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 이번 주 목요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증인석에 다시 앉게 됐습니다.
◀ 앵커 ▶
최근 자신을 향해 쏟아지는 공격에 정면으로 맞설 계획을 밝혔는데요.
윤 대통령 측 셈법과 달리 체포 명단의 신빙성만 더 높이게 될 거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구나연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조태용 국정원장은 지난 13일 증인신문에 나와 '홍장원 메모'의 신빙성을 흔드는 데 집중했습니다.
[조태용/국정원장 (지난 13일)]
"결국 (홍장원) 메모가 네 가지가 있는 셈입니다."
홍 전 차장은 "고도의 용어 혼란 전술"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마치 네 가지의 다른 명단이 있다는 착각을 유발하려는 의도가 보인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국회와 헌재에 나갔을 때 시간 제약으로 언급하지 못했다며 메모 작성 과정을 비교적 소상히 설명했습니다.
우선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과 통화하며 첫 번째 메모를 받아 적은 뒤, 보좌관에게 정서하라고 시켰고, 계엄 해제 뒤인 이튿날 정확한 확인을 위해 보좌관에게 다시 적어보라고 한 내용에 자신의 기억을 추가했다고 했습니다.
[홍장원/전 국정원 1차장 (14일, CBS '박재홍의 한판승부')]
"보좌관이 가져온 종이에 제가 더해서 기억나는 부분을 몇 개 추가로 메모했다는 거 아닙니까. 그러면 그냥 종이는 3장이죠. 똑같은 내용이죠. 그게 어떻게 4종류의 메모가 될 수 있겠습니까."
홍 전 차장은 특히 메모의 작성 과정보다 중요한 건 내용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실제로 '체포 명단'은 홍 전 차장은 물론, 김대우 방첩사 전 수사단장, 조지호 경찰청장이 받았던 명단과 대부분 일치합니다.
홍 전 차장은 "CCTV 확인 결과 메모를 작성한 시간에 공관 앞이 아닌 사무실에 있었다"는 조 원장 진술에 대해선 CCTV를 분초 단위로 확인해 보자고 역제안했습니다.
[홍장원/전 국정원 1차장 (14일, CBS '박재홍의 한판승부')]
"(조 원장은) '기억할 수 없다, 충격적인 상황'이라고 말씀하시면서 왜 저한테만 AI의 기억력을 요구하시죠?"
홍 전 차장은 오는 20일 증인으로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홍장원 메모'가 오염됐다는 주장을 할 것으로 보이는데, '체포 지시' 정황만 더 뚜렷해지는 역효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입니다.
MBC뉴스 구나연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