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와 만나 회동을 하고 있다. 전민규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13일 통합적 가치에 공감대를 이뤘다. 동시에 개헌 필요성을 김 전 지사가 연이어 촉구하자 이 대표가 “내란에 집중할 때”라고 일축하는 등 이견도 드러냈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김 전 지사와 회동했다. 김 전 지사가 12·3 계엄 직후 공부 중이던 독일에서 급히 귀국해 지난해 12월 5일 이 대표를 찾아 인사한 지 두 달여 만이다.

김 전 지사는 이후 이 대표에게 “치욕스러워하며 당을 떠난 분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비판 메시지를 내왔다. 갈등이 부각되려는 상황에서 이 대표가 지난 7일 복당한 김 전 지사와 통화하면서 이날 만남이 성사됐다. 김 전 지사가 친문(親文) 적자로 평가받는 만큼, 이 대표가 지난달 30일 문재인 전 대통령이 주문한 당내 비판적 세력과의 포용을 수용하겠다는 의도도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와 만나 회동을 하고 있다. 전민규 기자
이 대표는 이날 김 전 지사를 국회 정문에서 맞이하며 악수 인사했다. 이 대표는 공개 발언에서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데, 민주당이 더 크고 넓은 길을 가야 할 것 같다”며 “내란 극복을 위해 헌정수호 대(大) 연대, 모든 세력이 힘을 합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김대중 전 대통령은 자신을 죽이려 했던 세력과도 손을 잡고 첫 번째 정권 교체를 이뤄냈다”며 “이번에 정권교체를 하지 못하면 모두가 역사의 죄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른 목소리를 용납하지 않는 극단과 배제의 논리는 반드시 극복해야 한다”며 “팬덤 정치 폐해도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직접 언급하진 않았지만 이 대표의 강성 팬덤인 '개딸들'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됐다. 그는 스스로를 “31년째 민주당원”이라며 적통(嫡統)임도 강조했다.

80분간 이어진 비공개 독대에서 둘은 통합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한다. 양측에 따르면 김 전 지사가 “당에서 마음에 상처 입은 분들을 보듬을 때가 됐다”고 하자, 이 대표는 “통 크게 통합해서 민주주의를 지키자”고 화답했다. 또 김 전 지사가 “온라인뿐 아니라 오프라인에 당원 토론 공간을 확대해 달라”고 제안한 데에, 이 대표는 “그렇게 하겠다”고 답했다. 김태선 당 대표 수행 실장은 이같이 브리핑하며 “주요 정책에 대해서도 당내 의견 수렴을 거쳐,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해나가겠다고 (이 대표가) 말했다”고 전했다. 극단 지지층을 우려했던 김 전 지사가 “팬덤 정치의 원조는 문재인 전 대통령”이라는 말도 했다고 한다.

다만 개헌에 대해선 시각차가 여전했다. 김 전 지사가 국가 원수 조항, 비상계엄 조항 등을 먼저 바꾸는 ‘2단계 원포인트 개헌’을 지속해서 언급했으나, 이 대표는 “지금은 내란 극복에 집중할 때”라고 일축했다는 것이다. 이 대표 측은 통화에서 “말이 좋아 원 포인트 개헌이지, 개헌 이야기를 꺼내기 시작하면 각양각색 논의가 나오고 이 자체에 블랙홀처럼 빨려들 것”이라고 했다. 이 대표는 개헌 사항이라 평가받는 ‘국민소환제’를 지난 10일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제안했으나, 이 또한 법률로 먼저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와 만나 회동하며 악수하고 있다. 전민규 기자
이런 상황에서 야권 잠룡인 3김(김경수·김부겸·김동연)의 개헌 압박은 지속되고 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이날 페이스북에 “권력구조 개편을 위한 개헌뿐만 아니라, 분권형 개헌 논의가 필요하다”고 썼다. 김동연 경기지사도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다음 대통령 임기는 3년만 하자”며 ‘분권형 4년 중임제’를 제안했다.

이 대표는 이날 만남을 시작으로 김 전 총리와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 등도 만날 예정이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81 [단독] 노상원 수첩에 “좌파세력 붕괴”…“문재인·유시민 등 500명 수거”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80 "국정원 불법 사찰 당해" 명진스님, 국가 상대 손배소 패소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79 "사망원인 1위 '암' 겨우 이겨냈는데"…'이 음식' 못 끊으면 말짱 도루묵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78 삼성생명, 금융위에 삼성화재 자회사 편입 신청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77 조태용 “홍장원 메모는 4종류”…“메모, 청사서 했다”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76 탄핵심판 변론 추가에 與 "방어권 보장" 野 "신속히 파면"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75 尹의 상반된 증인 평가... "홍장원 문제 있어" "김봉식 칭찬받아야"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74 '또 김건희'‥ 조태용, 계엄 전 의문의 문자 교환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73 트럼프 "오늘은 중요한 날"…13일 상호관세 발표 예고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72 트럼프 "오늘은 중요한 날" 13일 상호관세 발표 예고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71 [단독] 노상원③ 전 국민 출국금지도 검토‥"3선 개헌" 장기집권 구상까지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70 [속보] 김채연 이어 차준환도 해냈다…사상 첫 피겨 남녀동반 金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69 천하람 “장원영, 하늘양 조문 안 가는 게 맞다”고 말한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68 "믿습니다 테슬라"…주가 21% 빠질 때, 서학개미는 6700억 '물타기'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67 “여성 외도 어마어마해졌다”…최악 치닫는 중년부부 공통점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66 "여러분이 애국자" 전한길 또 연단 섰다…尹국민변호인단 출범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65 트럼프-푸틴, 우크라 빼고 종전 협상한다…세계질서 변화 예고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64 약자 배제, 안보 부담 미루기... 미국 일방주의로 점철된 '트럼프식 평화'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63 고 김하늘 양 살해 혐의 교사, 6개월간 80일 넘게 조퇴·병가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62 경비단장 증언에 국회측 "반듯한 군인"…尹측 "신빙성 따져야" new 랭크뉴스 2025.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