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스코어, 상장사 자사주 취득·소각 현황 조사 결과 발표
지난해 12월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거래실에서 직원들이 거래하고 있다. 문재원 기자
지난해 국내 상장사들의 지난해 자사주 매입 규모가 14조원으로 집계됐다.
1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 자료를 보면, 지난해 상장사의 자사주 취득 규모는 2023년(8조2863억원)보다 72.8% 증가한 14조3156억원으로 집계됐다.
자사주 소각 규모도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자사주 소각 규모는 12조1399억원으로, 2023년(4조7429억원)보다 156.0% 증가했다.
자사주 취득·소각을 진행한 상장사 숫자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 자사주를 확보한 상장사는 464곳으로, 2023년(376곳)보다 23.4% 늘었다. 같은 기간 자사주를 소각한 상장사도 137곳으로 전년(96곳)보다 42.7% 증가했다.
상장사 중 지난해 가장 많은 자사주를 취득한 기업은 고려아연(2조1249억원)이었다. 고려아연은 지주사 영풍과 경영권 분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자사주 공개 매수 전략을 발표하고, 발행주식 9.85% 수준의 자사주를 매입한 바 있다.
고려아연은 지난해 10월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해 취득 자사주 204만30주를 다시 소각하겠다고 공시했지만, 지난달까지 소각하지 않은 상태다. 이에 영풍 측은 지난 6일 고려아연에 보유 자사주를 전량 소각하라고 압박하고 나섰다.
고려아연 다음으로 자사주를 많이 매입한 곳은 삼성전자(1조9925억원)였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 총 10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분할 매입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어 메리츠금융지주(8624억원), KB금융(8200억원), 신한지주(7000억원) 순으로 자사주를 많이 취득한 것으로 집계됐다.
자사주를 가장 많이 소각한 상장사는 삼성물산(1조289억원)이었다. 국내 상장사 중 1조원 이상의 자사주를 소각한 곳은 삼성물산이 유일했다.
이어 KT&G가 지난해 8617억원의 자사주를 소각했고, SK이노베이션(7936억원)과 포스코홀딩스(7545억원), 네이버(6866억원), 메리츠금융지주(6401억원), KB금융(6200억원) 등도 자사주 소각이 많은 상장사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