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2월4일 새벽 긴박했던 단전 상황
0시32분 계엄군 창문 깨고 내부로
본회의장 가로막히자 단전 시도
1시1분 계엄해제안 통과 모른 채
1시7분 지하1층 전력 일부 차단해
“5분만 빨랐어도, 표결 못하고 혼란”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6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계엄군이 국회 전력을 끊는 화면을 공개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대국민 담화와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등에서 12·3 내란 당시 국회 계엄군 투입을 두고 ‘질서 유지를 위해 소규모 병력만 국회에 투입했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16일 더불어민주당이 공개한 국회 본관 폐회로텔레비전(CCTV) 영상을 보면 윤 대통령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통과를 막기 위한 단전을 시도한 정황이 고스란히 담겨 있기 때문이다.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들이 이날 공개한 시시티브이 영상을 시간대별로 보면, 비상계엄이 선포되고 약 2시간이 흐른 지난해 12월4일 0시32분 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 등 계엄군 16명이 본관 2층 창문을 깨고 내부로 진입한다. 본회의장 쪽으로 이동하려 했으나 국회 직원 등에 가로막히자 0시54분쯤 이 가운데 7명이 4층으로 이동해 6분 동안 배회하는 모습이 보인다.

그러다 이들은 새벽 1시1분 엘리베이터를 타고 지하 1층으로 내려갔고 새벽 1시6분26초 지하 1층 전력 분배를 조절하는 스위치 등이 있는 ‘분전함’을 열었다. 이들은 1시6분59초에 일반전력 차단기를 내린 데 이어 비상전력 차단기까지 내려 1시7분2초 지하 1층 전력 일부를 끊는 데 성공했다. 새벽 1시1분 국회가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통과시킨 뒤 5분이 흐른 시점이다. 지하 일부의 단전은 5분48초 동안 지속됐다. 영상에는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이 통과됐다’며 철수를 요구하는 직원의 말을 듣고 차단기를 올려 전력을 복구한 계엄군이 1시15분쯤 철수하는 모습이 뒤이어 담겼다.


이는 김현태 단장의 증언과도 일부 일치한다. 김 단장은 지난 6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증인으로 출석해 “2층에서도 (본회의장으로) 진입이 안 돼서 높은 곳에 올라가려고 하던 중에 곽종근 특전사령관에게 전화하자 그때 ‘전기라도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겠냐’고 해서 찾아보겠다고 한 뒤 지하로 이동했다”고 말한 바 있다.

지하 1층 단전 조처는 이달 초 특위에 제보가 접수되면서 처음 파악된 것으로 전해진다. 국회 관계자는 “국회 본관만 폐회로텔레비전이 800개가 넘다 보니 (계엄 직후) 전수조사하면서도 지하 1층 단전 조처는 체크 못 하고 지나친 것 같다”고 했다.

내란 특위 민주당 간사인 한병도 의원은 “국회 본관의 배전함 30여개는 층별로 위치해 층별로 단전이 가능한데, 계엄군의 2층 진입 시도가 두 차례 막히자 본회의장과 의원회관을 연결하는 지하 1층으로 내려가 외부로 노출돼 있는 해당 분전함의 개봉을 우선 시도하게 된 것 같다”고 했다. 이어 “현장 군인들은 계엄 해제 의결 소식을 제대로 전달받지 못한 채 차단기를 내린 것 같다”고 덧붙였다. 같은 당 윤건영 의원은 “질서 유지를 하려면 조명을 더 밝게 해야지 전기를 왜 내리나. 계엄군이 5분만 빨리 (본회의장 전력 차단) 조처를 취했어도 표결도 안 되고 혼란 상태로 들어갔을 것”이라고 했다.

이날 민주당이 공개한 영상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국회에 대한 전력 차단 조처가 없었다는 점 등을 들어 국회 계엄군 투입이 국회 기능 마비를 위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해왔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321 [단독] 이진우, 尹 전화 전후 국회협력단장에 길 안내 7차례 요청했다 랭크뉴스 2025.02.18
44320 김성훈 구속영장 세 번째 퇴짜…“증거인멸 우려 없다”는 검찰 랭크뉴스 2025.02.18
44319 설리·구하라·이선균·김새론... 연예인 죽음 내몬 악플·악성 보도 막아야 랭크뉴스 2025.02.18
44318 헌재 ‘속도전’에 윤석열 ‘지연 전략’ 와르르…이르면 3월 중순 선고 랭크뉴스 2025.02.18
44317 "체포 지시" 조서 공개에 尹측 퇴장…막판까지 헌재 공정성 공방 랭크뉴스 2025.02.18
44316 버터 맥주엔 버터 없었다…어반자카파 박용인, 1심 징역형 집유 랭크뉴스 2025.02.18
44315 [단독] '지방 악성 미분양' LH가 떠안는다 랭크뉴스 2025.02.18
44314 [단독] 탄핵 남발한 국회, 작년 헌법소송비용 ‘4억’… 전년比 41%↑ 랭크뉴스 2025.02.18
44313 “세월호 유가족 징하다” 막말한 차명진, 2심도 징역형 집행유예 랭크뉴스 2025.02.18
44312 ‘주 52시간 예외’ 평행선 달리는 여야… 반도체 특별법 공전 랭크뉴스 2025.02.18
44311 '서부지법 폭동' 63명, 다음 달부터 첫 재판‥황교안 등 변호 랭크뉴스 2025.02.18
44310 ‘극우 카톡방’ 5곳 잠입 취재해보니…“명찰 없는 경찰, 중국인” “탄핵 죽음으로 막자” 선동 만연 랭크뉴스 2025.02.18
44309 정보사, 계엄 전날 경찰 신원조회권 확보…신속체포 준비했나 랭크뉴스 2025.02.18
44308 대학 붙었는데 나도 모르게 입학취소…"내가 그랬어" 황당 문자 랭크뉴스 2025.02.18
44307 자대 배치 한달 만에 숨진 일병… 선임병이 욕설·암기강요 랭크뉴스 2025.02.18
44306 “테슬라 잘 가~!” 테슬라 중고 매물 급증한 이유는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2.18
44305 ’무소불위’ 머스크... 민감한 납세 자료에 정부 금 보유고까지 조사 시도 랭크뉴스 2025.02.18
44304 [단독] 이진우, ‘尹 통화’ 시기 국방부 국회협력단장에 ‘길 안내’ 7차례 요청 랭크뉴스 2025.02.18
44303 또 죽음으로 내몬 ‘악플’…판 깔아 준 ‘황색 언론·유튜브’ 랭크뉴스 2025.02.18
44302 ‘집값 18억’은 중산층인가 아닌가…기재위 ‘상속세’ 공방 랭크뉴스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