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동성 낮고 변동성 높아…외환보유액 운용 기조상 매력↓
2013년 20t 매입이 마지막…가격 폭락 '학습 효과'도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국제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와중에도 한국은행은 금을 사들이는 데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가파르게 오른 금값에 기회 수익을 아쉬워하는 목소리도 나오지만, 안전성, 유동성, 수익성을 추구하는 외환보유액 운용 기조 아래 금 매입을 서두르지 않는 분위기다.

13일 한은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한은은 김중수 전 총재 시절이던 지난 2013년 20t의 금을 추가로 사들인 뒤 12년째 금 보유량을 총 104.4t으로 묶어왔다.

현재 한은이 보유한 금은 매입 당시 가격으로 표시되는데, 지난달 말 기준 47억9천만달러 규모로 전체 외환보유액의 1.2%에 그쳤다.

한은의 기조는 다른 나라 중앙은행들이 적극적으로 금을 사들이는 흐름과도 동떨어져있다.

세계금위원회는 "각국 중앙은행이 3년 연속으로 총 1천t이 넘는 금을 매입했다"며 "지난해 연간 투자액은 1천186t으로 4년 만에 최고였고, 특히 4분기에만 333t에 달했다"고 전했다.

이에 한은의 금 보유량 순위는 2013년 말 세계 32위에서 지난해 말 38위로 여섯 계단이나 하락했다.

최근 금값 상승으로 인해 시중에서 골드바 품귀현상까지 벌어지는 상황이다 보니 한은의 전략을 의아해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한은 관계자들은 금을 사들이지 않는 이유로 여러 가지를 든다.

먼저 낮은 유동성을 거론한다.

금은 주식이나 채권과 비교해 유동성이 매우 낮아 즉시 현금으로 바꾸기 어렵다. 상시 현금화가 필수인 외환보유액 성격상 매력이 떨어진다는 게 한은 판단이다.

특히 요즘처럼 환율 방어를 위한 시장 개입이 자주 이뤄지고 외환보유액이 4천억달러 밑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높아진 상황에는 유동성이 더 큰 고려 요소가 될 수 있다.

높은 변동성도 취약점으로 꼽는다.

대표적 안전자산으로 불리는 금은 가격이 꾸준히 오르는 것 같지만, 단기적으로 급등락하는 경우도 빈번해 때로 투기 자산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런 인식에는 금값 폭락에 진통을 겪은 학습 효과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앞서 한은은 2011년∼2013년 금을 총 90t 사들인 적이 있다.

2000년대 초 온스당 200달러대였던 국제 금 가격이 2011년 1천900달러에 육박할 만큼 치솟자 금 매입 요구가 높아졌고, 마침 외환보유액도 전보다 넉넉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후 금 가격은 2015년 온스당 1천달러대로 곤두박질쳤고, 이후 금 시세의 높은 변동성을 경계하는 기류가 강해졌다.

현재 금값이 온스당 3천달러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지만, 언제 하락세로 돌아서 외환보유액에 막대한 타격을 줄지 알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이 밖에 금은 이자나 배당이 없고 보관 비용까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다 보니 수익성 역시 금이 주식에 못 미칠 수 있다.

한은은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최근 금을 공격적으로 매입하고 있다는 평가에도 선을 긋는다.

지난해 4월 블로그에서 "중국, 러시아, 튀르키예 등 미국 달러화 의존도를 낮추려 하거나 전쟁 등으로 안전자산 수요가 높은 국가 위주로 금 매입이 늘었다"고 짚었다.

다만, 금 추가 매입 여지를 아예 닫아놓지는 않았다.

한은 관계자는 "시장 여건을 주시하면서 중장기적 관점에서 금 추가 매입을 고려하고 있다는 기존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고 전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30 민주, 35조원 ‘슈퍼 추경’ 제안… 지역화폐 지급에 13조원 new 랭크뉴스 2025.02.13
46429 대면조사 안 한 장학사, 아파트 뒤진 경찰…하늘이 ‘골든타임’ 놓쳤나 new 랭크뉴스 2025.02.13
46428 [속보]북한 이산가족면회소 철거 중…통일부 “반인도주의적 행위” new 랭크뉴스 2025.02.13
46427 [속보] 조태용 "홍장원, 메모작성 시점에 공관 아닌 청사사무실 있었다" new 랭크뉴스 2025.02.13
46426 [속보] '대장동 로비 의혹' 박영수 전 특검 1심 징역 7년 법정구속 new 랭크뉴스 2025.02.13
46425 [속보] '대장동 50억 클럽' 박영수 전 특검 1심서 징역 7년 new 랭크뉴스 2025.02.13
46424 [속보] ‘50억 클럽’ 의혹 박영수, 1심서 징역 7년 법정구속 new 랭크뉴스 2025.02.13
46423 [속보]‘대장동 50억 클럽’ 박영수, 1심 징역 7년·벌금 5억원···법정구속 new 랭크뉴스 2025.02.13
46422 [속보] 조태용 국정원장 "홍장원 증언에 의문" new 랭크뉴스 2025.02.13
46421 [속보] 조태용 "홍장원 메모 작성 경위, 사실과 달라…메모 4종류 있다" new 랭크뉴스 2025.02.13
46420 조태용 국정원장 “홍장원 메모 4가지...설명 내용, 사실과 달라” new 랭크뉴스 2025.02.13
46419 "구내식당서 '이것' 먹는다고? 실화냐"…모두가 깜짝 놀란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2.13
46418 ‘대장동 50억 클럽’ 박영수 전 특검 1심 징역 7년 new 랭크뉴스 2025.02.13
46417 중소에서 K뷰티 맏형으로…'글로벌 핫템' 된 달바[케이스 스터디] new 랭크뉴스 2025.02.13
46416 [속보] ‘대장동 50억 클럽’ 박영수 전 특검 1심 징역 7년 new 랭크뉴스 2025.02.13
46415 尹측 "헌재가 법률 어겨 재판…지금처럼 심리하면 중대 결심" new 랭크뉴스 2025.02.13
46414 [속보] 조태용 국정원장 "국무위원 중 비상계엄 찬성한 사람 없었다" new 랭크뉴스 2025.02.13
46413 명태균 쪽 “‘윤상현이한테 전화했습니다’ 김건희 육성 녹음 있다” new 랭크뉴스 2025.02.13
46412 北, 금강산 지구 내 ‘남측 자산’ 이산가족면회소 철거 중 new 랭크뉴스 2025.02.13
46411 [단독] 국정원장, 계엄날 윤석열에 ‘부재중 아님’ 직접 알렸다…“내일 출장” new 랭크뉴스 2025.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