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신속한 우크라 평화 협상 원한다…미국, 중국에 집중해야"

장병들과 팔굽혀펴기·역기들기 등 아침 운동하고 사진 공유


미군 사병들과 역기들기 하는 헤그세스
[헤그세스 엑스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 =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은 11일(현지시간) 유럽에 주둔 중인 미군과 관련, "현재로는 어떤 감축 계획도 없다"라고 말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국방장관회의 참석 등을 위해 유럽을 방문 중인 헤그세스 장관은 이날 독일에 있는 미군 유럽아프리카 사령부에서 기자들과 만나 '유럽의 미군을 감축, 이를 인도·태평양으로 전환해 중국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냐'는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그는 "우리가 전세계의 군 태세를 검토할 것이란 공감대가 있으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적 가정은 조 바이든 때와는 다르다"면서 "우리는 우크라이나에서의 신속한 평화 협상을 원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달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나토 국방장관 회의를 거론한 뒤 "이런 긴박한 상황에서는 역량, 리더십, 부담 공유 등에 대해 친구들끼리 대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유럽은 어떤 침략으로부터도 자유로워야 하지만 (우크라이나) 이웃 국가들이 개별·집단 방어에 가장 많이 투자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여러분이 이웃(우크라이나)을 방어하고 필요할 때 미국이 와서 그 방어에서 여러분을 돕는 것이 상식"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미군 태세를 재검토하지 않는 것은 부주의한 것이 되겠지만, 미국이 무엇을 포기하거나 어떤 곳에서 떠나거나라고 가정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밝혔다.

헤그세스 장관은 가장 큰 위협으로는 미국 남부 국경을, 가장 큰 대외 위협으로는 중국을 각각 꼽았다.

그는 그러면서 중국과 관련, "미국은 자유세계 지도자로, 인도·태평양 역내외의 중국의 야망에 적절하게 집중해야 한다"라고 말하면서 "우리는 중국과 전쟁을 원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나토 회원국에 대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방비를 5%로 올리라고 하는 것과 관련해 미국도 5%로 올려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우리는 최소 3% 미만으로 가서는 안 된다"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역사적으로 미군에 대해 저조하게 투자해왔다"라면서 "미국은 바이든 정부가 하고자 했던 것보다 더 많이 지출해야 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그럴 준비가 돼 있다"라고 말했다.

올해 44세인 헤그세스 장관은 이날 오전 사령부에서 미군과 함께 아침 운동을 같이 했다.

육군 소령 출신인 그는 "아침에 군(軍)과 운동을 같이 했으며 그들에게 '나도 얼마 전까지는 그들과 같은 자리에 있었다'고 말했다"면서 "지금 나는 4성 장군들과 일하고 있지만, 내가 군과 함께 팔굽혀펴기를 하고 역기들기를 할 때 그들로부터 (직접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워싱턴의 언론은 나를 젊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군에서 보면 나는 늙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미군과 조깅하는 헤그세스
[헤그세스 엑스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52 윤석열 최측근 이상민 “계엄 전 국무회의 실질 있어”···회의록 미작성은 “비상계엄 동조 분위기 탓” 랭크뉴스 2025.02.12
45851 계엄 직후 여야 두루 만났다...홍장원 '탄핵 폭탄' 된 결정적 순간 [3박4일 행적 추적] 랭크뉴스 2025.02.12
45850 "'독박육아'라며 이혼한 아내, 아이 양육비 줬는데 친자가 아니었습니다" 랭크뉴스 2025.02.12
45849 “육군 전역 부사관 신규 임관자 2배 넘어”…軍 허리인 부사관 ‘이탈 러시’[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2.12
45848 서울 '평당 2천만원대 분양' 사라지나…작년 금천·구로 2곳뿐 랭크뉴스 2025.02.12
45847 계엄 해제됐는데‥윤 '합참 지하'에서 30분 더 랭크뉴스 2025.02.12
45846 3월 FOMC 동결 시사한 파월 “인하 서두를 필요 없다…美경제 강해” 랭크뉴스 2025.02.12
45845 [르포] 일주일 양식 챙긴 유모차 부대는 황망히 자리를 떴다… 추방 공포에 떠는 美 이주민들 랭크뉴스 2025.02.12
45844 법안 폐기·도입 철회…한국은 72년 간 형법에 담지 못한 ‘동의 없으면 강간’[비동의강간죄, 다시 국회로②] 랭크뉴스 2025.02.12
45843 "어미로서 죄받아 마땅"…美 입양 한인 친모가 남긴 마지막 편지 랭크뉴스 2025.02.12
45842 동생은 사장·형은 이사회의장…코리안리, 이례적 형제경영 고수 랭크뉴스 2025.02.12
45841 "메타, 한국의 AI 칩 설계 스타트업 '퓨리오사AI' 인수 논의" 랭크뉴스 2025.02.12
45840 "우리 애 교사도 불안, 도청 앱 깔았다" 학교 불신, 또다른 비극 랭크뉴스 2025.02.12
45839 할매래퍼 그룹 ‘수니와 칠공주’ 새 멤버 찾는다 랭크뉴스 2025.02.12
45838 결빙 우려 땐 도로 노면에 ‘눈송이 표시’ 뜬다 랭크뉴스 2025.02.12
45837 ‘토허제 해제’ 기대감에 강남 꿈틀… 폭등 가능성 배제 못해 랭크뉴스 2025.02.12
45836 윤석열 김용현 등 ‘내란사건’ 재판부, 새 사건 배당 안 받는다 랭크뉴스 2025.02.12
45835 금융사에 떼인 퇴직연금 수수료 갈수록 눈덩이…작년 1조7천억원 랭크뉴스 2025.02.12
45834 일본 ‘부동의성교죄’ 도입 후 “성폭력 피해 신고·처벌 늘었다" [비동의강간죄, 다시 국회로②] 랭크뉴스 2025.02.12
45833 中, D램·낸드 이어 HBM까지 따라온다… 중대 기로에 선 삼성전자·SK하이닉스 랭크뉴스 2025.02.12