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앞서 전해드린 대로 윤석열 대통령 측은 헌재 심판정에서조차 갑자기 '중국'을 표적으로 삼고 음모론을 펴고 있는데요.
타국과의 외교 문제가 불거질 수 있는 발언을 지속하는 이유가 무엇일지, 조의명 기자가 분석해 봤습니다.
◀ 리포트 ▶
지난해 11월, 시진핑 중국 주석과 회담을 가졌던 윤석열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
"한중 양국이 역내 안정과 평화를 도모하는 데 협력해 나가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계엄이 실패하고 궁지에 몰리자, 돌연 중국을 겨냥한 음모론을 던집니다.
[윤석열 대통령 (작년 12월 12일)]
"지난달에는 40대 중국인이 드론으로 국정원을 촬영하다 붙잡혔습니다."
중국의 위협 때문에 계엄을 선포했다는 주장.
계엄 선포 당시 담화에서도, 포고령에도 일절 언급된 적 없었던 내란 실패 후 급조된 논리입니다.
윤 대통령 측은 이렇게 확대 재생산된 가짜뉴스를 다시 탄핵 심판의 변명 논리로 차용하고 있습니다.
[배진한/윤석열 대통령 측 대리인 (지난달 16일)]
"미국 오키나와 미군 부대 시설 내에 가서 조사를 받았고 부정선거에 대해서 다 자백을 했다는 그런 뉴스가 나왔습니다. 그게 팩트이든 아니든…"
이른바 '종북 몰이'로 대표되는 극우 세력 특유의 선동 방식이, 비난의 명분만 북한에서 중국으로 바뀐 채 되풀이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문일현/중국 정법대 교수]
"이른바 극우의 논리의 출발점은 북한이었거든요. 더 이상 이게 먹히지를 않으니까 거기서 개발해낸 게 중국 위협론을 들고 나온 겁니다."
중국 관영매체는 최근 "한국의 국내 문제에 중국을 끌어들여 정치적 관심을 돌리려는 싸구려 술수"라며 이례적인 수위로 비판했습니다.
트럼프 취임 이후 국제사회의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커진 상황에서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수출 규제 완화 등 실리를 얻고자 했던 정부와 업계 입장에선 자신의 정치적 이득을 위해 근거도 없이 타국을 비방하고, 외교 관계를 파탄 내고 있는 대통령의 행보가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MBC뉴스 조의명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