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당국, 4년 만에 상호금융권 총량 제한
농협·새마을금고·수협 등에 증가율 상한 제시
상호금융권 “증가율 작고 숫자 못 박아 당황”
금융 당국이 농협·새마을금고·수협 등 상호금융권에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2.8~3.8% 이내에서 관리하도록 주문했다. 금융 당국이 상호금융권에 구체적인 가계대출 총량 제한을 주문한 것은 약 4년 만이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 당국은 일부 상호금융권 중앙회를 대상으로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 상한선을 제시했다. 금융 당국은 농협중앙회에 연간 가계대출 증가율이 2.8%를 넘지 않도록 관리해 달라고 권고했다. 새마을금고에는 연간 3.8%, 수협에는 상반기 기준 3.0%의 가계대출 증가율 상한선을 통보했다. 금융 당국이 상호금융권에 직접 가계대출 증가율 상한선을 제시하고 관리를 주문한 것은 2021년 7월 이후 약 4년 만이다.
금융 당국이 제시한 2.8~3.8%는 올해 가계대출 관리 계획과 맞닿아 있다. 금융 당국은 올해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폭을 경상성장률(3.8%) 이내에서 관리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는데, 이 기준을 상호금융권에 적용한 것이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은행과 마찬가지로 상호금융권에 가계대출 증가 폭을 경상성장률 내에서 관리하도록 주문했다”고 말했다.
금융 당국은 상호금융권 중앙회에 올해 연간 가계대출 목표치 및 관리 계획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연간 가계대출 목표치는 금융사가 한 해 동안 취급할 가계대출 목표치를 추산한 수치다. 그동안 은행권만 연간 가계대출 목표치를 금융 당국에 제출했는데, 이를 상호금융권에 확대 적용한 것이다. 금융 당국이 가계대출 목표치를 제출받는 것은 금융사에 가계대출을 일정 범위 이상 늘리지 말라는 압박 수단이기도 하다.
이번 조치는 지난해 하반기 상호금융권에서 발생한 가계대출 풍선효과를 막기 위한 사전 관리로 보인다. 지난해 8월 은행이 가계대출을 조이자 대출 수요가 2금융권으로 전이됐다. 상호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해 4분기에만 4조8000억원 증가했다. 2금융권 중 가장 큰 폭의 증가였다. 지난해 1~3분기 상호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었다.
각 중앙회는 가계대출 관리 정책 취지에 공감하고 관리 계획을 제출하거나 작성하고 있다. 다만 일각에선 당혹스럽다는 반응도 나온다. 한 상호금융 중앙회 관계자는 “증가율 숫자가 작은 것도 당황스럽지만 공문도 없이 전화와 메일로 가계대출 증가율을 못 박으니 당황스럽다”고 했다.
농협·새마을금고·수협 등에 증가율 상한 제시
상호금융권 “증가율 작고 숫자 못 박아 당황”
그래픽=정서희
금융 당국이 농협·새마을금고·수협 등 상호금융권에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2.8~3.8% 이내에서 관리하도록 주문했다. 금융 당국이 상호금융권에 구체적인 가계대출 총량 제한을 주문한 것은 약 4년 만이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 당국은 일부 상호금융권 중앙회를 대상으로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 상한선을 제시했다. 금융 당국은 농협중앙회에 연간 가계대출 증가율이 2.8%를 넘지 않도록 관리해 달라고 권고했다. 새마을금고에는 연간 3.8%, 수협에는 상반기 기준 3.0%의 가계대출 증가율 상한선을 통보했다. 금융 당국이 상호금융권에 직접 가계대출 증가율 상한선을 제시하고 관리를 주문한 것은 2021년 7월 이후 약 4년 만이다.
금융 당국이 제시한 2.8~3.8%는 올해 가계대출 관리 계획과 맞닿아 있다. 금융 당국은 올해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폭을 경상성장률(3.8%) 이내에서 관리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는데, 이 기준을 상호금융권에 적용한 것이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은행과 마찬가지로 상호금융권에 가계대출 증가 폭을 경상성장률 내에서 관리하도록 주문했다”고 말했다.
금융 당국은 상호금융권 중앙회에 올해 연간 가계대출 목표치 및 관리 계획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연간 가계대출 목표치는 금융사가 한 해 동안 취급할 가계대출 목표치를 추산한 수치다. 그동안 은행권만 연간 가계대출 목표치를 금융 당국에 제출했는데, 이를 상호금융권에 확대 적용한 것이다. 금융 당국이 가계대출 목표치를 제출받는 것은 금융사에 가계대출을 일정 범위 이상 늘리지 말라는 압박 수단이기도 하다.
이번 조치는 지난해 하반기 상호금융권에서 발생한 가계대출 풍선효과를 막기 위한 사전 관리로 보인다. 지난해 8월 은행이 가계대출을 조이자 대출 수요가 2금융권으로 전이됐다. 상호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해 4분기에만 4조8000억원 증가했다. 2금융권 중 가장 큰 폭의 증가였다. 지난해 1~3분기 상호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었다.
각 중앙회는 가계대출 관리 정책 취지에 공감하고 관리 계획을 제출하거나 작성하고 있다. 다만 일각에선 당혹스럽다는 반응도 나온다. 한 상호금융 중앙회 관계자는 “증가율 숫자가 작은 것도 당황스럽지만 공문도 없이 전화와 메일로 가계대출 증가율을 못 박으니 당황스럽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