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는 못 받겠다…우울증 직전" 상담사, 전 직원에 고충 토로
윤 대통령 방어권 보장 관련 호소문 발표 나선 인권위 직원들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국가인권위원회 문정호 노조위원장 및 직원들이 11일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방어권 보장 권고안 가결 규탄 호소문을 발표하고 있다. 2025.2.11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국가인권위원회 문정호 노조위원장 및 직원들이 11일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방어권 보장 권고안 가결 규탄 호소문을 발표하고 있다. 2025.2.11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정윤주 기자 =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 인권상담조정센터 직원들이 '윤석열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 통과의 후폭풍을 겪고 있다.
인권상담조정센터는 인권위에 접수되는 진정 등을 접수하는 곳으로 전담 직원 12명이 일과 시간 내내 상담번호 '1331'로 걸려 온 전화를 받고 응대한다.
13일 인권위에 따르면 윤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이 상정된 이후 상담센터는 민원인들의 항의가 폭주하며 업무가 마비 수준으로 치닫고 있다.
"인권위가 어떻게 내란범 편을 들 수 있느냐", "왜 인권위 노조는 윤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을 규탄하느냐"는 찬반 양측의 항의가 동시에 빗발치는 것이다.
인권위 관계자는 "특히 욕설 전화가 많아 상담사들이 스트레스를 견디기 힘들어하는 상황"이라며 "상담사로선 '욕을 그만하시라'고 말할 뿐, 마음대로 전화를 끊을 수도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전날에는 한 상담사가 인권위 내부 메신저로 전 직원에게 "양쪽 총알에 왜 우리 상담사들이 욕먹어야 하는지 알다가도 모르겠다"며 "우울증 걸리기 직전", "정말 죽을 지경"이라고 토로하는 글을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진보성향 단체들이 인권위에 대한 비판 수위를 높여가며 인권위를 향한 항의 전화는 당분간 누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윤대통령 지지자들도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인권위 내선 번호를 공유하며 맞불성 항의를 독려하는 상황이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