뮌헨안보회의 계기 한미 정상회담
루비오 "정책적 연속성 갖고 협력"
40분간 북한 비핵화·관세 등 논의
루비오 "정책적 연속성 갖고 협력"
40분간 북한 비핵화·관세 등 논의
뮌헨안보회의를 계기로 조태열 (오른쪽줄 오른쪽에서 첫 번째) 외교부 장관이 15일 독일 뮌헨 바이어리셔호프 호텔에서 마코 루비오(왼쪽줄 왼쪽에서 첫 번째) 국무부 장관과 양자 회담을 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뮌헨=뉴스1
윤석열 대통령의 불법 계엄·내란 시도 사태로 '정상 외교'가 불가능한 가운데 이뤄진 한미 외교장관 회담
에서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이 "양국 국내 사정과 무관하게 정책적 연속성을 갖고 계속 협력해가는 것이 중요하며 신뢰 관계를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조태열 외교부 장관에게 말했다.'정상 외교 부재' 만회하려...
이러한 대화는 뮌헨안보회의(MSC)가 열리는 독일 뮌헨의 바이어리셔호프 호텔에서 15일(현지시간) 이뤄진 조 장관과 루비오 장관의 회담에서 나왔다고 외교부 당국자는 전했다. 정상 외교가 '올스톱'된 상황에서 외교부 및 관계 부처가 한미 간 협력을 지속 당부해온 데 대한 미국의 반응이라는 게 이 당국자의 설명이다.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한미 외교 수장이 만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외교부도 회담 이후 보도자료를 통해 이렇게 전했다. "조 장관은 한국이 안전하고, 강력하며, 번영하는 동맹을 만들어가기 위한 최적의 파트너임을 강조하고 미국의 새로운 행정부 하에서도 대북 공조, 확장 억제, 한미일 협력은 물론 투자와 경제 협력 등을 더욱 확대·강화해 나가자고 했다고 했다. 루비오 장관은 이에 동의하면서 미국으로서는 같은 자유 민주주의 국가로서 한국과의 관계를 중시하고 있으며 각국 국내 상황과 무관하게 신뢰 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해 나가고자 한다."
회담 테이블 오른 미국 '관세 공격'
트럼프 정부가 대미 무역 흑자국 등에 대해 강력 추진 중인 관세 부과 문제도 회담 테이블에 올랐다. 조 장관이 관세 부과 문제에서 미국이 한국의 입장을 고려해 달라고 요청하자 루비오 장관은 "(담당 부처에) 잘 전달하겠다"고 답했다고 한다. 외교부 당국자는 "(관세 정책은) 현재 미국 측도 시작하고 검토하는 단계"라며 "(한미가) 계속 협의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전날 뮌헨 국제공항에 도착해 기자들과 만나 미국의 '관세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의 구상을 이렇게 설명한 바 있다. "우리가 동맹을 위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겠다'는 미국의 비전을 성취하는 데 우리가 얼마나 잘 기여할 수 있는지 등을 잘 어필하고, 여러가지 민감한 사안들을 큰 틀 속에서 다뤄가면서 의미 있는 해법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패싱 우려 속... "북한 문제 긴밀히 공조"
또한 양 장관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목표를 견지하면서 향후 대북정책 수립·이행 과정에서 긴밀히 공조해 나가기로 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북핵문제에 대해 많이 논의했다"면서 "(미국 측이) 완전한 비핵화와 한국과 긴밀한 협의를 약속했다"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패싱'하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거래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 상황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 정책 수립 및 북미 대화 시도 과정에서 한국과 조율할 의사를 표했다는 취지다. 회담에서 한미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문제는 제기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회담은 당초 30분간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10분 늘어 40분간 진행됐다. 외교부 당국자는 "첫 대면인 만큼 개인적인 유대 관계를 형성하는 게 가장 중요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한미 동맹과 북핵 문제, 경제 협력을 포함한 현안에서 한국의 생각을 전달하고 협조를 구하는 게 중요하다"고 회담 의미를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