 가격이기도 하다.
트럼프 행정부는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와 다른 접근법을 통해 H5N1 확산을 막겠다는 구상이다. 케빈 헤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CBS 인터뷰에서 바이든 행정부의 H5N1 대응은 지나치게 살처분 중심이었다고 비판하며 '생물보안'(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한 선제적 격리 조치) 및 약품 활용을 통한 방역 조치를 강화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