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수첩에, 민주당사에 군 부대를 배치하고 체포 이후엔 여러 방법으로 '사살'하려 했던 계획이 담긴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MBC 취재 결과 노 전 사령관의 수첩에는 "역행사에 대비해야 한다"며 "민주당 쪽" 전담으로 "9사단과 30사단"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습니다.
또 주요 사령관의 이름·역할과 함께 "용인"과 "역행사 방지 대책 강구"라는 글자도 발견됐는데, 경기도 용인에 있는 지상작전사령부를 동원하려 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비상계엄 선포 직후 이른바 '수거' 대상을 체포하는 '행사'에 대한 저항을 막기 위해 사전에 군을 투입하려 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수거 대상 처리안'이란 소제목 아래에는 "연평도 이송"이라고 쓴 뒤 "실미도항을 정찰하기 위해 집행 인원은 하차하고, 하차 후 이동간 적정한 곳에서 폭파하도록 한다"고 적혀 있었습니다.
또 "연평도 행사 후 같은 방법은 어렵다"며 "막사 내 잠자리 폭발물"을 쓰는 구상과 함께 "확인 사살이 필요하다"거나 "음식물·급수· 화학약품"등 '독살'을 염두에 둔 듯한 글도 담겨 있었습니다.
수첩에는 '1차 수집' 대상으로 국회가 있는 여의도가 30에서 50명 언론 쪽이 100에서 200명으로 되어 있었는데, "촛불집회 주모자들"과 "좌파 방송사 주요 간부들"을 지목하며 "주먹들을 이용해 분쇄시킨다"는 내용도 포함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