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보유주식 비중 1년 5개월만에 최저
7개월 연속 '팔자'···올해 1.7조 순매도
삼성전자·현대차·KB금융 등 집중 매도
"추가 이탈 제한"vs"복귀 모멘텀 없어"
미국 SNL 출연진들이 14일 나스닥 빌딩을 바라보고 있다. AP통신

[서울경제]

올해 들어 코스피가 약 8% 반등했지만 외국인 투자자의 이탈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이 보유한 주식 비중은 1년 5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순매도 1위 종목은 삼성전자(005930)였다.

16일 증권가에 따르면 이달 13일 기준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외국인이 보유한 주식 시가총액은 676조428억원으로 전체 시총(2116조8655억원)의 31.96%였다. 외국인 보유주식 비중이 31%대로 내려간 건 2023년 9월 20일(31.97%)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초만 해도 외국인 시가총액 비중은 약 32.7%였으나, 이후 증가세를 보이며 7월에는 36%대까지 올랐다. 그러나 점차 하락세를 보이며 8월에는 34%, 9월에는 33%, 11월에는 32%대로 낮아졌고, 올해 들어서도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4일까지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7470억원어치의 주식을 순매도했다. 월별로 보면 외국인은 지난해 8월 이후 7개월 연속 '팔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코스피가 약 9.6% 하락했던 것과 달리 올해는 두 달도 되지 않아 약 8% 상승하며 반등했지만, 외국인 투자자들은 여전히 시장에서 발을 빼는 모습이다.

지난달 말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 우려와 '딥시크 충격' 속에서 외국인의 매도세가 강해졌으나, 미국이 캐나다와 멕시코와의 협상 후 관세 부과를 유예하면서 매도 압력은 다소 완화됐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4월 각국에 맞춤형 '상호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시장은 여전히 불확실성에 노출돼 있다.

다만 관세 불확실성이 완전히 사그라지지 않은 데다, 지속되는 국내 정치 불안과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로 투자심리가 강하게 힘을 받지는 못하는 분위기다. 황준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의 일정 논란에도 불구하고 상호관세까지 발표하면서 미국 우선주의 추진 속도를 늦추지 않았다"며 "롤러코스터식 트럼프 정책 흐름은 이어지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올해 들어 외국인이 가장 많이 판 종목은 삼성전자로 1조8150억원 순매도했다. 뒤이어 현대차(005380)(7010억원), KB금융(105560)(3160억원), 유한양행(000100)(2420억원), HD현대일렉트릭(267260)(2230억원) 순으로 많이 팔았다.

증권가 일각에서는 외국인 보유주식 비중이 이미 바닥 수준이어서 추가 이탈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준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에 대한 외국인 지분율을 보면 이미 역사적 저점 수준인 30% 부근에 도달해 외국인 자금 이탈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일각에선 뚜렷한 외국인 복귀 모멘텀을 찾기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영원 흥국증권 연구원은 "4월 시행될 예정인 상호관세는 매우 포괄적인 형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며 "한국은 이미 FTA(자유무역협정)를 체결해 관세율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지만, 미국 입장에서 8위에 해당하는 무역적자 대상국인 데다가 반도체 등 핵심 산업에서 무역 불균형이 큰 점이 쟁점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정상회담을 통한 정책 조율의 기회가 제한된 한국의 입장에서 관세 문제는 지속적인 시장의 부담이 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짚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25 법인세 '0원' 기업도 있는데…'월급쟁이' 세금 61조 냈다 랭크뉴스 2025.02.18
44024 ‘자녀 학폭’ 이영경 시의원, 30여 명 고소…“무차별 고소로 입 막으려” 반발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18
44023 "외모·행동 '완벽할 것' 요구한다"…김새론 비보 다룬 외신 랭크뉴스 2025.02.18
44022 미-러, 오늘 사우디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첫 협상 랭크뉴스 2025.02.18
44021 동료 교사 심하게 목 졸랐다‥심각했던 '폭력성' 랭크뉴스 2025.02.18
44020 김새론 논란 다룬 유튜버, 영상 내렸지만... "무책임하다" 랭크뉴스 2025.02.18
44019 [단독] 필리핀 가사관리사 제도 연장됐지만…정부도 알았던 문제점 랭크뉴스 2025.02.18
44018 "계엄 잘못됐다"면서‥되돌아가면 '해제' 불참? 랭크뉴스 2025.02.18
44017 오늘 윤 대통령 9차 탄핵 심판…증거조사·입장 정리 랭크뉴스 2025.02.18
44016 [홍장호의 사자성어와 만인보] 호행사병(虎行似病)과 홍응명(洪應明) 랭크뉴스 2025.02.18
44015 캐나나 토론토 공항서 美 여객기 착륙 중 뒤집혀… 최소 8명 부상 랭크뉴스 2025.02.18
44014 빌 게이츠와 오픈AI가 투자한 ‘무상교육’ 혁명 랭크뉴스 2025.02.18
44013 수사·기소 분리는 필수?…“권력자 범죄 수사에선 일치해야”[헝클어진 수사권] 랭크뉴스 2025.02.18
44012 ‘권한’ 따지다 하세월…검·경·공 역할에 맞는 ‘책임’ 지워야[헝클어진 수사권] 랭크뉴스 2025.02.18
44011 "총선 전 김 여사 48분 통화"‥개입 정황 나왔다 랭크뉴스 2025.02.18
44010 “차라리 장사 접을래요”...벼랑 끝 내몰린 자영업자들 랭크뉴스 2025.02.18
44009 "완벽 기대하는 분위기가 韓스타들 압박"…김새론 비보 다룬 외신 랭크뉴스 2025.02.18
44008 여권 오세훈·홍준표 ‘명태균 연루 의혹’ 대선 행보 변수 되나 랭크뉴스 2025.02.18
44007 카뱅 모임통장 잔액 8.4兆, 시중은행도 ‘군침’ 랭크뉴스 2025.02.18
44006 ‘나홀로 실적 선방’ 금호석유화학, 中·트럼프 무풍지대 비결 랭크뉴스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