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12·3 내란의 실체가 더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습니다.
계엄의 비선,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수첩 속에 담긴 '비상계엄 실행계획'을 통해서인데요.
이 수첩에는 계엄 이후 민주당 전담 군부대는 물론, 계엄에 반대하는 일반 국민을 진압하기 위한 지상작전사령부까지 투입을 계획한 것으로 보이는 내용이 들어있었습니다.
고병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수첩엔 '행사'라는 단어가 여러 차례 등장합니다.
체포를 의미하는 "수거팀 구성" 아래 "행사 부대 지정"이라고 쓰여 있고, 기무사와 경찰을 활용해 수거 조치한 뒤 "행사는 1달 정도"라고 적었습니다.
A부터 D까지 알파벳 등급으로 분류한 체포 대상자들에 대한 검거 작전을 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면서 "역행사에 대비해야 한다"며 "민주당 쪽" 전담으로 9사단과 30사단을 표기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서울과 가까운 경기도 고양에 위치한 부대로, '역행사' 즉 검거 작전 '행사'를 막지 못하게 군을 배치하려 한 걸로 해석됩니다.
수첩 속 수거 대상엔 이재명 대표를 비롯해 정청래·김용민·김의겸·고민정·윤건영 등 민주당 전현직 의원이 대거 포함됐습니다.
주요 사령관의 이름·역할과 함께 "용인"이라는 글자 옆으로 "역행사 방지 대책 강구"란 문구도 포착됐는데, 국민적 저항에 대비해 경기도 용인에 있는 지상작전사령부까지 동원하려 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수거 조치'를 '행사'한 뒤 체포된 이들을 '사살'하려 했던 여러 계획도 확인됐습니다.
"수거 대상 처리안"이라는 소제목 아래 "연평도 이송"이라고 되어 있는데, "실미도항을 정찰하기 위해 집행 인원은 하차하고 하차 후 이동 간 적정한 곳에서 폭파하도록 한다"고 구체적으로 썼습니다.
이어 "연평도 행사 후 같은 방법은 어렵다"며, "막사 내 잠자리 폭발물"을 쓰는 방법과 함께 "확인 사살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음식물·급수·화학약품" 문구도 발견됐는데 '독살'까지 염두에 둔 걸로 추정됩니다.
수첩에는 '1차 수집' 대상으로 국회가 있는 여의도가 30에서 50명 언론 쪽이 100에서 200명이라고 되어 있는데, 가장 마지막 페이지엔 "촛불집회 주모자들"과 "좌파 방송사 주요 간부들"을 지목하며 "주먹들을 이용해 분쇄시킨다"고 썼습니다.
MBC뉴스 고병찬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