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신보 올해 대위변제 규모 최초 3조원 돌파 전망
17개 지역신보 대위변제 규모도 역대 최대치 예상

서울의 한 전통시장. /뉴스1

신용보증기금(신보)과 지역 신용보증재단(지역 신보)의 대위변제 규모가 올해 역대 최대치를 또 경신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위변제는 금융 소비자가 원금을 상환하지 못할 때 신보 등 보증기관이 빚을 대신 갚아주는 것을 의미한다. 코로나19 여파에 대출로 연명했던 중소기업·소상공인이 빚을 갚지 못하게 되면서 부실 대출이 증가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신용보증기금(신보)에 따르면, 신보는 올해 일반보증·유동화회사보증·소상공인 위탁보증·저금리 대환 보증에 대한 대위변제 발생규모를 역대 최대치인 3조3975억원으로 전망했다. 이는 역대 최대치였던 지난해(2조9584억원)보다 약 15% 증가한 수치다. 신보의 대위변제 규모는 2022년 1조3599억원에서 이듬해 2조2759억원을 기록하며 매년 최고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중소기업보다 어려운 영세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채무 불이행도 증가할 전망이다. 신용보증재단중앙회는 소상공인 보증 비율이 95%인 지역 신보의 올해 대위변제액이 지난해 역대 최대치(2조3997억원)보다 많은 것으로 추산했다. 신용보증재단중앙회는 올해 업무계획에서 목표 사고율(대출을 갚지 못한 비율)을 지난해 12월(6.03%)보다 높은 6.86% 수준에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코로나19 당시 급증했던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이 시한폭탄으로 되돌아왔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코로나19로 어려움에 빠진 중소기업·소상공인을 돕겠다며 보증 대출과 저금리 대출 등 대규모 금융 지원에 나섰다. 실제 지역신보의 보증잔액은 2019년 22조2000억원에서 2021년 42조5000억원으로 급증했고, 같은 기간 신보의 일반보증 잔액도 47조2231억원에서 59조1461억원으로 늘어났다. 하지만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이후에도 고금리·고물가와 내수 부진 등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늘어났던 보증 대출에서 부실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껏 취약 금융 소비자를 중심으로 원금 상환을 유예하는 각종 지원책이 있었지만, 이마저도 종료되면 부실 규모는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서울 중구 명동의 한 폐업한 상가 출입문에 대부업체 스티커가 붙어 있다. /뉴스1

앞서 한국은행은 2023년 ‘코로나19 이후 자영업자 대출의 증가세 및 채무상환위험 평가’ 보고서에서 자영업자 대출이 급증한 것을 두고 “회생불가 자영업자의 구조조정 지연 및 잠재부실의 이연·누적을 심화시키는 문제를 안고 있다”라며 “대출금리가 상승하고 금융지원 조치 종료의 영향이 본격화되는 경우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대출 부실이 빠르게 늘어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했다.

더구나 신보가 보증규모를 축소하면서 중소기업·소상공인의 어려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신보는 소상공인 위탁보증과 저금리 대환보증에 대한 신규 공급을 중단했고, 올해 보증총량을 지난해보다 10조7000억원 줄인 75조6000억원으로 책정했다. 지역신보 역시 2022년 46조원까지 늘린 보증잔액을 올해 43조5000억원으로 축소하기로 했다.

지역신보 관계자는 “최근 대출 유예 제도가 종료되고 있다는 점과 경기 침체 등으로 소상공인이 버틸 수 있는 힘이 약해지는 등 종합적인 요인으로 대위변제 규모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88 명태균 "오세훈·홍준표 민낯을"‥야권, 특검 발의 랭크뉴스 2025.02.12
45887 인스타 ‘고해성사’방이라더니… “19금 비밀 얘기해줘” 랭크뉴스 2025.02.12
45886 기자 위협하고 경찰 짓눌렀다…극우 집회마다 등장한 유튜버, 결국 랭크뉴스 2025.02.12
45885 네타냐후 “15일까지 인질 석방 안 되면 휴전 끝날 것” 랭크뉴스 2025.02.12
45884 트럼프 옆 머스크, 백악관 집무실서 "관료주의는 민주주의 아냐" 랭크뉴스 2025.02.12
45883 ‘윤석열 옹호’ 앞장서는 극우 인권위…안창호 지명이 ‘퇴행’ 정점 랭크뉴스 2025.02.12
45882 신지호 “한동훈 서울시장 출마설, 오세훈 측이 퍼뜨린 가짜 뉴스” 랭크뉴스 2025.02.12
45881 유승민 "나라 두쪽 낸 윤석열·이재명 두 빌런, 동시 정리해야" [안혜리의 직격인터뷰] 랭크뉴스 2025.02.12
45880 트럼프, 요르단 국왕 면전서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랭크뉴스 2025.02.12
45879 논란의 ‘대통령 행정 명령’, 트럼프가 남발하는 걸까? [특파원 리포트] 랭크뉴스 2025.02.12
45878 트럼프발 관세 폭격, 자동차도 사정권..."한국서 미국 가는 140여 만대 어쩌나" 랭크뉴스 2025.02.12
45877 부부싸움에 총격전까지…'러 최고 여성갑부' 고려인 결국 이혼 랭크뉴스 2025.02.12
45876 ‘버터핑거 폐점·에그슬럿 철수’... 뉴욕 간판 단 美 브런치 브랜드, ‘우울한 퇴장’ 랭크뉴스 2025.02.12
45875 “러시아, 군용차량 부족하자 당나귀까지 동원” 랭크뉴스 2025.02.12
45874 이재명이 띄운 '주4일제'…스웨덴, 재정부담에 중도 포기했다 랭크뉴스 2025.02.12
45873 [단독] 박선원과 문자∙이병기와 통화…홍장원, 계엄 직후 여야 다 접촉 랭크뉴스 2025.02.12
45872 티메프 여행·숙박·항공 집단 분쟁조정 일부 성립… 16억원 보상 예상 랭크뉴스 2025.02.12
45871 [샷!] "웃돈 주고 대학 장학금 지원서 첨삭까지" 랭크뉴스 2025.02.12
45870 미 연준 의장 “금리 인하 서두를 필요 없어” 랭크뉴스 2025.02.12
45869 뉴욕증시, 파월 신중론에도 보합권…테슬라는 6.34% 급락 랭크뉴스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