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국 최대 굴 생산지 경남 통영에서 굴 양식업계의 골칫거리인 굴 껍데기(패각)를 재활용하려 만든 시설이 수개월째 가동되지 않고 있다. 통영시가 국비 등 예산 160억원을 들여 지었지만, 국내 첫 시설이다 보니 수익성이 불확실해 이를 본격 운영할 업체를 찾는 데 난항을 겪으면서다.

때문에 '시설 조기 가동’을 목표로 했던 천영기 통영 시장의 공약이 무색해진 상황이다. 어민들은 “빨리 좀 (시설이) 돌아가서 굴 껍데기 좀 처리해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시는 우선 시범 운영 업체를 선정해 3월 중 시범 운영에 들어가는 게 목표다.

경남 통영에 준공된 '수산부산물 자원화시설'. 사진 통영시


악취 온상 굴 껍데기…연간 8만t 처리 가능한데
14일 경남도·통영시 등 따르면, 통영 도산면 법송리에 있는 ‘수산부산물 자원화 시설’은 지난해 12월 준공됐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구축한 공공 굴 패각 재활용 시설이다. ‘굴 껍데기 자원화 시설 구축사업’에 따라 국비 75억원, 도비 25억5000만원, 시비 59억5000만원 등 총 160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7개 동으로 구성된 이 시설(연면적 1만33㎡)에서는 하루 300t, 연간 8만t의 굴 패각을 자원화할 수 있다. 주로 칼슘과 석회로 이뤄진 굴 패각은 재처리해 생석회(탈황제)나 모래, 양빈재, 비료 등으로 다시 활용할 수 있다. 탈황제는 화력발전소에서 연료를 연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기 오염 물질인 황산화물(SOx)을 제거하는 데 쓰인다. 모래는 토목·건설 공사 현장이나 침식된 백사장에 사용한다.



“이것도 자원인데…서둘러 가동돼야”
시설은 통영의 해안가 공터나 박신장(굴 까는 공장) 주변에 산처럼 쌓여 악취와 벌레 등 환경 오염의 온상이 된 굴 껍데기 문제를 해소할 기대주로 꼽혀왔다. 통영에서만 한 해 평균 15만t(추정치)의 패각이 발생하는데, 대부분이 굴 생산 과정에서 생긴다.

경남 통영의 한 장소에 쌓인 굴 껍데기. 연합뉴스=경남도
그간 굴 양식업계에선 굴 패각을 비료로 만들거나 동해 해상 투기장에 버렸다. 배출자가 직접 또는 위탁 처리해야 하는데, 처리 비용도 만만찮다. 굴 패각 1t당 육상 처리(비료 등)는 3~4만원, 해상 처리는 6만원이 든다고 한다. 이마저도 2022년 7월 ‘수산부산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기 전에는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사업장 폐기물로 지정돼 재활용에 큰 제약을 받아왔다.

통영의 굴수하식수산업협동조합 관계자는 “굴 패각은 처리하는 데 매년 수십억원의 비용이 든다”며 “비용보다도 이것(굴 패각)도 자원인데, 무작정 바다에 버리는 건 맞지 않다. 자원화 시설이 빨리 정상 가동됐으면 한다”고 했다.



운영비도 산정 못해…1~2년 시범운영
하지만 이 자원화 시설은 국내 최초여서 운영 경험이 있는 업체가 없고 정확한 운영비도 산정되지 않았다. 정식 공모로 시설 운영 업체를 선정해 위·수탁 계약을 체결하기 어려운 이유다. 시는 시공사를 시범운영 업체로 정하는 방향으로, 해당 업체와 협의 중이다.

지난해 11월 경남 통영에서 '수산부산물 자원화시설' 준공식이 열렸다. 사진 통영시
시공사는 기계 결함이나 오작동 등이 발생해도 곧바로 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1~2년 시범운영을 거쳐, 실제 운영비와 수익성 등을 판단하겠다는 것이다. 이후 공모 절차를 밟아 위·수탁 업체를 선정할 방침이다. 최근 시는 ‘가동 원가 산정’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해양쓰레기 수거 운반선 운영비 1800여만원을 전용하는 계획까지 세웠다.

시는 물론 경남도 역시 이 시설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도 관계자는 “첫 시설이고 산출 내역도 없다 보니 ‘내가 하겠다’고 나서기 쉽지 않다”며 “시범 운영 과정에서 정확한 데이터를 뽑는 ‘예열 단계’라고 봐달라”고 했다.

이어 “폐기물로 처리됐던 과거와 달리 수산부산물 재활용 촉진법을 통해 굴 패각을 재활용할 수 있는 문이 열렸다”며 “양빈재·복토재 등은 물론 보도블록을 설치할 때도 섞어 쓸 수 있는 등 수요가 충분해 수익을 낼 것이라고 본다”고 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679 신풍제약 창업주 2세, 코로나19 치료제 ‘악재’ 미리알고 주식 매도 랭크뉴스 2025.02.17
43678 딥시크 국내 신규서비스 중단…"기존 이용자 신중히 이용"(종합) 랭크뉴스 2025.02.17
43677 윤 대통령 지지자 50여 명 또 인권위로‥일부 14층까지 진입 랭크뉴스 2025.02.17
43676 82세 박지원 "혹시라도 이재명 대선 못 나가면 나도 출마" 랭크뉴스 2025.02.17
43675 이준석·윤상현 조사, 尹부부만 남았나…檢 '명태균 수사' 서울 넘긴다 랭크뉴스 2025.02.17
43674 코로나치료제 임상 실패 미리 알고 주식 팔아 1562억원 차익… 신풍제약 2세 검찰 고발 랭크뉴스 2025.02.17
43673 李 “민주당이 집권하면 코스피 3000 찍을 것” 랭크뉴스 2025.02.17
43672 "삼성과 협업 기대되네" 레인보우로보틱스, 순매수 1위 [주식 초고수는 지금] 랭크뉴스 2025.02.17
43671 내달부터 충북도 임신 공무원 주4일만 출근 랭크뉴스 2025.02.17
43670 참사 현장서 사투 벌인 소방관들… 27년차 베테랑도 3일의 기억을 잃었다 랭크뉴스 2025.02.17
43669 걱정·불안으로 배웅한 일주일만의 등굣길…"충격 가시지 않아" 랭크뉴스 2025.02.17
43668 "곧 뵙겠습니다" 복귀 예고하자…한동훈 테마주 강세 [줍줍리포트] 랭크뉴스 2025.02.17
43667 권영세 "尹하야 옳지 않아…비상계엄은 분명히 잘못"(종합) 랭크뉴스 2025.02.17
43666 ‘명태균 의혹’ 관련자, 창원산단·정치자금 위반 추가 기소 랭크뉴스 2025.02.17
43665 尹·김여사 '공천개입' 의혹 수사팀 서울로…중앙지검 맡는다 랭크뉴스 2025.02.17
43664 “따뜻한 말 못해줘 미안”···김새론 비보에 연예계 추모 물결 랭크뉴스 2025.02.17
43663 “안전하니까 무서워 마”…하늘양 동급생들 일주일만에 등교, 손 못놓는 학부모들 랭크뉴스 2025.02.17
43662 '명태균 공천개입' 중앙지검 수사‥"윤 부부 수사대상" 랭크뉴스 2025.02.17
43661 '경제는 민주당' 띄운 이재명 "우클릭 비판? 변하지 않으면 바보" 랭크뉴스 2025.02.17
43660 경찰 "배우 김새론 유서 발견된 것 없다…변사처리 예정" 랭크뉴스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